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부여 정림사지 오층석탑국보로 유명한 정림사지오층석탑은 부여 정림사터에 세워져 있는 석탑으로, 좁고 낮은 1단의 기단(基壇) 위에 5층의 탑신(塔身)을 세운 모습이다. 신라와의 연합군으로 백제를 멸망시킨 당나라 장수 소정방이 ‘백제를 정벌한 기념탑’이라는 뜻의 글귀를 이 탑에 남겨놓아, 한때는 ‘평제탑’이라고 잘못 불리어지는 수...
- 위치 :
- 충청남도 부여군 부여읍 정림로 83
- 문화재 지정 :
- [부여 정림사지] 사적 제301호(1983.03.26 지정), [부여 정림사지 오층석탑] 국보 제9호(1962.12.20 지정)
- 참고 :
- 세계문화유산 등재
도서 대한민국 구석구석 -
부여 정림사지 오층석탑 평..부여 정림사지 오층석탑은 충청남도 부여군 정림사터에 있는 백제의 석조 불탑이다. 1962년에 국보로 지정되었다. 지대석을 구축하고, 기단부 위에 5층의 탑신부를 놓고 정상에는 상륜부를 형성하였다. 이 석탑은 목조탑의 구조를 석재로 변형하여 표현하고 있다. 좁고 낮은 단층 기단, 얇고 넓은 옥개석의 형태 등에서 ...
- 시대 :
- 고대/삼국/백제
- 유형 :
- 유적
- 분야 :
- 예술·체육/건축
-
부여 정림사지 오층석탑 국..정림사지에 있는 백제의 5층석탑. 전체적으로 보존상태가 좋은 편이며, 석탑의 구조는 기단 위에 탑신부가 있고 상륜부는 복발을 제외하고는 모두 없어졌다. 백제를 멸망시킨 당나라의 장수 소정방이 1층 탑신에 "대당평백제국비명"이라고 새겨놓아 당시의 수난을 엿볼 수 있다. 일본에 현존하는 호류 사 5층탑과도 비교...
- 문화재 지정 :
- 국보(1962.12.20 지정)
-
부여 정림사지 오층석탑 (관련어 부여정림사지오..) Five-storied stone pagoda o..문화재 정보 부여 정림사지 오층석탑(扶餘定林寺址五層石塔)은 백제시대의 대표적 석탑으로서 대한민국 충청남도 부여군 부여읍 동남리에 소재하고 있다. 화강암으로 이루어졌고 높이는 8.33m이다. 정림사는 사비의 시내 한가운데 있던 중요한 절이었다. 1963년 12월 20일 국보 제9호로 지정되었다. 익산 미륵사지 석탑(...도서 위키백과
-
부여 무량사 오층석탑 扶餘 無量寺 五層石塔木)·방분향(芳粉香) 등이 들어 있었다. 또, 제4층 탑신 속에서는 금동아미타삼존불좌상이 발견되었다. 이 탑의 전체적인 균형과 양식은 부근에 있는 정림사지오층석탑(定林寺址五層石塔)의 모습을 그대로 재현한 듯한 인상을 주고 있어서, 중부지방에서 유행하던 독특한 석탑양식을 반영하고 있다. 옥개석이 넓고, 상층...
- 시대 :
- 고려
- 유형 :
- 유적
- 분야 :
- 예술·체육/건축
-
부여 무량사 오층석탑 보물 제188호,..다듬은 3단의 기단받침이 있다. 탑신(塔身)은 지붕돌과 몸돌을 한 층으로 하여 5층을 이루고 있다. 지붕돌은 얇고 넓으며 처마는 수평을 이루다가 끝부분이 경쾌...5층에서는 사리구(舍利具)가 발견되기도 했다. 이 탑은 전체적으로 부여 정림사지 5층석탑(국보 제9호)의 양식을 따르고 있는데, 지역적인 영향을 받은 것...
-
서천 성북리 오층석탑 舒川 城北里 五層石塔내용 1963년 보물로 지정되었다. 높이 6.2m. 이 탑은 백제시대 석탑을 모방한 같은 유의 많은 석탑 중에서도 가장 충실하게 부여 정림사지 오층석탑(국보, 1962년 지정)을 모방하고 있다. 탑의 구조는 기단부와 탑신부(塔身部), 그리고 상륜부(相輪部)의 세 부분으로 형성되었는데 기단부를 받고 있는 지대석(地臺石)은...
- 시대 :
- 고려
- 유형 :
- 유적
- 분야 :
- 예술·체육/건축
-
공주 청량사지 오층석탑 公州 淸凉寺址 五層石塔아랫단 받침의 끝부분은 직각으로 꺾였지만, 윗단 받침은 가운데 부분에서 끝부분까지를 안쪽으로 비스듬히 깎고 다듬은 모습이다. 이러한 모습은 부여 정림사지 오층석탑(국보, 1962년 지정)이나 서천 성북리 오층석탑(보물, 1963년 지정)의 지붕돌 밑면 받침을 따른 것이어서 주목된다. 6장의 돌로 조립한 1층 지붕돌...
- 시대 :
- 고려
- 유형 :
- 유적
- 분야 :
- 예술·체육/건축
-
부여 정림사지 扶餘 定林寺址탑신 표면에 당나라가 백제를 멸망시킨 전승기념비적인 내용이 새겨져 있어, 정림사는 백제 왕실 또는 국가의 상징적 존재였던 것으로 판단된다. 부여 정림사지 오층석탑(국보, 1962년 지정)은 백제인의 감성이 고스란히 담겨진 석탑이지만, 초층 하부에 있는 소정방(蘇定方)의 평제기공문(平濟紀功文), 즉 소정방이...
- 시대 :
- 고대/삼국/백제
- 유형 :
- 유적
- 분야 :
- 예술·체육/건축
-
부여 장하리 삼층석탑 扶餘 長蝦里 三層石塔개설 1963년 보물로 지정되었다. 이 석탑은 부여 정림사지 오층석탑(국보, 1962년 지정)과 가장 가까운 위치에 건립되어 있고 그 형식을 충실히 모방한 작품으로 고려시대에 건립된 백제계석탑에 소속되는 대표적인 탑이다. 내용 높이 4.85m의 이 탑은 일반형 석탑의 형식을 따라 기단부(基壇部) 위에 탑신부(塔身部)와...
- 시대 :
- 고려
- 유형 :
- 유적
- 분야 :
- 예술·체육/건축
-
서천 성북리 오층석탑성북리 오층석탑은 높이 6.2m로 고려시대에 세워졌으면서도 백제 영토였던 서천 지역의 특색을 살려 부여 정림사지 오층석탑과 닮은 백제계 양식을 취하고 있다. 이처럼 이 탑은 단층 기단에 5층의 탑신을 갖추는 등 백제계 석탑 양식을 가장 충실히 따르고 있다. 특히 각 면의 모습이 위는 좁고 아래는 넓어 사다리꼴을...
- 위치 :
- 충청남도 서천군 비인면 서인로1243번길
- 문화재 지정 :
- [대구 동화사 비로암 석조비로자나불좌상] 보물 제224호(1963.01.21 지정)
도서 대한민국 구석구석 -
부여 정림사지 석조 여래 좌상 부여정림사지석불좌상, 扶餘 定林寺..개설 1963년 보물로 지정되었다. 전체 높이가 5.62m에 이른다. 이 불상은 정림사지 경내 팔각 대좌 위에 안치되어 있으며 1962년 국보로 지정된 부여 정림사지 오층석탑과 마주보고 있다. 현재 불상의 위치는 백제시대 정림사지의 강당 자리이며, 현지에서 발견된 명문기와를 통해 고려시대에 절을 중창할 때 만든 불상...
- 시대 :
- 고려
- 유형 :
- 유물
- 분야 :
- 예술·체육/조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