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설화 구술서사, 說話설화(說話)는 구술 연행을 통해 전승되거나 구전되다가 기록된 것으로, 서사적 구성을 갖춘 이야기이다. '설화'라는 용어는 식민지 시기 근대적 의미의 ‘folktale’을 번역한 개념으로 활용하기 시작했다. 경우에 따라서는 ‘folktale’을 ‘민담(民譚)’으로 따로 번역하고, 이야기의 총칭으로 ‘설화(說話)’의 개념...
- 유형 :
- 개념
- 분야 :
- 문학/구비문학
-
야담 설화, 野談조선후기에 한문으로 기록된 비교적 짤막한 길이의 잡다한 이야기. 설화. 개설 ‘야담’은 중국이나 일본에는 존재하지 않는 한국식 한자어이기 때문에, 이것의 갈래적 성격에 대한 논의가 분분하다. 야담이 민간전승 과정을 거친 데다 민간전승의 골격을 유지하므로 모두 설화로 규정하는 견해도 있고, 야담 안에 전...
- 유형 :
- 개념
- 분야 :
- 문학/구비문학
-
설화 說話부산 지역에서 옛날부터 구전되어 전해 내려오는 서사 구조를 가진 꾸며낸 이야기. [개설] 설화는 시간적·인과적 질서에 의해 전개되는 일정한 서사 구조를 가진 이야기로, 인류가 언어를 가지기 시작했을 때부터 존재했을 것으로 추정되는 보편적인 갈래이다. 설화는 구전되는 문학이기 때문에 기본적으로 가변성(可...
- 분야 :
- 구비 전승·언어·문학
- 지역 :
- 부산광역시
출처 한국 향토문화 전자대전 -
설화한 민족 사이에서 구비 전승되어 오는 이야기로서, 신화·전설·민담을 포함 자연적·집단적으로 발생한 민족적·평민적 이야기로서 한민족의 생활감정과 풍습을 암시하며, 내용은 상상적·공상적이고 서사적이어서 소설의 모태가 된다.
-
홍수 설화 洪水 說話전승 및 채록 홍수 설화는 홍수가 핵심 사건이나 배경으로 등장하거나 홍수 이후의 현상이 나타나는 이야기다. 홍수가 일어날 것이 예고되어 이에 대해 대비하는 과정의 사건이 구체적으로 그려지기도 하고 홍수가 발생한 이후의 대응이 핵심 사건으로 구체화되기도 한다. 혹은, 홍수가 일어난 후 지형이나 세계의 변화...
- 유형 :
- 개념
- 분야 :
- 문학/구비문학
-
-
단학설화 丹學說話여러가지 금기 내지 술법이 있기는 하다. 이러한 단학은 장생불로하는 신선으로 변화하는 것을 중심으로 삼으므로, 자연 그것에 관련된 설화가 많이 생겨나게 마련이다. 단학설화로 간주할 수 있는 기사는 각종 만록(漫錄:일정한 체계 없이 붓 가는 대로 쓴 글)에 흩어져 있으나, 그 중 홍만종(洪萬宗)이 엮어 지은...
- 유형 :
- 개념용어
- 분야 :
- 종교·철학/도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