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볼레슬라프 1세 Boleslav I
    보헤미아 프르셰미슬 가문의 군주(929~967). 별칭은 Boleslav Krut.|중세 체크 왕국의 토대를 세웠다. 큰형인 바츨라프 1세(성 바츨라프)를 살해하는 음모가 성공한 뒤 보헤미아의 통치자가 되었다. 프라하를 보헤미아의 효율적 행정중심지로 만들었으며 그리스도교의 포교를 장려했고 모라비아·슬로바키아·슐레지엔...
    출생 :
    미상
    사망 :
    967. 7. 15
    국적 :
    보헤미아
    도서 다음백과 | 태그
  • 볼레슬라프 1세 (관련어 볼레슬라프1세) Boleslaus I, Duk..
    볼레슬라프 1세는 보헤미아의 공작이다. 별칭은 잔인공. 브라티슬라프 1세 공작의 아들이자 바츨라프 1세 공작의 동생이다. 935년 9월 28일에 자신의 형이었던 바츨라프 1세를 살해하고 보헤미아의 공작으로 즉위했다. 볼레슬라프 1세는 보헤미아의 공작으로 즉위한 뒤부터 동프랑크 왕국의 국왕에게 매년 바치던 조공을...
    도서 위키백과
  • 볼레슬라프 2세 Boleslav II
    볼레슬라프 1세의 아들이자 후계자로 아버지의 과업을 이어받아 보헤미아의 여러 부족에 대한 체크의 우위권을 더욱 강화했으며 수도원·수녀원·교회들을 세웠다. 마인츠 대주교로부터 프라하 주교구 설립을 승인받았다(973/974). 995년에는 보헤미아에서 유일하게 프르셰미슬 가문의 경쟁 군주가문인 슬라브니코브치...
    출생 :
    미상
    사망 :
    999. 2. 7
    국적 :
    보헤미아
    도서 다음백과 | 태그
  • 볼레스와프 1세 흐로브리 Bolesław I the Brave, ボレスワフ1..
    왕족 정보 볼레스와프 1세는 폴란드의 공작이자 국왕으로 별명은 용감공이다. 볼레스와프 대왕이라는 별칭으로 부르기도 한다. 보헤미아의 공작으로서는 볼레슬라프 4세로 불린다. 992년에 사망한 자신의 아버지인 미에슈코 1세의 뒤를 이어 폴란드의 국왕으로 즉위했다. 997년 보헤미아 프라하의 주교로 있던...
    도서 위키백과
  • 볼레슬라프 3세 Boleslav III
    볼레슬라프 2세의 큰아들이자 후계자였다. 보헤미아 국내의 문제로 1002년 도주해야 했으며 처음에는 독일로, 그 다음에는 폴란드로 갔다. 1003년 폴란드의 도움으로 잠시 돌아와 적들을 살해했으나 다시 쫓겨났다. 폴란드의 볼레수아프 1세에게 붙잡혔으며 장님이 되어 투옥당해 있다가 감옥에서 죽었다.
    출생 :
    미상
    사망 :
    1035/37
    국적 :
    보헤미아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세계사
  • 볼레슬라프 2세 Boleslaus II, Duke of Bohemia, 波列..
    인물 정보 볼레슬라프 2세는 보헤미아의 공작이다. 경건공이라는 별칭으로 부르기도 한다. 볼레슬라프 1세 공작과 그의 아내인 비아고타(Biagota)의 아들이다. 972년에 사망한 볼레슬라프 1세 공작의 뒤를 이어 보헤미아의 공작으로 즉위했다. 974년에는 신성 로마 제국의 황제였던 오토 2세와 바이에른 공작을 역임하고...
    도서 위키백과
  • 볼레슬라프 3세 Boleslaus III, Duke of Bohemia, 波..
    있었다. 이에 볼레슬라프 3세는 신성 로마 제국으로 망명했고 오스트리아의 변경백을 역임하고 있던 하인리히 1세(Heinrich I)의 감시를 받게 된다. 하인리히 1세볼레슬라프 3세가 과거에 저지른 범죄 행위를 이유로 감옥에 수감시켰지만 볼레슬라프 3세가 사과하면서 석방시키게 된다. 폴란드의 공작을 역임하고...
    도서 위키백과
  • 오토 1세 오토 1세 데어 그로세, Otto I
    3곳에 주교관구가 창설되었다(968년에는 4번째로 대주교관구가 만들어졌음). 그러나 오토의 제1차 보헤미아 원정은 실패로 돌아갔으며 보헤미아 군주 볼레슬라프 1세는 계속 버티다가 950년에 이르러서야 겨우 항복하고 조공을 바치게 되었다. 이렇게 해서 자신의 입지를 강화하고 난 뒤 오토는 프랑스의 로렌 영유권...
    출생 :
    912. 11. 23
    사망 :
    973. 5. 7, 튀링겐 멤레벤
    국적 :
    신성 로마
    도서 다음백과 | 태그
  • 바츨라프 1세 Vaclav I
    사업을 장려했다. 그러나 그리스도교를 퍼뜨리려던 그의 노력은 비그리스도교 세력의 반대를 받았다. 929년 독일의 침입을 받고 독일의 새사냥꾼왕 하인리히 1세에게 항복했다. 항복을 반대하던 일부 귀족들은 바츨라프를 타도하려는 음모를 꾸미고 그의 동생 볼레슬라프(볼레슬라우스)에게 그를 살해하라고 부추겼다...
    출생 :
    907경, 프라하 근처 스토호프
    사망 :
    929. 9. 28, 보헤미아 스타라볼레슬라프
    국적 :
    보헤미아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세계사
  • 브란디스나트라벰스타라볼레슬라프 Brandýs nad Labem-Stará Boleslav
    로 나뉜다. 체코에서 긴 이름을 가진 지명 가운데 한 곳이다. 브란디스나트라벰은 13세기에 처음으로 등장했으며 스타라볼레슬라프는 10세기 초반 보헤미아의 공작인 볼레슬라프 1세가 이 곳에 성을 건립한 데서 유래된 이름이다. 1960년에 브란디스나트라벰과 스타라볼레슬라프가 하나로 통합되면서 설립되었다. 전거 통제
    도서 위키백과
  • 바츨라프 1세 (보헤미아 공작) Wenceslaus I, Duke of Bo..
    보헤미아의 바츨라프에게 조공을 요구했지만 바츨라프는 보헤미아의 독립성을 주장하면서 조공을 거부했다. 935년 9월에는 자신의 동생이었던 볼레슬라프(볼레슬라프 1세)와 그를 따르는 귀족들이 바츨라프를 살해하려는 계획을 세웠다. 바츨라프는 935년 9월 28일에 스타라볼레슬라프(Stará Boleslav, 현재의 체코...
    도서 위키백과
  • 프르셰미슬가 House of Přemysl
    통치자들 중 가장 유명한 사람은 보리보이의 손자인 바츨라프였다. 그는 그리스도교 전파를 위해 열성적으로 노력했으나 이때문에 이교도인 동생 볼레슬라프 1세(929~967 재위)에게 살해당했고 죽은 뒤 보헤미아의 존경받는 수호성인이 되었다. 볼레슬라프 2세(967~999 재위)의 치세에 보헤미아의 그리스도교 교회는...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세계사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