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부여 능산리 사지 석조 사리 백제 창왕명 석조사리감, 扶餘 陵山里..
    충청남도 부여군 부여읍 능산리 절터에서 발견된 사리.|내용 1996년 국보로 지정되었다. 높이 74㎝, 너비 50㎝. 능산리 절터는 부여 능산리고분군과 나성(羅城) 사이에 있는 절터로 일탑일금당식(一塔一金堂式)의 가람배치를 이루고 있는 백제시대 유적이다. 1995년 발굴조사 당시 이미 교란된 상태로 출토되었기 때...
    시대 :
    고대/삼국/백제
    유형 :
    유물
    분야 :
    예술·체육/공예
  • 부여 능산리사지 석조사리 扶餘陵山里寺址石造舍利龕, 扶餘 陵山里..
    백제의 창왕, 즉 위덕왕의 명문이 새겨져 있는 사리. 1996년 5월 30일 국보로 지정되었다. 윗부분은 아치 모양으로 처리했고, 화강암으로 만들어졌다. 측면에는 높이 45cm, 너비 25.3cm, 깊이 24.5cm의 감실이 마련되어 있다. 출토 당시 이미 폐기된 상태였으므로 사리 용기는 없었다.|국보(1996.05.30 지정). 높이 ...
    문화재 지정 :
    국보(1996.05.30 지정)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조선
  • 부여 능산리사지 석조사리 (관련어 ..)
    문화재 정보 부여 능산리사지 석조사리(扶餘 陵山里寺址 石造舍利龕)는 충청남도 부여군 부여읍 국립부여박물관에서 소장하고 있는 백제 시대의 사리를 보관하는 용기이다. 능산리 절터의 중앙부에 자리한 목탑 자리 아래에서 발굴되었으며 567년(위덕왕 13년)에 만들어졌다. '백제 창왕명 석조사리'(百濟 昌王銘 石...
    도서 위키백과
  • 부여 능산리 사지 부여능사, 扶餘 陵山里 寺址
    1993년에 진행한 2차 발굴조사에서 백제금동대향로(국보, 1996년 지정)가 출토되었으며, 1995년 4차 발굴조사에서는 목탑지 심초석 하부에서 부여 능산리사지 석조사리(국보, 1996년 지정)이 발견되었다. 여기에서 확인된 명문을 통하여 백제 창왕 13년(567)에 왕실 주도하에 사찰이 조영되었음을 알 수 있게 되었다...
    시대 :
    고대/삼국/백제
    유형 :
    유적
    분야 :
    역사/고대사
  • 부여 능산리 사지
    문화재 정보 부여 능산리 사지(扶餘 陵山里 寺址)는 대한민국 충청남도 부여군 부여읍 능산리에 있는 백제시대의 절터이다. 부여 능산리사지 석조사리에 의하면 위덕왕 치세기인 567년에 창건된 것으로 추정된다. 2001년 9월 29일 대한민국의 사적 제434호로 지정되었다. 능산리 사지부여 능산리 고분군(사적 제...
    도서 위키백과
  • 부여 扶餘郡
    지정) · 박물관 석탑(충청남도 문화재자료, 1984년 지정)이 보관되어 있으며, 부여읍에 부여 규암리 금동관음보살입상(국보, 1997년 지정) · 부여 능산리사지 석조사리(국보, 1996년 지정) · 동남리 석탑(충청남도 문화재자료, 1984년 지정) · 부여 석목리 석조비로자나불좌상(충청남도 유형문화재, 1973년 지정...
    유형 :
    지명
    분야 :
    지리/인문지리
  • 국립부여박물관 부여고적보존회, 國立扶餘博物館
    복식과 장신구 등이 진열되어 있다. 또한 위덕왕대의 정치와 문화를 짐작케하는 1996년 국보로 지정된 백제 금동대향로와 1996년 국보로 지정된 부여 능산리사지 석조사리, 무왕대의 익산 왕궁리 기와와 공방유물, 의자왕대의 사택지적비 등이 함께 전시되어 있다. 제3전시실에서는 ‘백제의 미소’로 유명한 백제의...
    시대 :
    현대
    유형 :
    단체
    분야 :
    예술·체육/회화
  • 부여 왕릉원
    바 있으며 중앙 지역에 8기, 동쪽 지역에 5기, 서쪽 지역에 7기가 남아 있다. 또한 무덤들 서쪽에서 발굴된 절터에서 ‘백제 금동대향로’와 ‘부여 능산리사지 석조사리’이 출토되어 왕실 무덤이라는 것이 확인되었다. 앞줄 가운데에 있는 중하총은 널방 천장이 터널형으로 축조되어 무령왕릉과 송산리 6호분과 유사...
    도서 위키백과
  • 백제 금동대향로 Gilt-bronze Incense Burner of Baekje, 百济..
    때문으로 보고 있다. 1995년의 발굴 조사로 대향로가 발견된 일대가 백제 시대 왕실 절터였음이 입증되었다. 발굴된 석탑 흔적에서 발견된 부여 능산리사지 석조사리에서 "창왕(위덕왕) 13년(567년)에 정해공주가 이 절을 지었다"는 기록이 발견된 것이다. 학계는 이 점에 주목하여 백제 금동대향로가 단순한 향로가...
    도서 위키백과
  • 부여군의 문화유적
    번호 지정번호 등록명 소재지 1 9호 부여 정림사지 오층석탑 충남 부여군 부여읍 동남리 2 287호 백제 금동대향로 충남 부여군 부여읍 동남리 3 288호 부여 능산리사지 석조사리 충남 부여군 부여읍 동남리 4 293호 금동관세음보살입상 충남 부여군 부여읍 동남리 번호 지정번호 등록명 소재지 1 21호 당유인원기공비...
    도서 위키백과
  • 288 288 (number)
    792이다. 288 = 17^2 - 1 288 = 1^1 + 2^2 + 3^3 + 4^4 공통 중간 형식(CIF) 규격의 세로 방향 화소수. 현도 제288호선 대한민국의 국보 제288호: 부여 능산리사지 석조사리 대한민국의 보물 제288호: 청동 은입사 향완 대한민국의 사적 제288호: 전주 전동성당 LG헬로비전의 CGN 채널 번호. 연도: 288년, 기원전...
    도서 위키백과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다음페이지 없음

관련항목

멀티미디어1건

부여 능산리사지 석조사리감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