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송환 送還, Repatriation비전향 장기수를 주제로 다룬 김동원 감독의 다큐멘터리 영화. 내용 한국 사회의 어두운 일면을 조명해 온 김동원 감독의 다큐멘터리 영화로, 분단과 냉전에 의해 한국에 억류되어 있던 남파 간첩들이 사상적으로 전향하지 않은 채 장기수로서 복역하다 남북 화해 무드 속에서 북한으로 송환되기까지를 다루고 있다. 1...
- 시대 :
- 현대
- 저작자 :
- 김동원
- 창작/발표시기 :
- 2004년 3월 19일
- 성격 :
- 영화, 다큐멘터리
- 유형 :
- 작품
- 분야 :
- 예술·체육/영화
-
휴전협정과 포로 송환감시위원단도 조직되었다. 휴전 후 마무리해야 할 한 가지 문제가 남아 있었는데, 양측이 1953년 8월 5일부터 9월 6일 사이에 실행하기로 한 포로 교환(송환)이었다. 포로 교환 문제는 휴전협정이 오래 지연된 원인 중 하나였다. 사실 양측 모두 포로 교환이 문제가 되리라고는 예상하지 못했다. 그런데 2만 명에 가까운...
-
-
국군포로의 송환 및 대우 등에 관한 법률 國軍捕虜의 送還 및 待遇 等에 關한..개설 법률 제11652호로 제정된 「국군포로의 송환 및 대우 등에 관한 법률」은 2013년 6월에 제정된 것으로 이전의 국군포로 등에 관한 법률을 일부 개정한 법률안이다. 전체 20개조의 조문과 부칙 3조로 구성되어 있다. 내용 「국군포로의 송환 및 대우 등에 관한 법률」은 2013년에 개정된 법률로서 20개조의 본문으로...
- 시대 :
- 현대/대한민국
- 유형 :
- 제도
- 분야 :
- 정치·법제/국방
-
-
-
중립국송환위원회 中立國送還委員會내용 중립국송환위원회는 한국전쟁의 정전을 위한 회담의 최대 쟁점이었던 포로 송환 문제를 둘러싼 유엔군 측과 공산군 측의 대립을 인도가 중재·절충하여 실현된 것이다. 공산군 측은 제네바협정에 의거한 강제송환을 주장하였고 반면 유엔군 측은 개인의 자유로운 선택을 내세웠다. 중립국송환위원회는 1953년 7...
- 시대 :
- 현대
- 유형 :
- 제도
- 시행일 :
- 1953년 7월 27일
- 폐지일 :
- 1954년 2월
- 분야 :
- 역사/현대사
-
외국인 선교사 추방사건 외국인 선교사 철수·송환, 外國人 宣敎師 追放事件개설 1937년 중일전쟁을 도발하여 대륙침략에 나선 일제는 1940년대에 들어와 서양 국가들과의 외교관계가 점차 악화되자 한국의 외국인 선교사들을 본국으로 송환시켰고 1941년 태평양전쟁 발발 이후 대부분 선교사들이 억류 · 추방되었다. 역사적 배경 1930년대에 들어와 만주사변(1931)과 중일전쟁(1937)을 도발한...
- 시대 :
- 근대/일제강점기
- 유형 :
- 사건
- 분야 :
- 종교·철학/개신교
도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