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봉화군의 유물·유적·관광
    국가지정문화재(국보 1, 보물 8, 천연기념물 1, 사적 및 명승 2, 중요민속자료 3), 도지정문화재(유형문화재 14, 무형문화재 1, 민속자료 13, 기념물 3), 문화재자료 36점, 등록문화재 1점이 있다. 안동문화권의 문향이자 청량산도립공원을 중심으로 수려한 자연경관을 지닌 내륙휴양관광지이며, 불교와 유교의 유물·...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경상북도
  • 영주시 榮州市
    지역이 봉화군 · 예천군에 다시 할양되었다. 1940년영주면이 읍으로 승격되었다. 한말에 소흥학교(紹興學校) · 안정학교(安定學校) 등이 차례로 건립되어 근대적 교육활동이 활발히 일어났으며, 항일의병운동도 계속 일어나 지속적으로 전개되었다. 1919년 3·1운동 때는 3월 20일에서 4월 11일까지 영주면 · 풍기면...
    시대 :
    현대
    유형 :
    지명/행정지명ˑ마을
    분야 :
    지리/인문지리
  • 대구광역시 달구벌, 大邱廣域市
    복장유물(보물, 1989년 지정) · 파계사 원통전(보물, 2014년 지정) · 파계사 설선당(대구광역시 문화재자료, 1984년 지정) · 파계사 산령각(대구광역시 문화재자료, 1984년 지정) · 파계사 적묵당(대구광역시 문화재자료, 1984년 지정) · 파계사 진동루(대구광역시 문화재자료, 1984년 지정) · 파계사 기영각(대구...
    시대 :
    현대/대한민국
    위치 :
    경상북도 남부
    유형 :
    지명/행정지명ˑ마을
    면적 :
    883.52㎢
    분야 :
    지리/인문지리
  • 논산시 論山市
    장군 유물과 양화산성, 상도리에 용화사석불, 학당리에 매죽헌사당지 등이 있다. 신충리(新忠里) · 산성리(山城里) · 월오리(月午里) · 지경리(地境里) · 석종리(石宗里) · 상도리(上道里) · 대명리(大明里) · 대우리(大牛里) · 대촌리(大村里) · 학당리(鶴塘里) · 주곡리(酒谷里) · 한천리(寒川里...
    유형 :
    지명
    분야 :
    지리/인문지리
  • 광주시 廣州市
    각지에서 봉화만세시위가 전개되었는데, 26일에는 중대면 · 동부면에서, 27일에는 서부면에서, 28일에는 돌마면 등지에서 독립만세시위가 있었다. 근대의 인물로는 역대의 시가를 모아 『가곡원류』를 편찬한 안민영(安玟英), 신소설 『추월색(秋月色)』을 발표하여 신문학 개척에 공이 큰 최찬식(崔瓚植), 민족대표...
    유형 :
    지명/행정지명ˑ마을
    분야 :
    지리/인문지리
  • 봉화군 奉化郡
    역사적 유물도 상당수 있어 관광자원이 풍부한 곳이다. 대표적인 관광지로는 1982년에 도립공원으로 지정된 명호면 북곡리의 청량산, 물야면 오전리의 오전약수탕과 개단리의 문수산 · 축서사, 봉화읍 유곡리의 석천계곡과 충재유적지, 석포면 대현리의 청옥산자연휴양림과 백천계곡이 있다. 청량산은 태백산의 지맥인...
    유형 :
    지명
    분야 :
    지리/인문지리
  • 고성군(북한) 高城郡(北韓)
    만한 유물·유적으로는 신계사삼층석탑과 유점사종, 삼일포 부근의 고분군 등이 남아 있다. 천연기념물로는 고성 참대밭[竹林]·창터·소나무 군락 등이 있고, 해금강문(海金剛門)·상팔담(上八潭)·구룡폭포(九龍瀑布) 등이 명소로 이름나 있다. 교육·문화 조선시대의 교육기관으로는 고성향교(高城鄕校)가 있었는데...
    성격 :
    행정구역명
    유형 :
    지명
    면적 :
    면적 651.95㎢(광복 전), 면적 859㎢(현재)
    소재지 :
    강원도 남동부 동해안 연안
    분야 :
    지리/인문지리
  • 영주 무섬마을 무섬(물섬), 榮州 무섬마을
    북동쪽으로 봉화, 남쪽의 예천, 동남쪽에 안동이 있다. 마을은 동쪽으로만 육지로 이어져 있을 뿐 북서남쪽 삼면은 물로 둘러싸여 있다. 이와같은 형국은 안동 하회마을이나 예천 회룡포마을과 유사하다. 무섬마을은 물 위에 떠 있는 섬을 뜻하는 수도리(水島里)의 우리말 이름으로 삼면이 내성천과 접해 있는 전형적인...
    시대 :
    조선 후기
    유형 :
    지명/행정지명·마을
    분야 :
    생활/주생활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