항목

  • 어치 Eurasian jay
    형태 크기: 약 33cm 정도의 크기이다. 채색과 무늬: 머리와 뒷목이 적갈색이고 등은 회색이다. 이마에서 정수리까지 검은색의 가는 줄무늬가 있고, 날개에는 밝은 청색과 검은색으로 된 굵은 띠와 흰색반점이 있다. 첫째날개덮깃은 검은 줄무늬가 있는 청색, 검은색, 흰색의 가로띠가 있고, 나머지 날개덮깃은 등과 같이...
    분류 :
    척삭동물문(Chordata) > 조류강(Aves) > 참새목(Passeriformes) > 까마귀과(Corvidae)
    학명 :
    Garrulus glandarius (Linnaeus, 1758)
    국내분포 :
    우리나라에서는 전국에 걸쳐 번식하는 흔한 텃새이다.
    해외분포 :
    유럽과 아시아(유라시아) 대륙의 중위도 지역, 북아프리카, 동남아시아에 서식한다.
    특징 :
    텃새
  • 어치 먹이저장, 성대모사의 달인
    특징 • 산에 사는 까치라고 해서 산까치라고 불리기도 한다. • 나뭇가지에서 가지로 옮겨 갈 때나 땅 위에서 걸을 때는 양쪽 다리를 함께 모아 통통 뛰며 걷는다. • 먹이가 없는 겨울을 대비해서 간혹 먹이(도토리 등)를 저장해 놓기도 한다. • 숲속에서 번식하는 작은 새들의 새끼를 사냥하는 모습이 관찰된다. • ...
    분류 :
    참새목>까마귀과
    서식지 :
    산림지역
    먹이 :
    잡식성(새알, 설치류, 조류새끼, 개구리, 벼, 옥수수, 콩 등)
    크기 :
    약 33cm
    학명 :
    Garrulus glandarius
  • 어치 Eurasian jay
    참새목 까마귀과에 속하는 텃새. 참새목 까마귀과에 속하는 흔한 텃새. 한국 전역을 포함하여 구대륙 아시아 지역에 널리 분포한다. 몸길이는 약 34cm 정도로 중형이다. 분홍색을 띤 갈색이며, 눈에 띄는 흰색의 허리가 검은색인 꼬리와 대조를 이룬다. 한국에 서식하는 어치는 동물성과 식물성을 혼식하는 잡식성이다. ...
    분류 :
    척추동물 > 조강 > 참새목 > 까마귀과 > 어치속
    원산지 :
    유럽, 아시아
    서식지 :
    숲, 산림, 야산
    먹이 :
    벼, 옥수수, 들쥐, 도마뱀, 개구리
    크기 :
    약 32cm ~ 34cm
    무게 :
    약 140g ~ 190g
    학명 :
    Garrulus glandarius
    식성 :
    잡식
    임신기간 :
    약 21~23일
    멸종위기등급 :
    낮은위기
  • 어치 Eurasian Jay
    서식 유라시아대륙의 중위도 지역, 북아프리카, 인도차이나반도에 서식한다. 전국에 걸쳐 번식하는 흔한 텃새다. 행동 낙엽활엽수림, 침엽수림 등 다양한 환경의 숲속에서 생활한다. 번식기에는 산림 속에서 비교적 조용히 지낸다. 번식 후에는 작은 무리를 지어 평지로 내려오는 경우도 있다. 간혹 다른 조류 또는 동물...
    분류 :
    까마귀과(Corvidae)
    서식지 :
    유라시아대륙의 중위도 지역, 북아프리카, 인도차이나반도에 서식한다.
    크기 :
    L33.5~35.5cm
    학명 :
    Garrulus glandarius Eurasian Jay
  • 어치
    까마귀과에 속하는 전체길이 33㎝의 중형조류.|내용 학명은 Garrulus glandarius이다. 유라시아대륙의 온대지방을 중심으로 번식하며 우리나라에서는 전역에 번식하는 텃새이다. 온몸이 포도빛이 도는 갈색이고 머리는 흰 바탕에 검은 가로무늬가 있다. 눈 주위와 턱선은 흑색이며 멱·허리·아랫배는 흰색이다. 날개...
    분류 :
    까마귀과
    출산시기 :
    4∼6월
    성격 :
    동물, 새
    유형 :
    동식물
    크기 :
    전장 33㎝
    학명 :
    Garrulus glandarius
    분야 :
    과학/동물
  • 어치 Eurasian jay, カケス
    번역 확장 필요생물 분류 어치는 참새목 까마귀과 어치속의 조류 중 하나이다. 까마귀과에 속하며 학명은 Garrulus glandarius이다. 몸길이는 33cm~35cm이다. 몸은 자줏빛이고 머리는 흰 바탕에 검은 반점이 있다. 어치는 대담하고 호기심이 많으며, 소리가 곱고 다른 새의 소리를 잘 흉내낸다. 나뭇가지를 얼기설기 얽...
    도서 위키백과
  • 어치 jay
    개요 참새목 까마귀과 어치속의 새. 학명은 'Garrulus glandarius'인데, 속명 'Garrulus'는 잘 떠든다는 뜻이고, 종명 'glandarius'는 도토리를 의미한다. 도토리를 좋아하는 습성을 반영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한국에서는 산까치라고도 불린다. 형태 분홍빛이 감도는 갈색의 새로 몸길이는 약 33cm 정도이고, 어깨에...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동물 , 조류 , 난생동물
  • 백운산 어치계곡
    자락의 총 길이 7km의 계곡으로 성불계곡, 동곡계곡, 금천계곡과 함께 백운산 4대 계곡 중 하나이며 가장 깊은 계곡이기도 하다. 어치리 마을의 이름을 따 어치계곡이라 불리게 되었다. 일명 골리수[骨利水]라고도 불리는 백운산 고로쇠 약수의 공급처 역할을 한다. 특히 한낮에도 이슬이 맺힐 만큼 시원하다는 널찍한...
    위치 :
    전라남도 광양시 진상면 백학로 531
  • 어치의 푸른빛 깃털 모방한 색 구현 기술 나왔다
    까마귀과에 속하는 어치(Eurasian jay)는 특이한 광택이 나는 푸른빛 날개를 가진다. 여종석 연세대 인공지능융합대학 IT융합공학과 교수팀은 14일 어치 깃털의 색 변화 원리를 밝혔다. 또 깃털 내부의 나노구조체의 두께에 따라 구조색이 변하는 것을 모방하는 나노공정 기술도 개발했다. 구조색은 색소나 염료 같은...
    도서 과학향기 | 태그 동물 , 조류 , 과학 일반
  • 바젠 Achille(-François) Bazaine
    제2제정 때 두드러진 활약을 보였으나, 프랑스-프로이센 전쟁중 1870년 10월 27일 메츠에서 독일군에게 항복함으로써 프랑스군 14만 명을 넘겨준 죄로 사형선고를 받았다. 1833년에 소위로 임관되었고 크림 전쟁 때 대령으로서 연대를 지휘했으며, 1855년에는 소장으로 진급했고 세바스토폴 총독으로 임명되었다...
    출생 :
    1811. 2. 13, 프랑스 베르사유
    사망 :
    1888. 9. 28, 스페인 마드리드
    국적 :
    프랑스
  • 어치 扶於峙
    중구 약수동에서 용산구 한남동으로 넘어가는 고개로서, 옛날에는 이 고개가 좁고 험한 데다가 도적이 많아 순라꾼이 야경을 돌면서 ‘번도’라고 외치며 도둑을 쫓았는데, 이 말이 번티〔番峙〕라고 하다가 버터,버티라 하고 이를 한자명으로 표기한 데서 유래된 이름이다.
    유형 :
    자연물
  • 캐나다어치 Canada jay, カナダカケス
    캐나다어치 또는 회색어치(Canada jay, Perisoreus canadensis)는 까마귀과에 속하는 참새목 새이다. 북아메리카의 수목한계선 북쪽 아한대 산림과 뉴멕시코주와 애리조나주 남쪽의 로키산맥 아고산대에서 발견된다. 상당히 큰 명금류인 캐나다어치는 아랫부분이 옅은 회색이고 윗부분은 더 어두운 회색이며 머리는...
    도서 위키백과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38건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