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속리산 관음암 대한불교조계종, 俗離山 觀音庵충청북도 보은군 속리산면 속리산(俗離山)에 있는 삼국시대 신라의 승려 회월이 창건한 암자. 법주사. 내용 대한불교조계종 제5교구 본사인 법주사(法住寺)의 산내 암자이다. 속리산의 정중앙에 위치하며, 관세음보살이 상주하는 도량이라고 하여 관음암이라 하였다. 663년(문무왕 3)에 회월(晦月)이 창건하였는데, 회...
- 유형 :
- 유적
- 분야 :
- 종교·철학/불교
-
-
속리산 광명산(光明山), 俗離山속리산은 충청북도 보은군, 괴산군과 경상북도 상주시에 걸쳐 있는 산이다. 충청북도와 경상북도 사이의 소백산지에 위치하는 화강암 산지로, 화강암의 암체가 드러난 바위 봉우리들이 유명한 산지이다. 산의 정상부와 주요 능선은 풍화된 화강암이 노출된 암석 봉우리의 형태로 드러나 있으며, 경관이 뛰어나다. 1181종...
- 유형 :
- 지명/자연지명
- 분야 :
- 지리/자연지리
-
-
-
-
속세를 떠난 이상향, 속리산 법주사 일원道不遠人人遠道 산은 세속을 떠나지 않았으나 세속이 산을 떠났도다 山非俗離俗離山 조선 중기의 시인 백호(白湖) 임제(林悌)가 속리산을 보고 남긴 시의 한 구절이다. 속리산은 맑고 청량한 산이다. 그 옛날 이곳을 찾았던 백호의 시에 묘사된 것처럼 속리산은 속세를 떠난 피안(彼岸)의 세계다. 구름 속에 갈무리되어...
- 문화재 지정 :
- 명승 제61호
- 소재지 :
- 충북 보은군
-
속리산 국립공원 속리악, 俗離山 國立公園개설 대한민국 팔경 가운데 하나인 속리산은 백두대간에서 남서 방향으로 뻗어 내려오는 소백산맥 줄기의 중앙에 위치한다. 남북으로는 한반도의 척추 역할을 하는 백두대간이 지나며 천왕봉에서 한남금북정맥이 분기한다. 속리산 국립공원은 속리산과 화양계곡, 선유계곡, 쌍곡계곡 등의 3개 계곡을 합하여 국립공원을...
- 시대 :
- 현대
- 유형 :
- 지명/시설
- 분야 :
- 지리/자연지리
-
속리산 중사자암 俗離山 中獅子庵내용 대한불교조계종 제5교구 본사인 법주사(法住寺)의 산내 암자이다. 속리산의 문장대(文藏臺) 아래에는 원래 상사자(上獅子)·중사자·하사자 등 세 암자가 있었는데, 상사자암과 하사자암은 약 90여 년 전에 폐허가 되었다. 바위 모양이 사자와 같다고 하여 사자암이라고 칭한 이 암자는 720년(성덕왕 19)에 창건...
- 시대 :
- 고대/남북국
- 유형 :
- 유적
- 분야 :
- 종교·철학/불교
-
속리산 법주사 일원 俗離山 法住寺 一圓내용 2009년 명승으로 지정되었다. 지정면적 19,224,542㎡. 속리산 일원은 우리나라 8경 중의 하나로, 제2금강 또는 소금강으로 불리는데, 4계절의 변화에 따른 경치와 기암 · 괴석은 절경을 이루고 있고, 대소사찰이 곳곳에 있어 많은 문화유산을 간직하고 있다. 특히, 법주사는 553년에 천축(天竺 : 지금의 인도...
- 유형 :
- 유적
- 분야 :
- 예술·체육/건축
-
속리산 여적암 俗離山 汝寂庵내용 대한불교조계종 제5교구 본사인 법주사(法住寺)의 산내 암자이다. 1694년(숙종 20)에 여적당(汝寂堂) 경수가 창건하였다. 그러나 여적암에 고려시대 조성으로 추정되는 보은 법주사 여적암 다층청석탑이 전하므로 그 이전에 창건되었을 가능성이 높다. 보은 법주사 여적암 다층청석탑은 2009년 충청북도 유형문화재...
- 시대 :
- 조선
- 유형 :
- 유적
- 분야 :
- 종교·철학/불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