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송환 送還, Repatriation
    비전향 장기수를 주제로 다룬 김동원 감독의 다큐멘터리 영화.|내용 한국 사회의 어두운 일면을 조명해 온 김동원 감독의 다큐멘터리 영화로, 분단과 냉전에 의해 한국에 억류되어 있던 남파 간첩들이 사상적으로 전향하지 않은 채 장기수로서 복역하다 남북 화해 무드 속에서 북한으로 송환되기까지를 다루고 있다. 1...
    시대 :
    현대
    저작자 :
    김동원
    창작/발표시기 :
    2004년 3월 19일
    성격 :
    영화, 다큐멘터리
    유형 :
    작품
    분야 :
    예술·체육/영화
  • 송환 (영화) Repatriation (film)
    영화 정보 《송환》은 비전향 장기수를 다룬 김동원 감독의 다큐멘터리 영화이다. 영화는 병보석으로 출소되어 1993년부터 감독과 같은 동네에 살게 된 두 비전향 장기수를 담은 화면으로 시작된다. 감독은 그들의 일상을 보여주면서 장기수들이 수감되었던 청년 시기의 순수함을 노인이 되도록 아직도 가지고 있었다고...
    도서 위키백과
  • 피드백 되먹임, feedback
    분자·세포·개체·개체군 등과 같은 한 계 안에서 그 계의 연속적인 활성과 생산성에 영향을 끼치는 반응.|본질적으로 피드백은 어떤 반응의 최종산물이 다시 그 생물반응을 조절하는 것이다. 이 용어는 '되먹임'이라 하여 수학, 특히 통신이론의 몇몇 분야에서도 널리 사용하고 있는데 산출량의 일부가 연속되는 계...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생물
  • 송환
    송환(送還)의 의미는 다음과 같다. 송환은 포로나 불법 입국자 등을 본국으로 도로 돌려보내는 일이다. 송환은 은 비전향 장기수를 다룬 다큐멘터리 영화이다. 피드백을 송환이라고도 한다. 동음이의
    도서 위키백과
  • 휴전협정과 포로 송환
    감시위원단도 조직되었다. 휴전 후 마무리해야 할 한 가지 문제가 남아 있었는데, 양측이 1953년 8월 5일부터 9월 6일 사이에 실행하기로 한 포로 교환(송환)이었다. 포로 교환 문제는 휴전협정이 오래 지연된 원인 중 하나였다. 사실 양측 모두 포로 교환이 문제가 되리라고는 예상하지 못했다. 그런데 2만 명에 가까운...
  • 홍콩송환법 사태 ─ 送還法 事態
    개요 홍콩 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범죄인 인도 법안과 관련된 일련의 사태. 법안은 '범죄인 인도 법안'이 정식 명칭이며 '송환법'이라고도 한다. 2019년 대만에서 범죄를 저지른 한 홍콩 남성의 대만 송환 건으로 추진된 '홍콩송환법'이 중국에 반중국 인사를 송환하는 데 악용될 수 있다고 본 시민들에 의해 거센 반발을...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중국 , , 분쟁
  • 국군포로의 송환 및 대우 등에 관한 법률 國軍捕虜의 送還 및 待遇 等에 關한..
    개설 법률 제11652호로 제정된 「국군포로의 송환 및 대우 등에 관한 법률」은 2013년 6월에 제정된 것으로 이전의 국군포로 등에 관한 법률을 일부 개정한 법률안이다. 전체 20개조의 조문과 부칙 3조로 구성되어 있다. 내용 「국군포로의 송환 및 대우 등에 관한 법률」은 2013년에 개정된 법률로서 20개조의 본문으로...
    시대 :
    현대/대한민국
    유형 :
    제도
    분야 :
    정치·법제/국방
  • 도망노예송환 逃亡奴隷送還法, Fugitive Slave Acts
    사람들은 이미 1810년부터 조직적으로 흑인노예들이 남부 주에서 '지하철도'를 통해 뉴잉글랜드나 캐나다로 도망갈 수 있도록 도와주었다. 제2차 도망노예송환법은 보다 효과적인 법을 만들자는 남부의 요구로 1850년 제정되었다. 이 법에 의해 도망노예들은 자신을 위해 증언할 수도 없을 뿐 아니라 배심원 재판도 받지...
    도서 다음백과 | 태그
  • 도망노예송환
    노예의 법정 진술권 박탈, 배심원 평결 적용 대상 제외. 법 집행 거부 또는 노예를 놓친 연방 보안관 처벌.' 1850년 9월 18일 미국 의회가 통과시킨 '도망노예송환법FSA(Fugitive Slave Act)'의 골자다. 반인권적이고 반문명적 독소 조항을 대거 담았던 이 법이 통과된 것은 연방의 분열을 막을 '1850년 대타협...
  • 포로 송환 문제 포로 교환 문제
    1951년 7월 10일부터 휴전 회담이 개시된 이래 1953년 휴전 조약이 체결될 때까지 포로 송환은 휴전 회담 중 가장 논쟁이 격렬했던 문제였다. 공산군 측은 제네바 협정 제118조에 따라 모든 포로는 무조건 송환시킨다는 원칙을 주장했고, 유엔군 측은 개인 권리 불가침을 내세워 희망자만 송환시킨다는 원칙을 제시해서...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한국사 , 현대
  • 중립국송환위원회 中立國送還委員會
    내용 중립국송환위원회는 한국전쟁의 정전을 위한 회담의 최대 쟁점이었던 포로 송환 문제를 둘러싼 유엔군 측과 공산군 측의 대립을 인도가 중재·절충하여 실현된 것이다. 공산군 측은 제네바협정에 의거한 강제송환을 주장하였고 반면 유엔군 측은 개인의 자유로운 선택을 내세웠다. 중립국송환위원회는 1953년 7...
    시대 :
    현대
    유형 :
    제도
    시행일 :
    1953년 7월 27일
    폐지일 :
    1954년 2월
    분야 :
    역사/현대사
  • 외국인 선교사 추방사건 외국인 선교사 철수·송환, 外國人 宣敎師 追放事件
    개설 1937년 중일전쟁을 도발하여 대륙침략에 나선 일제는 1940년대에 들어와 서양 국가들과의 외교관계가 점차 악화되자 한국의 외국인 선교사들을 본국으로 송환시켰고 1941년 태평양전쟁 발발 이후 대부분 선교사들이 억류 · 추방되었다. 역사적 배경 1930년대에 들어와 만주사변(1931)과 중일전쟁(1937)을 도발한...
    시대 :
    근대/일제강점기
    유형 :
    사건
    분야 :
    종교·철학/개신교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4건

송환
홍콩송환법 반대 시위
변월룡, 〈판문점에서의 북한 포로 송환〉, 캔버스에 유채, 51×71cm, 1953년, 유족 소장
김구의 부탁으로 3열사 유해송환의 책임을 맡은 박열(왼쪽부터 박열, 김구, 양근환)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