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비지도형 기계 학습 非指導型機械學習, ..기계 학습 중 컴퓨터가 입력값만 있는 훈련 데이터를 이용하여 입력들의 규칙성을 찾는 학습 방법. 비지도형 학습 모델은 사람의 해석을 통해 유용한 지식을 추출하는 데 활용되거나 지도형 기계 학습(supervised learning)에서의 원래 입력보다 데이터 특징을 더 잘 표현하는 새로운 입력을 만드는 특징 추출기(featu...
-
AI, 비지도형 기계 학습 접근법/알고리즘기계 학습(ML) 중 컴퓨터가 입력값만 있는 훈련 데이터를 이용하여 입력들의 규칙성을 찾는 학습 방법. 훈련 데이터(training data)로 출력 없이 입력만 제공되는 상황을 문제(입력)의 답(출력)을 가르쳐 주지 않는 것에 비유해 비지도형 기계 학습 또는 비지도 학습이라고 한다. 입력의 규칙성에 따라 군집 분석(clus...
-
데이터 융합, 기계 학습 (관련어 비지도형 기계 학습) ML, 機械學習컴퓨터 프로그램이 데이터와 처리 경험을 이용한 학습을 통해 정보 처리 능력을 향상시키는 것 또는 이와 관련된 연구 대부분의 기계 학습은 다수의 파라미터(parameter)로 구성된 모델을 이용하며, 주어진 데이터로 파라미터를 최적화하는 것을 학습이라고 한다. 기계 학습은 학습 문제의 형태에 따라 지도형 기계 학...
-
AI, 기계 학습 (관련어 비지도형 기계학습) ML, 機械學習컴퓨터 프로그램이 경험이나 데이터를 이용한 학습을 통해 정보 처리 능력을 향상 시키는 것 또는 이와 관련한 연구. 대부분의 기계 학습(ML)은 다수의 파라미터(parameter)로 구성된 모델을 이용하는데, 주어진 데이터나 경험을 통해 파라미터를 최적화하는 것을 학습이라고 한다. 학습 문제의 형태에 따라 지도형 기...
-
강화형 기계 학습 强化型機械學習, Reinforcement le..강화형 기계 학습은 지도형/비지도형 기계 학습에 이용되는 훈련 데이터 대신, 주어진 상태에 맞춘 행동의 결과에 대한 보상(reward)을 준다. 컴퓨터는 보상을 이용하여 성능을 향상시킨다. 주로 게임이나 로봇 제어 등에 적용된다. 예를 들어, 체스를 두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학습시킬 때, 경우의 수가 너무 많고(약...
-
AI, 심층 신경망 접근법/알고리즘기법을 적용하면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 심층 기계 학습(deep learning)의 핵심 모델로 활용되고 있다. 심층 신경망은 알고리즘(algorism)에 따라 비지도형 기계 학습(unsupervised learning)을 기반으로 하는 심층 신뢰 신경망(DBN: Deep Belief Network), 심층 오토인코더(deep autoencoder) 등이 있고, 이미지와...
-
데이터 분석 처리 시각화, 군집 분석 群集 分析, cluster analysisdiscriminant analysis)이 있다. 판별 분석은 새로운 데이터를 기존의 알려진 데이터의 모집단으로 분류해주는 분석 작업이다. 기계 학습 분야에서는 군집 분석을 대표적인 비지도형 기계 학습(unsupervised learning), 판별 분석을 대표적인 지도형 기계 학습(supervised learning)으로 구분한다. 군집 분석은 컴퓨터...
-
데이터 분석 처리 시각화, 군집 분류 群集分類, clustering사이의 각도)와, 군집을 비교하여 -1과 1 사이의 값으로 관계를 표기하는 상관 계수(coefficient of correlation) 등이 있다. 군집 분류는 기계 학습 분야에서 비지도형 기계 학습(unsupervised learning)에 주로 사용되는 방법으로, 유사 데이터의 분할을 통하여 데이터에서 유용한 지식을 추출하는 데 활용할 수 있다...
-
군집 분석 群集 分析, cluster analysis이 있다. 판별 분석은 새로운 데이터를 기존의 알려진 데이터의 모집단으로 새로운 데이터를 분류해주는 분석 작업이다. 기계학습 분야에서는 군집 분석을 대표적인 비지도형 기계학습(unsupervised learning), 판별 분석을 대표적인 지도형 기계학습(supervised learning)으로 구분한다. 군집 분석은 컴퓨터과학...
-
군집 분류 群集分類, clustering객체 사이의 각도)와, 군집을 비교하여 –1과 1 사이의 값으로 관계를 표기하는 상관계수(correlation coefficient) 등이 있다. 군집 분류는 기계학습 분야에서 비지도형 기계학습(unsupervised machine learning)에 주로 사용되는 방법으로, 유사 데이터의 분할을 통하여 데이터에서 유용한 지식을 추출하는 데 활용할...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