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상태 전이 狀態轉移, state transition
    현재의 입력에 따라 순서 회로의 현재의 상태가 다음의 상태로 변하는 것을 말한다.
  • 상태 전이 문법 state transition grammar
    최종 상태가 하나 이상 있다. 상태 전이 문법에 의해 정의되는 문장은, 개시 상태에서 출발하여 문장의 단어 또는 직접 단어에 전개되는 카테고리와 호에 부착된 라벨이 일치하는 순으로 호를 거쳐 하나씩 최종 상태에 도착할 수 있는 문장이다. 상태 전이 문법에 의해 정의되는 문장의 집합은 정규 문법에 의해 정의...
    분야 :
    계산언어학
  • 상태 전이(순서회로의) state transition
    순서 회로에 입력이 가해졌을 때, 현재의 내부 상태가 q이고 다음 시각의 내부 상태가 q’로 되는 것을, 순서 회로가 내부 상태 q에서 q’로 전이한다고 말하고 이 전이상태 전이라고 한다. 상태 전이상태 전이 함수로 규정되고 이것은 상태 전이표나 상태 전이도로 표현할 수 있다.
    분야 :
    정보기계이론
  • 상태 전이 함수 state transition function
    상태 집합과 입력 알파벳과의 직곱 집합으로부터 상태 집합으로의 사상. 즉, 유한 오토머턴이 어느 상태에서 입력 신호를 입력시켰을 때 유한 오토머턴이 취하는 다음의 상태를 규정하는 함수. 상태도, 전이표 등으로 나타낸다.
    분야 :
    소프트웨어 기초
  • 전이상태이론 轉移狀態理論, transition-state the..
    분자들의 초기 배열상태와 최종 배열상태 사이에는 원자간 힘과 분자간 힘에서 생긴 에너지가 최대가 되는 중간 배열상태가 존재한다. 이 중간 배열상태전이상태라 한다. 전이상태와 초기 상태 사이의 에너지 차를 활성화 에너지라고 한다. 이 활성화 에너지는 반응계에 변환이 일어날 수 있도록 하는 최소 에너지...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물리
  • 상태 전이 함수 狀態轉移函數, state transition f..
    상태 집합과 입력 알파벳과의 직적 집합으로부터 상태 집합의 사상을 말한다.
  • 새로운 항생제 개발 전략: 세균간 정보교환을 방해하는 전이상태 유도체
    영국 과학자들이 유해한 세균들의 의사소통을 가로 막음으로써 이들을 표적으로 하는 새로운 항생제를 개발 중에 있다. 대부분의 항생제들은 세균이 살기에 필수적인 과정을 억제한다. 이것은 가장 강한 종만인 살아남는다는 것을 의미하는 선택 압력을 형성한다. 결과적으로 나타난 항생제 저항성의 증가로 인해...
    도서 과학향기 | 태그 과학 일반 , 생물
  • 전이상태 轉移狀態, transition state
    화학반응계에서 반응물질을 활성화시킬 수 있는 일정한 에너지준위상태.
  • 활성화 에너지 activation energy
    전이상태이론(transitionstate theory)에 의하면 활성화 에너지란 활성화, 즉 전이상태 배열과 초기배열을 하고 있는 원자나 분자의 에너지 양 사이의 차로, 반응속도 상수 k=Aexp(-E/RT)와 확산계수 D=D0exp(-E/RT) 같은 양을 수학적으로 표현할 때 E라는 기호로 나타낸다. 활성화 에너지는 다른 온도에서 측정된...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화학
  • 확장전이문법 augmented transition grammar
    에 부가해서 재귀상태 전이문법을 확장한 전이망으로 나타내는 문법. 확장전이망문법(augmented transition network grammar ; ATNG)이라고도 한다. 재귀상태 전이문법(recursive transition network grammar)은 상태전이문법을 확장하여, 상태간을 연결하는 호에 붙이는 라벨로서, 전이망의 개시상태(그 상태로...
    분야 :
    계산언어학
  • 내부 상태 전이 함수 內部狀態轉移函數, Internal Tran..
    내부 상태 전이가 발생했을 경우 어떤 상태에서 어떤 상태로 이동할 것인지를 기술해 놓은 함수.
    분야 :
    국방정보체계
  • 외부 상태 전이 함수 外部狀態轉移函數, External Tran..
    외부에서 입력 사건이 발생했을 때 내부 상태를 변화시키기 위한 함수.
    분야 :
    국방정보체계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1건

전이상태이론(transitionstate theory)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