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설화 고담, 說話
    민화·민간서사문학 등으로도 통용된다. 설화는 말로 구연된다는 점에서 글로 지어진 소설과는 구별되며, 서사문학이라는 점에서 서정민요나 속담과 다르고, 산문문학이라는 점에서 민요나 무가 또는 판소리와는 구별된다.|개요 민화(民話)·석화(昔話)·민간서사문학 등으로도 통용된다. 설화는 말로 구연된다는 점에...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문학
  • 설화 구술서사, 說話
    설화(說話)는 구술 연행을 통해 전승되거나 구전되다가 기록된 것으로, 서사적 구성을 갖춘 이야기이다. '설화'라는 용어는 식민지 시기 근대적 의미의 ‘folktale’을 번역한 개념으로 활용하기 시작했다. 경우에 따라서는 ‘folktale’을 ‘민담(民譚)’으로 따로 번역하고, 이야기의 총칭으로 ‘설화(說話)’의 개념...
    유형 :
    개념
    분야 :
    문학/구비문학
  • 야담 설화, 野談
    조선후기에 한문으로 기록된 비교적 짤막한 길이의 잡다한 이야기. 설화.|개설 ‘야담’은 중국이나 일본에는 존재하지 않는 한국식 한자어이기 때문에, 이것의 갈래적 성격에 대한 논의가 분분하다. 야담이 민간전승 과정을 거친 데다 민간전승의 골격을 유지하므로 모두 설화로 규정하는 견해도 있고, 야담 안에 전...
    유형 :
    개념
    분야 :
    문학/구비문학
  • 설화 說話
    부산 지역에서 옛날부터 구전되어 전해 내려오는 서사 구조를 가진 꾸며낸 이야기.|[개설] 설화는 시간적·인과적 질서에 의해 전개되는 일정한 서사 구조를 가진 이야기로, 인류가 언어를 가지기 시작했을 때부터 존재했을 것으로 추정되는 보편적인 갈래이다. 설화는 구전되는 문학이기 때문에 기본적으로 가변성(可...
    분야 :
    구비 전승·언어·문학
    지역 :
    부산광역시
  • 설화
    한 민족 사이에서 구비 전승되어 오는 이야기로서, 신화·전설·민담을 포함 자연적·집단적으로 발생한 민족적·평민적 이야기로서 한민족의 생활감정과 풍습을 암시하며, 내용은 상상적·공상적이고 서사적이어서 소설의 모태가 된다.
  • 설화 Setsuwa, 説話
    서울대학교 출판부, 1970), 『구비문학개설』(한국구비문학회, 일조각, 1971) 참조 구비문학(口碑文學)의 일종으로 각 민족에게는 그 민족 고유의 설화들이 내려온다. 설화의 종류는 신화, 전설, 민담 등이 있으며 각각 조금씩 다른 특성을 보인다. 신화는 천지의 창조, 민족이나 성씨의 시조 탄생 등 신성한 이야기를 ...
    도서 위키백과
  • 설화 (영화)
    영화 정보 "설화"는 2020년 4월 16일에 개봉한 대한민국의 영화이다. 민채은 : 설화 역 변준석 : 도진 역 김동범 : 병구 역 서도현 : 종호 역 김현동 : 신입형사 역 박주원 : 여경 역 진수 : 고참형사 역 여우린 : 여바텐더 역 조용근 : 바매니저 역 이양희 : 설화부 역 (특별출연)
    도서 위키백과
  • 봉이 김선달
    만담의 주인공이었다. 그 중에 김선달은 특히 기발한 착상과 허를 찌르는 행동으로 상대를 농락함으로써 당대 최고의 스타로 자리 잡았다. 하지만 김선달 설화는 개인의 기발한 착상으로 금전적 이득을 취하여 일시적인 즐거움을 얻거나 스트레스를 해소하는 정도에 국한되었다. 도시화, 상업화의 산물 숙종 대 이후...
    시리즈 한국사 인물 열전 | 태그 조선 , 문학
  • 설화 (가수)
    문서 등재 기준설화은 대한민국의 가수이다.
    도서 위키백과
  • 홍수 설화 洪水 說話
    전승 및 채록 홍수 설화는 홍수가 핵심 사건이나 배경으로 등장하거나 홍수 이후의 현상이 나타나는 이야기다. 홍수가 일어날 것이 예고되어 이에 대해 대비하는 과정의 사건이 구체적으로 그려지기도 하고 홍수가 발생한 이후의 대응이 핵심 사건으로 구체화되기도 한다. 혹은, 홍수가 일어난 후 지형이나 세계의 변화...
    유형 :
    개념
    분야 :
    문학/구비문학
  • 구비문학 (관련어 설화) 구전문학, 口碑文學
    구비문학은 말로 전승된 문학을 연구하는 학문이다. 구비문학은 설화, 민요, 무가, 판소리, 민속극, 속담, 수수께끼, 속신어 등으로 분류된다.|개념과 정의 구비문학은 말로 전승된 문학인 설화, 민요, 무가, 판소리, 민속극, 속담, 수수께끼, 속신어 등의 문학을 연구하는 문학의 분과 학문이다. 구비문학은 입을 통...
    분류 :
    인문학 > 문학 > 구비문학
    도서 학문명 백과 | 태그 학문
  • 단학설화 丹學說話
    여러가지 금기 내지 술법이 있기는 하다. 이러한 단학은 장생불로하는 신선으로 변화하는 것을 중심으로 삼으므로, 자연 그것에 관련된 설화가 많이 생겨나게 마련이다. 단학설화로 간주할 수 있는 기사는 각종 만록(漫錄:일정한 체계 없이 붓 가는 대로 쓴 글)에 흩어져 있으나, 그 중 홍만종(洪萬宗)이 엮어 지은...
    유형 :
    개념용어
    분야 :
    종교·철학/도교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38건

최치원설화
대동기문 / 남이장군설화
삼국유사(권48) / 효녀지은설화
선문염송설화
선문염송설화
강연설화
최치원설화
독대설화
도미설화
강연설화
독대설화
강연설화
신선설화
신선설화
신선설화
삼국유사 / 만파식적 설화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