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삼부작 Triptych“어떤 면에서는 너무나 진부한 존재를 장엄하게 만들기 위해 노력해도 좋을 것이다.” -프랜시스 베이컨 《세상에서 가장 비싼 그림 100》에 나오는 초고가 그림 중 20세기 전반의 근대 미술 작품은 대부분 유럽 작가들 것이고, 20세기 후반의 현대 미술 작품은 대부분 미국 작가들 것이다. 제1차·제2차 세계 대전 이...
- 제작시기 :
- 1976년
- 가격 :
- $86,281,000(905억 2000만 원)
- 작가 :
- 프랜시스 베이컨(Francis Bacon, 1909~1992)
-
삼부작 Triptych“사람들은 시간이 지나면 죽음을 잊을 것이라고 말하지만 결코 떨쳐 낼 수 없다. 시간은 약이 되지 않는다. 몸을 움직이며 일에 집중할 때만 잊을 수 있다.” -프랜시스 베이컨 17위에 오른 〈삼부작〉처럼 프랜시스 베이컨이 즐겨 그린 삼부작 작품이다. 작품 제목만 같은 것이 아니라 전체 크기도 그 〈삼부작〉과 똑...
- 제작시기 :
- 1974년~1977년
- 가격 :
- $51,761,000(543억 1000만 원)
- 작가 :
- 프랜시스 베이컨(Francis Bacon, 1909~1992)
-
존 에드워즈 초상 습작 삼부작 Three Studies for a Portr..“내가 진심으로 사랑한 사람들이 모두 죽었기 때문에 이때까지 내 삶은 불행했다.” -프랜시스 베이컨 프랜시스 베이컨의 수작들이 요즘 세계 미술 시장에서 워낙 자주 나오는 데다 대부분 고가에 팔리고 있는 덕에 《세상에서 가장 비싼 그림 100》에서 베이컨의 작품을 시대별로 전부 감상해 볼 수 있다. 이 그림은 ...
- 제작시기 :
- 1984년
- 가격 :
- $80,805,000(847억 8000만 원)
- 작가 :
- 프랜시스 베이컨(Francis Bacon, 1909~1992)
-
루치안 프로이트 초상 습작 삼부작 Three Studies of Lucian..미술 경매 역사상 가장 비싸게 팔린 그림이 현대미술 부분에서 나온 것이다. 영국의 가장 중요한 현대 미술 작가 프랜시스 베이컨의 〈루치안 프로이트 초상 습작 삼부작〉이 주인공이었다. 수수료를 포함한 최종 금액이 무려 1억 4240만 달러, 당시 환율로 1494억 원이었다. 경매 역사상 새 기록이 세워진 것도...
- 제작시기 :
- 1969년
- 가격 :
- $142,405,000(1494억 1000만 원)
- 작가 :
- 프랜시스 베이컨(Francis Bacon, 1909~1992)
-
Trilogy 삼부작, 三部作A trilogy (from Greek τρι- tri-, "three" and -λογία -logia, "discourse") is a set of three works of art that are connected, and that can be seen either as a single work or as three individual works. They are commonly found in literature, film, or video games. Three-part works that are cons...출처 영어 위키백과
-
개미 삼부작의 등장인물 목록아래는 프랑스의 소설가 베르나르 베르베르의《개미》3부작의 등장인물에 대한 소개이다. 제 3부 《개미 혁명》에 따르면 3권으로 구성된 에드몽 웰즈의 《상대적이며 절대적인 지식의 백과사전》에 따라 "개미 혁명의 역사"를 3부분으로 나누고, "개미 혁명의 사람들"을 3부분으로 나누고 있다. 에드몽 웰즈 등장...도서 위키백과
-
발렌슈타인 (희곡 삼부작) Wallenstein (trilogy of plays), 华伦..《발렌슈타인》(Wallenstein)은 프리드리히 실러가 9년 만에 집필을 재개해 3년 만에 완성한 3부작 드라마다. 방대한 사료적 지식을 바탕으로 거대한 역사적 인물 ‘발렌슈타인’을 비극의 주인공으로 무대 위에서 입체감 있게 되살려 낸 대작이다. 실러의 ≪발렌슈타인≫ 3부작은 독일 문학사에서 처음 이루어진 쾌거...도서 위키백과
-
U.S.A. 삼부작 U.S.A. 삼부작, U.S.A. (trilogy)《U.S.A. 삼부작》(U.S.A. trilogy)은 도스 패소스의 1938년 장편소설이다. <북위 42도선> <1919년> <큰 돈>의 3부작을 개정해서 출판하였다. ‘뉴스 영화’ ‘전기(傳記)’ ‘카메라의 눈’이 병행해서 사용된 실험적 소설. 직업을 구하는 미국인이 전국을 방랑하는 가운데 좌절되어 가는 모습을 그려, 미국 자본주의의...도서 위키백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