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블로킹 Blocking
    농구 경기에서 선수가 볼의 위치와 관계 없이 상대 선수의 움직임에 따라 움직이다가 일어나는 접촉. 신체 접촉에 의한 파울의 하나이다.|농구 경기에서 상대 선수의 움직임을 저지시키는 부당한 신체 접촉. 신체 접촉에 의한 파울의 하나이다. 볼을 컨트롤하고 있지 않은 상대 선수가 코트 안에서 정지하고 있거나 물...
  • 블로킹 블록화, blocking
    데이터의 입출력에서 블록의 크기를 레코드의 크기보다 크게 하여 복수개(n개)의 레코드가 들어가도록 한 것. 블록화라고 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이용자 프로그램이 복수회(n회)의 논리적인 입출력(운영체제에 대한 입출력)을 행할 때에, 1회의 물리적인 입출력(실제의 입출력장치나 2차 기억장치에 대한 입출력)이 행해...
    분야 :
    시스템 프로그램
  • 블로킹 blocking
    화면에 공간감을 만들어내기 위해 카메라 프레임 내에 인물과 사물을 배열시키거나 카메라, 조명 등의 기재들을 적절한 곳에 배치시키는 예행연습. 피사체로서 인물을 블로킹할 때는 대개 객관적 시점이 사용되는데 이는 등장인물이 카메라를 의식하지 않고 관람자 또한 카메라가 등장인물의 동작을 담고 있다는 사실을 ...
    도서 영화사전 | 태그 영화
  • 블로킹 blocking
    화면에 공간감을 만들기 위해 카메라 프레임 내에 인물과 사물을 배열시키거나 카메라 혹은 조명 등의 기재를 적절한 곳에 배치시키는 예행연습.
    도서 광고사전 | 태그 광고
  • 블로킹 blocking
    ①데이터 기억 장치에서 파일을 일정한 크기의 블록으로 잘라서 관리하는 작업. ②통신에서 신호가 송신되는 것을 강제로 막는 작업.
  • 블로킹 폐쇠(關寒), blocking
    필름이나 시트 등을 포개어 놓으면 서로 밀착하여 떼어내기 힘들게 되는 현상.
    도서 기계공학대사전 | 태그 기계
  • 블로킹 blocking
    블로킹은 배구의 방어 기술이다. 1명 또는 그 이상의 전위 선수들이 팔을 뻗어 공이 네트를 건너오는 순간 막아내는 것이다. 블로킹으로 적의 공격을 효과적으로 저지하는 것을 유효블록이라고 칭한다. 센터(미들 블로커) 포지션의 주 임무가 블로킹이며 자신뿐 아니라 좌우에 위치한 선수들을 통제하며 블로킹을 책임진...
  • 블로킹
    블로킹이란 포수가 투수의 투구를 흘리지 않고 잘 받아내는 능력을 가르키는 단어이다. 블로킹은 포수의 능력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것 중에 하나이다. 블로킹은 포수가 투수의 공을 잘 잡아내는 능력인만큼 포수에게 있어 매우 중요한 능력이라고 얘기를 할 수가 있다. 블로킹은 포수가 가지는 가장 기본적인 덕목으로 ...
    도서 위키백과
  • 농구 籠球, basketball
    때 등의 경우는 파울 이외의 규칙위반으로 규정되어 상대팀이 공을 사이드라인 밖에서 던지게 된다. 농구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는 다음과 같다. ① 블로킹:공을 갖지 않은 상대 팀 선수의 진로를 방해하는, 규칙에 저촉되는 모든 접촉이다. ② 드리블:공을 손으로 바닥에 튀기면서 움직이는 동작이다. 일시적...
  • 카메라 블로킹 camera blocking
    카메라 위치를 계획하는 일. 연기자가 현장에서 대사를 생략한 채 행동 영역과 자세 등을 연습한 뒤 촬영으로 연결된다. 방송에서는 생방송 또는 녹화를 할 때 연출자가 연출 의도에 따라 카메라 움직임과 촬영 순서 따위를 소상히 계획하는 것을 뜻한다. 피사체를 촬영하는 앵글이나 화면 사이즈를 기입하고 복수...
    도서 광고사전 | 태그 광고
  • 블로킹 현상 blocking phenomenon
    블로킹 현상은 위도상 편서풍대에서 상층의 대규모 기압대가 정체하여 저기압의 이동을 저지하거나 방향을 변화시키는 현상을 말한다. 블로킹 현상이 발생하면 대류권 상층의 바람 패턴이 비정상적으로 나타나고 영향권 지역에서는 수일에서 길게는 수 주 동안 거의 같은 기상현상이 반복된다. 대기가 일종의 동맥 경화...
  • 블로킹 발진기 blocking oscillator
    펄스 변성기를 이용하여 정귀환을 할 수 있도록 구성한 이장발진회로(발진회로 참고)의 하나. 짧은 펄스를 발생하는 사이에만 정귀환이 걸리고, 간단한 회로로 큰 출력의 펄스를 발생할 때에 이용된다. 트리거(멀티바이브레이터 참고)에 의해서 펄스를 발생하는 단안정형과 자주적으로 동작하는 무안정형이 있다. 어느...
    분야 :
    정보소자/회로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1건

블로킹(blocking)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