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뽕나도향(羅稻香)이 지은 단편소설. 개설 1925년 12월 『개벽(開闢)』에 발표되었다. 「물레방아」·「벙어리 삼룡(三龍)」과 함께 나도향의 후기 사실주의를 대표하는 작품이다. 내용 강원도 철원(鐵原)에 사는 땅딸보·아편쟁이·노름꾼 김삼보(金三甫)와 그의 아내 안협집이 부부가 된 데 대해서는 억측만이 구구할 ...
- 시대 :
- 근대
- 저작자 :
- 나도향
- 창작/발표시기 :
- 1925년 12월
- 성격 :
- 단편소설
- 유형 :
- 작품
- 분야 :
- 문학/현대문학
-
-
-
구절초 넓은잎구절초, 九節草어머니의 사랑을 담은 꽃 이름의 유래는 음력 9월 9일 중양절에 채취한 것이 가장 약효가 좋다 하여 구절초라 한다. 줄기의 마디가 단오에는 다섯 중양절에는 아홉 마디가 된다는 뜻의 구와 중양절의 "절", 혹은 꺽는다는 뜻의 절자를 써서 구절초라고 한다. 가을에 뿌리째 캐어서 말려서 약으로 쓴다. 산과 들에 저절로...
- 분류 :
- 국화과
- 꽃색 :
- 흰색
- 학명 :
- Chrysanthemum zawadskii var. latilobum
- 개화기 :
- 9월~11월
-
구절초 선모초, 九節草분포지역 한국(전국의 산야), 중국 북부, 몽고, 일본(규슈)에 분포한다. 형태 숙근성 여러해살이풀로 관화식물이며, 단일성 식물이다. 크기 높이 50cm 잎 잎은 달걀모양 또는 넓은 달걀모양으로서 절저 또는 심장저에 가까우며 윗부분의 것은 예저로도 되고 가장자리가 1회 우상으로 갈라진다. 측열편은 흔히 4개로서 긴...
- 분류 :
- 초롱꽃목 > 국화과 > 산국속
- 꽃색 :
- 백색, 분홍색, 붉은색, 갈색
- 학명 :
- Dendranthema zawadskii var. latilobum (Maxim.) Kitam.
- 개화기 :
- 9월, 10월, 8월
-
-
뽕모시풀 뽕잎풀, Mulberry-weed개요 개울가나 산기슭에 자라는 한해살이풀이다. 식물체 전체에 잔털이 있다. 잎은 어긋나며 난형이고 길이 3-9cm, 폭 2-5cm, 양면이 거칠고 끝이 뾰족하며 가장자리에 둔한 톱니가 있다. 꽃은 9-10월에 암수한포기로 피며, 원줄기 또는 가지의 잎겨드랑이에서 취산꽃차례로 달린다. 화피는 4갈래로 갈라진다. 수술은...
- 분류 :
- 현화식물문 > 목련강 > 쐐기풀목 > 뽕나무과 > 뽕모시풀속
- 서식지 :
- 개울가, 산기슭
- 학명 :
- Fatoua villosa (Thunb.) Nakai
- 국내분포 :
- 경기도, 강원도, 전라남도, 경상남도, 제주도
- 해외분포 :
- 대만, 일본, 중국
-
5월의 좋은 뽕을 먹고 크는 누에는 조선의 보배왕비가 양잠의 본을 보여 비단생산에 힘쓰다 조선은 농사의 나라였습니다. 그래서 임금은 해마다 경칩(驚蟄) 뒤의 첫째 해일(亥日)에 제사를 지낸 뒤 친히 쟁기를 잡고 밭을 갈아 보임으로써 농사의 소중함을 만백성에게 알리는 의식을 행했지요. 그런가 하면 왕비는 몸소 궁궐 안팎 여성들을 거느리고 양잠의 본을 보여...
-
뽕모시풀 뽕잎풀, Mulberry-weed분포지역 제주도에서 경기도까지 분포한다. 형태 한해살이풀. 크기 높이 30~80cm이다. 잎 잎은 어긋나기하고 넓은 달걀모양이며 길이 3-9cm, 나비2-5cm로서 털이 있고 양면이 거칠며 끝이 뾰족하고 가장자리에 둔한 톱니가 있으며 밑부분은 다소 수평하고 엽병은 길이 1-6cm이다. 꽃 꽃은 단성꽃으로 암수한그루이고 9...
- 분류 :
- 쐐기풀목 > 뽕나무과 > 뽕모시풀속
- 꽃색 :
- 녹색
- 학명 :
- Fatoua villosa (Thunb.) Nakai
- 개화기 :
- 10월, 9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