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실크로드 비단길, Silk Road
    독일의 리히트호펜이 실크로드라는 말을 처음 사용했다. 총길이 6,400㎞에 달하는 실크로드는 중국 중원 지방에서 시작하여 허시후이랑을 가로질러 타클라마칸 사막의 남북변을 따라 파미르 고원, 중앙아시아 초원, 이란 고원을 지나 지중해 동안과 북안에 이른다. 동쪽 부분은 중원에서 둔황까지 이르는 구간으로 장안...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유럽 , 중국
  • 실크로드 Silk Road
    실크로드는 중국의 장안(오늘날의 시안)에서 로마까지의 동서양 교역로를 말한다. 주로 비단을 교역하였다 하여 ‘비단길’이라는 뜻의 실크로드로 불리지만, 꼭 비단만을 싣고 다닌 것은 아니었다. 도자기, 향료, 차, 황금, 보석, 거울, 약재 등 셀 수 없이 많은 물품들이 낙타나 말의 등에 실려 이 기나긴 모랫길을 오...
  • 실크로드
    실크로드는 1호선 구일역 2번 출구 구로소방서와 경인고등학교 인근에 있다. 이곳은 프리미엄 코스요리 중식당이다. 주차는 매장 전용 주차장에 100대 이상의 동시 주차 공간이 있다. 대표 메뉴는 당코스, 전복누룽지탕 실크정탁이다. 일품요리와 가족 특선 코스, 평일 점심 코스요리가 준비되어 있다. 점심 특선은 평일...
    위치 :
    서울특별시 구로구 경인로 398 송림가든
  • 둔황의 실크로드
    세계 지도를 보면 동화 속에서나 나올 법한 지명이나 도로 명이 많다. 샹그릴라, 엘도라도 같은 다소 상상을 부추기는 지명이 있고 그랜드캐니언, 옐로스톤과 같이 이름만 들어도 그 지역이 어떤 모습인지 연상할 수 있는 지명이 있다. 그런 이름 중에서 가장 신비하게 느껴지는 이름은 동서양을 이어주는 실크로드일 것...
  • 동서 간의 경제 문화 교류가 이루어지다, 비단길 개척 (동의어 실크로드)
    장건은 무제의 명을 받고 흉노를 협공하기 위해 월지와 동맹하고자 장안에서 출발했다. 그러나 장건은 월지와의 동맹에 실패하고, 귀국하던 중 흉노의 포로가 되었다가 귀국했다. 그 후 오손과 동맹하기 위해 다시 파견된 장건은 오손의 사절 수십 명과 말을 데리고 귀국했으며, 그의 부하들 또한 서역의 사절과 함께 귀...
    시대 :
    BC 139
  • 장건 (관련어 실크로드) 장자문(張子文), 張騫
    한 무제 시대의 정치가. 기원전 139년 장안을 출발하여 두 차례 서역행을 추진하여 실크로드를 개척했다. 이후 한나라에 서역의 각종 문물이 전파되고, 동서양 문물 교류가 활성화되었다.|실크로드의 개척자 비단길 혹은 실크로드는 고대 중국과 유럽을 잇는 교역로를 일컫는 말로, 중국의 비단이 로마 제국으로 흘러...
    출생 :
    미상
    사망 :
    BC 114
  • 한의 대외 정책 (관련어 실크로드)
    한나라는 적극적인 대외 정책으로 영토 확장과 아시아 전역에 걸친 영향력 확대를 가져옴.|초기 한나라는 대외적으로 유화 정책을 펴면서 내부의 정치적 안정을 꾀했다. 한의 전성기를 이룬 무제 때에 이르러서는 적극적인 외교 정책으로 흉노 토벌, 한반도 진출 등을 통해 한의 세력권을 아시아 전체로 확장시켜 나갔...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세계사 , 중국
  • 실크 로드 (웹사이트) Silk Road (marketplace), シルクロード (サイト)
    실크로드는 마약 등 불법 물품을 판매 및 경영하고 있던 암시장 웹사이트였다. 로스 윌리엄 울브릭트(Ross William Ulbricht)가 운영하던 웹사이트로, 마리화나, LSD, 헤로인, 코카인 등 금지 약물을 판매하고 있었다. 약물 뿐만 아니라, 악성 코드, 불법 콘텐츠, 도난 계정, 신용 카드 정보, 해킹 기술도 판매하고...
    도서 위키백과
  • 비단길 (관련어 실크 로드) Silk Road, シルクロード
    비단로) 또는 실크로드는 기원전 2세기부터 서기 15세기 중반까지 사용된 유라시아 무역망이었다.400km(4,000마일) 이상에 걸쳐 동서양 세계 간의 경제, 문화, 정치, 종교적 교류를 촉진하는 데 중심적인 역할을 했다. 20세기 및 21세기 일부 역사가들은 중앙, 동, 남, 동남, 서아시아는 물론 동아프리카와 남유럽을 연...
    도서 위키백과
  • 둔황의 실크로드, 악마가 사는 실크로드 고고학 미스터리
    일반적으로 동서 대문명국인 중국과 로마의 수도를 이어주는 교역로, 즉 장안에서 로마에 이르는 길을 넓은 의미에서 실크로드라 한다. 그러나 실크로드를 좀더 좁혀보면 동서 두 문명권에서 그다지 멀지 않은 지역의 교역로를 말한다. 그러므로 실크로드는 장안(오늘날의 시안)에서 시작하여 장안의 서북쪽인 간쑤 성의...
  • 일대일로 OBOR, 一帶一路
    이자 ‘비전’이다. ‘일대’(一帶)는 여러지역들이 통합된 ‘하나의 지대’(one belt)를 가리킨다. 구체적으로는 중국-중앙아시아-유럽을 연결하는 ‘실크로드 경제벨트’를 뜻한다. ‘일로’(一路)는 ‘하나의 길’(one road)을 가리킨다. 동남아아시아-서남아아시아-유럽-아프리카로 이어지는 ‘21세기 해양 실크로드...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중국 , 경제
  • 실크로드의 개통과 발전
    실크로드가 처음 열린 것은 전한(前漢 : BC 206~AD 25) 때이다. 한 무제(武帝)는 대월지(大月氏)·오손(鳥孫)과 같은 나라와 연합하여 중국 북방 변경지대를 위협하고 있던 흉노를 제압하고 서아시아로 통하는 교통로를 확보하기 위해 2차례에 걸쳐 장건(張騫)을 중앙 아시아로 파견했다. 장건의 원정을 계기로 당시...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일반상식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16건

실크로드
실크로드
실크로드
실크로드
실크로드의 봉화대
실크로드 지도
요요 마의 실크로드
실크로드 경주 2015 - 낱장
실크로드 경주 2015 - 전지
실크로드와 티베트 지역
실크로드와 티베트 지도
실크로드 핵심 15일 코스 지도
다소 신비한 느낌마저 드는 실크로드
동양과 서양이 교류한 실크로드
실크로드 위에 건설된 둔황 막고굴의 현재 모습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