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생이가래 floating-fern
    개요 전국의 호수, 저수지, 연못 등 물에 떠서 자라는 한해살이풀이다. 전체 길이가 7-10cm다. 줄기는 가늘게 수면 위로 뻗으며 가지가 많이 갈라진다. 잎은 3개씩 돌려나며, 그 중 2개는 마주나서 물위에 뜨고 1개는 물속에서 뿌리 역할을 한다. 물에 잠기는 잎은 가을철에는 밑부분에 주머니 같은 것이 생겨 안에 포자...
    분류 :
    양치식물문 > 고사리강 > 생이가래목 > 생이가래과 > 생이가래속
    서식지 :
    호수, 저수지, 연못, 논
    학명 :
    Salvinia natans (L.) All.
    국내분포 :
    전국
    해외분포 :
    전 세계
  • 생이가래 생이가래목 생이가래, Salviniales
    물 위에 떠서 자라는 조그만 양치류로 이루어진 목.|각각 1개의 속(屬)만으로 이루어진 생이가래과와 물개구리밥과(Azollaceae)의 2과가 속한다. 생이가래속은 10종, 물개구리밥속은 6종으로 이루어져 있다. 물개구리밥속 식물에는 뿌리가 있으나 생이가래속 식물에는 없다. 이 목에 속하는 2과는 잎의 구조에서 뚜렷...
    분류 :
    양치식물 > 고사리강 > 고사리목 > 생이가래과 > 생이가래속
    원산지 :
    아시아, 유럽
    서식지 :
    괴어있는 물 위, 논이나 늪 위
    크기 :
    약 7cm ~ 10cm
    학명 :
    Salvinia natans (L.) All.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식물 , 양치식물
  • 생이가래 Floating watermoss, <일>サンショウモ
    분포지역 • 한국, 중국, 일본, 중앙아시아, 동남아, 유럽 등지에 분포한다. • 중부, 남부 및 제주도 등지에 분포한다. 형태 한해살이풀 이다. 크기 길이 7-10cm 잎 마디에 잎이 3개씩 돌려나기하는데 그 중 2개는 마주나기하여 물위에 뜨는 떠있는잎(浮水葉)으로서 주맥과 측맥이 있으나 1개는 물속에 잠기며 잘게 갈...
    분류 :
    생이가래목 > 생이가래과 > 생이가래속
    학명 :
    Salvinia natans (L.) All.
  • 생이가래
    잎 줄기로부터 3개씩 돌려나지만 2개는 마주나와 물위에 뜨고 1개는 물 속에서 뿌리처럼 실 모양으로 가늘게 갈라져 양분을 흡수하는 뿌리 구실을 한다. 물위에 뜨는 부수엽(浮水葉)은 잎자루가 길이 2mm로 짧고 중앙축의 좌우에 깃처럼 나란히 배열되는데 길이 1~1.5cm, 나비 6~10mm의 타원형으로서 끝이 둥글고 밑은 ...
    학명 :
    Salvinia natans
    분포지역 :
    제주도, 남부·중부 지방
    자생지역 :
    무논, 연못
    번식 :
    포자·분주
    약효 부위 :
    온포기
    생약명 :
    오공평(蜈蚣萍)
    키 :
    10cm 정도
    과 :
    생이가랫과
    생활사 :
    한해살이물풀
    채취기간 :
    5~6월
    취급요령 :
    햇볕에 말려 쓴다.
    특징 :
    서늘하며, 맵다.
    독성여부 :
    없다.
    1회 사용량 :
    4~6g
    주의사항 :
    해롭지는 않으나 치유되는 대로 중단한다.
  • 생이가래
    기재 일년생 수생식물. 줄기는 분지함, 5-10㎝. 잎은 녹색, 2열로 배열, 광타원형, 길이는 1.1㎝, 너비는 7-8㎜, 표면은 부드럽고 규칙적인 간격으로 인모가 배열한다. 원두, 전연, 원저 또는 심장저, 이면에 유모, 엽병은 짧고 유모, 화서는 마디에서 수중으로 남. 뿌리는 없고 침수엽이 잘게 갈라져서 뿌리처럼 보임. ...
    분류 :
    생이가래과(Salviniaceae)
    학명 :
    Salvinia natans (Linnaeus) Allioni
    국내분포 :
    낙동강 질날늪, 대평늪, 김해, 장제늪, 팔낙늪, 섬진강 낙수리, 금강 봉황리, 소학동, 정량리
    해외분포 :
    인도남부, 세일론, 아프리카
    도서 수생식물사전 | 태그 식물
  • 생이가래 Floating salvinia
    생물학적 특징 일년생 수생식물, 부유성, 길이 5~10㎝, 털이 많음 잎은 3개씩 윤생, 2개는 대생, 물위에 듬, 장타원형, 길이 1~2㎝, 전연, 원두, 심장저, 엽병이 짧음, 표면은 돌기 밀생, 이면은 잔털이 있음. 1개는 물속에 잠김, 뿌리가 없음 포자낭과는 구형, 6월에 다수의 소포자낭과 소수의 대포자낭이 생성, 포자가...
    분류 :
    생이가래과(Salviniaceae)
    서식지 :
    논이나 늪
    학명 :
    Salvinia natans (L.) A11.
    분포지역 :
    한국(남부), 일본, 대만, 중국, 인도, 러시아, 유럽, 북미
  • 생이가래 Salvinia natans, サンショウモ
    생이가래(Salvinia natans, floating watermoss 또는 floating moss)는 물 위에 떠서 사는 수생 양치류로 생이가래과에 속한다. 표면적으로는 이끼와 매우 유사하게 나타난다. 아시아, 아프리카, 유럽, 아메리카등 여러 대륙에 걸쳐 넓게 분포한다. 수생 고사리류로 한해살이풀이다. 줄기는 드문드문 분지하며 잎은 3장...
    도서 위키백과
  • Salvinia natans 생이가래, サンショウモ
    Salvinia natans (commonly known as floating fern, floating watermoss, floating moss, or commercially, Water Butterfly Wings) is an annual floating aquatic fern, which can appear superficially similar to moss. It is found throughout the world where there is plentiful standing fresh water, sunlight...
  • 생이가래 Salviniales, 水生シダ類
    생이가래목(Salviniales, 이전에는 수생양치목(Hydropteridales)으로 알려진 바 있고, 이전의 네가래목(Marsileales)을 포함.)은 양치식물강에 속하는 양치식물 목의 하나로 생이가래, 물개구리밥, 큰물개구리밥 등을 포함한다. 생이가래목은 모두 수생이며, 포자에 암, 수가 있어 대포자와 소포자를 만드는 성질인 이형...
    도서 위키백과
  • 생이가래과 Salviniaceae, 槐叶苹科
    생이가래과(Salviniaceae)는 생이가래목에 속하는 이형포자성 양치식물과의 하나이다. 물개구리밥속(Azolla)과 생이가래속 (Salvinia)의 2개 속을 포함하고 있다. 물개구리밥속은 한때 물개구리밥과(Azollaceae)로 분류하기도 했지만, 현재 물개구리밥속과 생이가래속은 자매 속 관계이다. 물개구리밥속 (Azolla...
    도서 위키백과
  • 부수식물 浮水植物, floating plant
    식물체를 고착하지 않고 물 위에 떠서 사는 식물로, 부표식물 또는 부엽식물이라고도 한다. 뿌리가 있지만, 물속에서 뿌리를 뻗고 땅까지 닿지는 않는다. 연못이나 논 등에서 많이 볼 수 있으며, 개구리밥, 부레옥잠, 마름, 생이가래 등이 이에 속한다. 부수식물은 이름과 같이 바람이 불거나 물결이 치면 움직인다.
    도서 물백과사전 | 태그 환경
  • 포자식물의 생식방법
    벽부분이 갑자기 열릴 때 포자낭이 터져 방출된다. 대부분의 고사리류는 동형포자성으로 한 종류의 포자를 생산한다. 그러나 수생(水生)고사리류인 생이가래속(Salvinia)이나 만강홍속은 이형포자성으로 대포자와 소포자를 생산한다. 포자는 어버이포자체로부터 방출된 후 적당한 환경에서 발아하여, 필라멘트 모양이나...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생물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다음페이지 없음

멀티미디어8건

생이가래
생이가래
생이가래
생이가래
생이가래
생이가래
생이가래
물 위에 떠서 자라는 생이가래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