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스페인독감 Spanish influenza
    1918년 발생한 역사상 가장 심했던 유행성인플루엔자.|유행성인플루엔자를 처음으로 정확히 서술한 것은 1601년이었다. 현대에 와서 가장 심하게 발생했던 경우는 1918년에 발생한 스페인독감으로 흑사병과 함께 가장 많은 인명을 앗아간 것으로 기록되어 있다. 몇 개월 사이에 2,000만 명가량이 죽었다. 인도에서만 1...
  • 스페인 독감 (관련어 스페인독감) Spanish flu, スペインかぜ
    여러 문제스페인 독감 또는 1918년 인플루엔자 범유행은 1918년에 발생했던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이다. 20세기에 들어서서 가장 크게 유행하고 치명률이 높았던 전염병이다. 미국 캔자스에서 발병했으며, 제1차 세계 대전 연합국은 이를 ‘스페인 독감’으로 불렀다. 전시에는 적국에 이로운 상황이 알려지지 않도록 전시...
    도서 위키백과
  • 인플루엔자가 전 세계를 휩쓸다
    '에스파냐(스페인) 독감'으로 불린 인플루엔자가 전 세계를 휩쓸어 이듬해까지 약 2,500만~5,000만 명이 사망했다. 14세기 유럽에서 발생한 페스트와 더불어 인류 역사상 가장 많은 인명을 앗아간 전염병이었다. 한반도에서도 700만 명 이상이 병에 걸려 14만여 명이 사망한 것으로 추산된다. 참조
    시대 :
    1918년
    국가/대륙 :
    유럽
  • 1918 flu pandemic 스페인 독감, スペインかぜ
    The 1918 flu pandemic (January 1918 – December 1920) was an unusually deadly influenza pandemic, the first of the two pandemics involving H1N1 influenza virus. It infected 500 million people across the world, including remote Pacific islands and the Arctic, and resulted in the deaths of 50 to 10...
  • 팬데믹 판데믹, pandemic
    것이 중요함을 강조하기 위한 목적으로 선언된다는 차이가 있다. 사례 역사적으로 대표적인 팬데믹은 14세기 중세 유럽에 발생한 흑사병이나 20세기에 유행한 스페인 독감 등이다. 세계보건기구는 1968년 홍콩독감과 2009년 인플루엔자 범유행(신종플루)을 일으킨 신종인플루엔자A(H1N1)에 대해 팬데믹을 선언하기도...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감염성 , 건강
  • 조류독감은 ‘인간독감’이 될 것인가?
    유행하여 엄청난 피해를 발생시킨, 이른바 ‘스페인 독감’과 조류 독감의 관계 때문이다. 제1차 세계대전이 끝난 직후인 1918년에서 1919년 사이에 주로 참전 군인들에 의해 전염된 스페인 독감은 전쟁으로 인한 사망자보다 더 많은 인명 피해를 낸, 인류 역사상 최악의 전염병이다. 전 세계 인구의 5분의 1 정도가...
    도서 과학향기 | 태그 동물 , 질병 , 감염성
  • 트윈데믹 twindemic
    지역에서 발생하고 있지만 팬데믹 전염병에 포함하지 않는다. 역사적으로 대표적인 팬데믹은 14세기 중세 유럽에 발생한 흑사병이나 20세기에 유행한 스페인 독감 등이다. 세계보건기구는 1968년 홍콩독감과 2009년 인플루엔자 범유행(신종플루)을 일으킨 신종인플루엔자A(H1N1), 2020년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질병 , 감염성 , 호흡기
  • 아시아 독감 1957–1958 influenza pandemic, アジアかぜ
    아시아 독감은 1918년 맹위를 떨쳤던 스페인 독감보다 독성이 덜한 것이었으나, 스페인 독감과 달리 2차 유행보다는 1차 유행에서 더 큰 피해가 있었고, 발생 시기도 늦여름부터 가을 사이였다. 스페인 독감이 전세계에 거의 동시에 퍼진 반면, 아시아 독감의 세계적 확산 속도는 점점 빨라졌다. 주 희생자는 5세 이하의...
    도서 위키백과
  • 독감과 감기는 어떻게 다를까?
    예방조치로 항바이러스제인 아만타딘(amantadine)과 리만타딘(rimantadine)을 독감 유행기간 중 1일 2회, 100㎎ 내복하면 변종 인플루엔자 A 바이러스의 약 50%는 예방할 수 있다.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의 정체가 밝혀진 것은 1918∼1919년 ‘스페인 인플루엔자’가 전 세계에 퍼져 2,500만~5,000만 명이 숨진 사건 이후...
    도서 과학향기 | 태그 질병 , 호흡기 , 건강
  • 독감은 ‘독한 감기’와 다르다?
    예방조치로 항바이러스제인 아만타딘(amantadine)과 리만타딘(rimantadine)을 독감 유행기간 중 1일 2회, 100㎎ 내복하면 변종 인플루엔자 A 바이러스의 약 50%는 예방할 수 있다.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의 정체가 밝혀진 것은 1918∼1919년 ‘스페인 인플루엔자’가 전 세계에 퍼져 2,500만~5,000만 명이 숨진 사건 이후...
    도서 과학향기 | 태그 질병 , 감염성 , 호흡기
  • 홍콩 독감 Hong Kong flu, 1968年流感疫情
    H3N2 균주에 의해 유발되었으며, H2N2 유형의 유전자가 새로운 바이러스를 생성하는 복제 과정 중에 변이가 발생하여 H3N2가 탄생하였다. 당시 사망률은 스페인 독감의 사망률 2%보다 낮은 0.37%로 추산된다.저널 인용 1957년 아시아 독감을 치명적으로 겪은 중국이었지만, 이후 의료 체계 개선이 이루어지지 않았기...
    도서 위키백과
  • 돼지의 주요 질병, 바이러스성 질병
    프랑스, 스페인 등의 구미 국가와 아시아를 포함한 세계 여러 나라에서 보고 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1999년에 첫 발생이 확인된 이후 점차 증가하는 추세이며 현재는 거의 모든 농장에서 확인되고 있는 현실이다. 우리나라는 주로 이유 후 1주에서 70일령(25kg) 내외에서 주로 발생해 이유 후 폐사율이 7%를 넘게...
    도서 돼지 기르기 | 태그 동물 , 질병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7 다음페이지 없음

멀티미디어1건

1918년 스페인독감 유행 당시 병원 응급실의 모습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