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속리산 관음암 대한불교조계종, 俗離山 觀音庵
    충청북도 보은군 속리산면 속리산(俗離山)에 있는 삼국시대 신라의 승려 회월이 창건한 암자. 법주사.|내용 대한불교조계종 제5교구 본사인 법주사(法住寺)의 산내 암자이다. 속리산의 정중앙에 위치하며, 관세음보살이 상주하는 도량이라고 하여 관음암이라 하였다. 663년(문무왕 3)에 회월(晦月)이 창건하였는데, 회...
    유형 :
    유적
    분야 :
    종교·철학/불교
  • 속리산 俗離山
    높이 1,058.4m. 한국의 8경 가운데 하나로 소금강산·구봉산·광명산 등으로도 불린다. 비교적 산세가 험하며 웅장하다. 기반암은 화강암·변성퇴적암이다. 다양한 동물이 서식하고 있으며, 소나무·졸참나무·신갈나무·잣나무·전나무·버드나무 등 수림이 울창하다. 특히 산록에 우거진 조릿대(산죽) 숲이 장관이다. ...
  • 속리산 광명산(光明山), 俗離山
    속리산은 충청북도 보은군, 괴산군과 경상북도 상주시에 걸쳐 있는 산이다. 충청북도와 경상북도 사이의 소백산지에 위치하는 화강암 산지로, 화강암의 암체가 드러난 바위 봉우리들이 유명한 산지이다. 산의 정상부와 주요 능선은 풍화된 화강암이 노출된 암석 봉우리의 형태로 드러나 있으며, 경관이 뛰어나다. 1181종...
    유형 :
    지명/자연지명
    분야 :
    지리/자연지리
  • 속리산 Songnisan, 俗離山
    Sokri Mountain)은 대한민국 충청북도 보은군과 괴산군, 경상북도 상주시와 문경시에 걸쳐 있는 높이 1,058m의 산이다. 화강암을 기반으로 변성퇴적암이 섞여 있고 화강암 부분은 날카롭게 솟아오르고 변성퇴적암 부분은 깊게 패여 높고 깊은 봉우리와 계곡이 절경을 이루고 있어 광명산(光明山), 미지산(彌智山), 소금...
    도서 위키백과
  • 장각폭포 (관련어 속리산)
    속리산의 최고봉인 천황봉에서 시작한 시냇물이 장각동 계곡에 흘러 6m 높이의 절벽을 타고 떨어지는 폭포를 장각폭포라고 한다. 폭포 위의 기암절벽과 오래된 소나무 숲으로 둘러싸인 폭포는 비경도 훌륭하며 낙수의 소리와 용소의 깊이 또한 헤아릴 수 없을 만큼 깊어 웅장한 위용을 지닌 폭포이다. 폭포 위에는 금란...
    위치 :
    경상북도 상주시 화북면 740
  • 옥량폭포 (관련어 속리산)
    속리산 동쪽의 상주시 화북면 일대는 장각폭포, 오송폭포 등 크고 작은 폭포들이 있는데, 옥량폭포는 그중 높이 15m로 가장 높고 웅장한 폭포이다. 상주시에서 괴산으로 가는 길목, 속리산국립공원 백악산(해발 857m)에서 발원된 물이 옥량계곡을 지나 거대한 바위 사이로 흘러내리며 만들어진 이 폭포는 상부, 중부, 하...
    위치 :
    경상북도 상주시 화북면 문장로
  • 오송폭포 (관련어 속리산)
    오송폭포는 상주시에서 괴산으로 가는 길목에 있으며, 속리산 국립공원 구역 내에 위치해 있다. 속리산 신선대에서 발원한 계류가 빚은 높이 15m의 아름다운 폭포이다. 보기에 따라 5단 또는 7단의 층을 타고 물줄기가 구르지만, 비 온 뒤에는 층이 구별되지 않을 만큼 장쾌한 자태를 과시한다. 천연림과 기이한 암석 사...
    위치 :
    경상북도 상주시 화북면 장암리
  • 속세를 떠난 이상향, 속리산 법주사 일원
    道不遠人人遠道 산은 세속을 떠나지 않았으나 세속이 산을 떠났도다 山非俗離俗離山 조선 중기의 시인 백호(白湖) 임제(林悌)가 속리산을 보고 남긴 시의 한 구절이다. 속리산은 맑고 청량한 산이다. 그 옛날 이곳을 찾았던 백호의 시에 묘사된 것처럼 속리산은 속세를 떠난 피안(彼岸)의 세계다. 구름 속에 갈무리되어...
    문화재 지정 :
    명승 제61호
    소재지 :
    충북 보은군
  • 속리산 국립공원 속리악, 俗離山 國立公園
    개설 대한민국 팔경 가운데 하나인 속리산은 백두대간에서 남서 방향으로 뻗어 내려오는 소백산맥 줄기의 중앙에 위치한다. 남북으로는 한반도의 척추 역할을 하는 백두대간이 지나며 천왕봉에서 한남금북정맥이 분기한다. 속리산 국립공원은 속리산과 화양계곡, 선유계곡, 쌍곡계곡 등의 3개 계곡을 합하여 국립공원을...
    시대 :
    현대
    유형 :
    지명/시설
    분야 :
    지리/자연지리
  • 속리산 중사자암 俗離山 中獅子庵
    내용 대한불교조계종 제5교구 본사인 법주사(法住寺)의 산내 암자이다. 속리산의 문장대(文藏臺) 아래에는 원래 상사자(上獅子)·중사자·하사자 등 세 암자가 있었는데, 상사자암과 하사자암은 약 90여 년 전에 폐허가 되었다. 바위 모양이 사자와 같다고 하여 사자암이라고 칭한 이 암자는 720년(성덕왕 19)에 창건...
    시대 :
    고대/남북국
    유형 :
    유적
    분야 :
    종교·철학/불교
  • 속리산 법주사 일원 俗離山 法住寺 一圓
    내용 2009년 명승으로 지정되었다. 지정면적 19,224,542㎡. 속리산 일원은 우리나라 8경 중의 하나로, 제2금강 또는 소금강으로 불리는데, 4계절의 변화에 따른 경치와 기암 · 괴석은 절경을 이루고 있고, 대소사찰이 곳곳에 있어 많은 문화유산을 간직하고 있다. 특히, 법주사는 553년에 천축(天竺 : 지금의 인도...
    유형 :
    유적
    분야 :
    예술·체육/건축
  • 속리산 여적암 俗離山 汝寂庵
    내용 대한불교조계종 제5교구 본사인 법주사(法住寺)의 산내 암자이다. 1694년(숙종 20)에 여적당(汝寂堂) 경수가 창건하였다. 그러나 여적암에 고려시대 조성으로 추정되는 보은 법주사 여적암 다층청석탑이 전하므로 그 이전에 창건되었을 가능성이 높다. 보은 법주사 여적암 다층청석탑은 2009년 충청북도 유형문화재...
    시대 :
    조선
    유형 :
    유적
    분야 :
    종교·철학/불교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44건

속리산
속리산
속리산
속리산
속리산
속리산
속리산
속리산
속리산 천왕봉
속리산 산호대
미륵대불
속리산 문장대
속리산 경업대
속리산 배석대
속리산 문장대
속리산 학소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