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서울대학교 중앙도서관 (관련어 서울대학교중앙도서관)
    서울대학교 중앙도서관(Seoul National University Library)은 서울대학교의 본부직할 부속시설로서 1946년 서울대학교가 개교하면서 경성대학의 건물과 서적을 이어받아 개관하였다. 1949년 도서관 명칭을 국립서울대학교중앙도서관에서 서울대학교 부속도서관으로 변경하였다. 1975년 1월 본관을 관악캠퍼스로 옮기면...
    도서 위키백과
  • 서울대학교 ─大學校
    연건캠퍼스에는 의과대학·치과대학·보건대학원·서울대학교병원이 위치해 있다. 부속기관으로 도서관·규장각·기숙사·언어교육원·평생교육원 등이 있고...같다. 도서관중앙도서관 외 분관으로 사회과학도서관·경영학도서관·농학도서관·법학도서관·의학도서관·치의학도서관·국제학도서관이 있고, 분관을...
    시대 :
    현대
    유형 :
    단체
    분야 :
    교육/교육
  • 서울대학교 관정도서관
    도서관 정보 서울대학교 관정관은 기존 서울대학교 중앙도서관의 시설 노후와 학업 공간 부족을 보완하기 위해 중앙도서관 뒤에 새로이 지어진 도서관이다. 관정관이란 이름이 붙여진 이유는 도서관 신축 기부금 모집 당시 가장 많은 액수의 기부를 한 이종환 회장의 아호 관정(冠廷)을 따왔기 때문이다. 층수는 총 8층...
    도서 위키백과
  • 도서관 圖書館
    및 입법부의 참고자료 구비와 봉사가 주무로 되어 있다. 대학도서관은 1946년 당시 경성대학 · 연희전문학교 · 보성전문학교 · 혜화전문학교 · 명륜전문학교...규정되어 있다. 이들의 장서량은 학교의 규모와 역사에 따라 차이가 있다. 서울대학교의 경우 경성제국대학의 장서와 전존된 규장각도서까지 합하여 100만...
    유형 :
    개념
    분야 :
    교육
  •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도서관.장서각
    한국학중앙연구원은 한국 문화의 심층 연구 및 교육을 담당하는 연구교육기관으로 한국국학진흥원과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 연구원과 함께 한국학 연구 지원을 중점적으로 받는 3대 국내 공공기관 중 하나이다. 이 중 한국학도서관은 한국학 기초 자료 및 한국학 연구 자료를 집적하고 온 오프라인을 통해 제공함...
    위치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하오개로 323 (운중동)
  • 중앙도서관 Central library, 中央図書館
    도서관 중앙도서관: 경상북도 문경시 도서관 중앙도서관: 경상북도 안동시 도서관 전북특별자치도 소재 공공 도서관 중앙도서관: 전북특별자치도 완주군 도서관 중앙도서관: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도서관 충청남도 소재 공공 도서관 중앙도서관: 충청남도 보령시 도서관 중앙도서관: 충청남도 아산시 도서관 중앙...
    도서 위키백과
  • 서울대학교 Namseoul University
    대학원, 국제대학원의 전문 과정을 갖추고 있다. 부속기관으로는 성암기념중앙도서관, 사회봉사지원센터, 글로벌미래교육원, 아동가족상담센터, 원격교육지원...융합연구센터 등이 있고, 부설기관으로 원격평생교육원, 드론교육원 등이 있다. 현황 남서울대학교의 소재지는 충청남도 천안시 서북구 성환읍 대학로 91이다...
    설립 :
    (개교) 1994년 3월
    유형 :
    사립 종합대학
    설립자 :
    이재식, 공정자
    소재지 :
    충청남도 천안시 서북구 성환읍 대학로 91
    사이트 :
    http://www.nsu.ac.kr
  • 서울대학교 규장각
    규장각은 조선 후기의 왕실 학문 연구 기관이자 왕실 도서관으로 지금의 국립중앙도서관 격이다. 1776년 조선의 22대 국왕 정조가 창덕궁 금원의 북쪽에 규장각...왕립 학술기관으로의 기능뿐만 아니라 정책연구 기능을 겸하였다. 현재는 서울대학교 내에 문화재 보존 설비를 완비한 전통 양식의 기와집 건물을 지어...
    위치 :
    서울특별시 관악구 관악로 1
    설립자 :
    正祖(조선 22대 국왕)
  • 서울대학교 Seoul National University, ソウル大学校
    전문대학원: 데이터사이언스학과 중앙도서관: 1946년 개교하면서 경성대학의 건물과 서적을 이어받아 개관하였다. 1949년 도서관 명칭을 ‘국립서울대학교중앙도서관’에서 ‘서울대학교 부속도서관’으로 변경하였으며 1975년 1월 본관을 관악캠퍼스로 옮기면서 도서관 명칭을 ‘서울대학교도서관’으로 변경하였고...
    도서 위키백과
  • 한국의 도서관
    권이 서울대학교 도서관에 소장되어 있고, 규장각서 중에서 봉모당본과 사고장서 중에서 적성산서고본은 창경궁 내에 있는 문화재관리국 장서각에 수장되어 있다...보존·열람하였다. 존경각의 장서는 현재 모두 성균관대학교 도서관에 소장되어 있다. 순수한 민간도서관이라고 할 수 있는 문중문고는 1910년대에 설립...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출판
  • 서울대학교 南서울大學校
    서울대학교로 변경하였다. 1999년 3월 학부제를 시행하여 23개 학과 6학부 10개 학과로 재편되었다. 2004년 8월 28일 개교 10주년 기념식이 있었다. 2006년도 대학종합평가 결과, 발전전략 및 비전 · 교육 및 사회봉사 · 연구 및 산학연협동 등의 분야에서 우수성을 인정받아 ‘종합 최우수 대학’으로 선정되었다...
    시대 :
    현대
    유형 :
    단체
    분야 :
    교육
  •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방송통신대, 韓國放送通信大學校
    2월서울대학교에서 독립하면서 경제학과ㆍ법학과ㆍ영어과ㆍ유아교육과를 신설하였다. 1991년 4년제로 개편하고, 1993년 3월한국방송통신대학교로 교명을 변경하였다. 1996년 방송통신대학TV가 개국하였으며, 1997년 5월 평생교육원을 설치하였다. 2001년 평생대학원을 개원하고, 2003년 관광학과ㆍ 문화교양학과, 2008년...
    시대 :
    현대
    유형 :
    단체
    분야 :
    교육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1건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