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부산정치파동 釜山政治波動1952년 5월 25일의 계엄령 선포로부터 같은 해 7월 7일의 제1차 개정헌법 공포에 이르기까지 전시 임시수도였던 부산에서 일어난 일련의 정치적 소요사건. 역사적 배경 1950년 5월 30일 실시된 제2대 국회의원 총선거의 결과, 무소속이 의원정수의 60%에 해당하는 절대다수를 차지하게 되었고, 대한국민당 · 민주국...
- 시대 :
- 현대
- 유형 :
- 사건
- 분야 :
- 정치·법제/정치
-
부산 정치 파동 釜山 政治 波動1952년 임시 수도 부산에서 일어난 정치 파동. [역사적 배경] 1950년 5월 30일의 제2대 국회 의원 선거에서 무소속 의원들이 대거 당선되었다. 이로 인해 이승만(李承晩)은 국회 내에서 지지 기반이 약화되었고, 재선 가능성이 희박하였다. 더구나 이승만 정부는 전쟁 중 여러 실책을 저질렀다. 그것은 전쟁 발발 3일 ...
- 분야 :
- 역사
- 지역 :
- 부산광역시 서구
출처 한국 향토문화 전자대전 -
이승만 대한민국 제1·2·3대 대통령, 李承晩20개 사단을 유지할 수 있는 군사원조를 하기로 결정했다. 발췌개헌과 제2대 대통령 당선 전쟁 중이던 1951년 대통령 임기를 1년여 앞두고 피난 수도 부산에서 정치파동이 일어났다. 제헌헌법에 따르면 대통령은 국회의원들의 간접 선거로 뽑게 되어 있었는데, 당시 국회의 판도로 볼때 이승만은 재선에 성공할 가능성이...
- 출생 :
- 1875, 황해 평산
- 사망 :
- 1965. 7. 19, 미국 하와이
- 국적 :
- 한국
- 직업 :
- 정치인, 대한민국 제1·2·3대 대통령
- 호 :
- 우남(雩南)
-
부산 정치파동과 이승만 대통령 연임국회의원 47명이 탄 통근 버스를 통째로 헌병대로 연행했다. 이어 '국제공산당'의 자금을 받았다는 혐의를 씌워 야당 의원들을 구속했다. 정부가 이러한 부산정치파동을 일으킨 이유는 이승만을 다시 대통령으로 만들기 위해서였다. 1948년에 만들어진 제헌헌법은 대통령을 국회에서 선출하도록 규정하고 있었는데, 거듭...
- 시대 :
- 1952년 5월 25일
- 국가/대륙 :
- 한국
-
이승만 우남(雩南), 李承晩또한 국회에서 대통령을 선출하게 되어 있는 헌법을 국민이 직접 선출하는 것으로 개헌을 추진하였다. 개헌 추진 과정에서 야당이 반대하자 1952년 임시수도 부산에 계엄령을 실시하였고, 같은 해 대통령 직선제를 골자로 하는 ‘발췌개헌안’을 통과시켰다. 새로운 헌법에 의해 1952년 8월 5일 실시된 제2대 대통령...
- 유형 :
- 인물/근현대 인물
- 분야 :
- 정치·법제/정치
-
대한민국 大韓民國이승만은 자유당(自由黨)을 창당하여 직선제 개헌을 추진하였으며, 반대파는 이를 막고자 하였다. 이러한 대치상황에서 이승만은 1952년 여름 이른바 부산정치파동을 거쳐 직선제 개헌안을 통과시키고 그 헌법에 의한 대통령직선제에 따라 제2대 대통령으로 당선되었다. 1955년 5월 20일 제3대 민의원선거가 실시되었다...
- 시대 :
- 현대
- 유형 :
- 지명
- 분야 :
- 정치·법제/정치
-
중석불사건 중석불불하사건, 重石弗事件내용 1차 중석불 사건은 대한중석에서 생산되는 중석을 수출하여 얻어지는 달러가 특정 무역업자에게 흘러간 사실이 밝혀져 임시수도인 부산에서 정부와 야당 간에 정치적 쟁점이 되어 세상을 떠들썩하게 했던 사건이다. 중석달러는 당시 수출의 주종품이었던 중석을 팔아 벌어들인 달러로, 이 돈은 대한 중석의 외화...
- 시대 :
- 현대
- 유형 :
- 사건
- 분야 :
- 역사/현대사
-
2·4파동 이사파동, 二四波動이러한 파동이 지나간 뒤 야당의원들은 2·4의결무효확인이라는 성명을 내며 제31회 임시국회 소집을 요구했으며, 한편 원외의 보안법반대국민대회준비위원회도...동원, 포위경계망과 통행동결조치로써 제지하였으며, 또한 민주당에서는 정치훈련원을 졸업한 약 300명의 청년당원을 중심 부대로 약 3만 명의 서울시당원...
- 시대 :
- 현대
- 유형 :
- 사건
- 분야 :
- 정치·법제/정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