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복합현미경
    육안으로 관찰하기 힘든 작은 물체를 관찰하기 위해 확대시키는 광학기구 중의 하나..|개요 복합현미경은 대물렌즈와 대안렌즈가 표본에 대해서 상대적으로 움직이면서 상을 만들도록 되어 있다. 집광렌즈(condenser lens)와 반사경으로 구성된 조명장치가 필요하다. 광원으로는 햇빛이나 인공조명이 사용될 수 있다. ...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물리
  • 복합현미경 複合顯微鏡, compound microscope
    한쪽 렌즈가 다른 쪽 렌즈의 위쪽에 있는 2개의 렌즈계로 구성된 현미경. 대물경에 의해서 형성된 상이 접안경에 의해 더욱 확대된다.
  • 현미경 顯微鏡, microscope
    광학현미경과 몇 개의 렌즈가 조합되어 있는 복합 광학현미경이 있다. 단순 광학현미경은 해상능이 약 0.001㎜로 배율을 10×(배)까지 확대할 수 있고, 복합 광학현미경은 배율이 2.5~1,000×이고 해상능(또는 해상력·분해능)이 0.01~0.0002㎜이다. 다른 유형의 현미경은 여러 물리적 과정에서 볼 수 있는 파장의 성질...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물리 , 과학 일반
  • 조직학의 역사
    Galilei, 1564~1642년)가 첫 발명자로 알려져 있기도 하다. 로저 베이컨이 먼저 발명했다는 설도 있다. 처음으로 오목렌즈와 볼록렌즈를 동시에 사용하여 복합현미경을 발명한 사람은 갈릴레오로 알려져 있다. 근대에 와서는 1590년경 네덜란드 안경 제조업자였던 한스와 그의 아들 얀센은 20배로 확대 관찰할 수 있는...
    도서 해부학의 역사 | 태그 생물
  • 현미경의 발달
    외에는 사용하지 않게 되었다. 복합현미경 복합현미경은 2개 이상의 렌즈 또는 렌즈계를 조합한 것으로 1590~1609년에 부자관계인 네덜란드의 한스 얀센과 자하리아 얀센, H. 리퍼사이에 의해 각각 발명되었다. 초기의 복합현미경에 이용되던 렌즈는 색수차로 인해 사용하는 데 어려움이 많았지만 굴절률이 서로 다른...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물리 , 과학 일반
  • 레벤후크 Antonie van Leeuwenhoek
    시종(侍從)이 되었다. 아주 짧은 초점거리를 갖는 양질의 렌즈로 이루어진 단안현미경(單眼顯微鏡)을 만들었는데, 그당시 색수차(色收差)의 문제가 많았던 복합현미경보다 성능이 좋았다. 그의 연구는 과학연구로서의 체계성은 부족했지만, 신중한 관찰력을 통해 중요하고 근본적인 문제를 많이 발견했다. 1674...
    출생 :
    1632년 10월 24일, 네덜란드 델프트
    사망 :
    1723년 8월 26일, 델프트
    국적 :
    네덜란드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과학자
  • 20세기를 향한 생물학의 진전
    3개월 후에 런던의 왕립학회는 〈철학회보 Philosophical Transactions〉를 창간했다. 현미경의 발달 확대경은 기원전에 아시리아인들도 사용했지만, 복합현미경이 발명된 것은 1590년경이다. 그후 기술의 발달에 따라 복합현미경이 개량되어왔으며 관찰기술도 발달했다. 그결과 생물의 미세구조를 밝히고 매우 작은...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생물 , 학문
  • 광학 현미경 光學顯微鏡, light microscope
    양을 조절하는 조리개 등이 광학 현미경에 사용되는 광학장치들이다. 단순 광학현미경은 해상능이 약 0.001㎜로 배율을 10×(배)까지 확대할 수 있고, 복합 광학현미경은 배율이 2.5~1,000×이고 해상력(또는 분해능)이 0.01~0.0002㎜이다. 광학현미경에서는 각 렌즈들의 초점거리는 일정하며, 대물렌즈와 표본 사이의...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물리 , 기계 , 과학 일반
  • 조직학의 발전
    이는 런던의 포도주 매매 상이자 과학적인 것들을 취미로 즐기던 죠셉 잭슨 리스터(외과의사 리스터의 아버지)가 무색 대물렌즈를 장착한 현대적인 복합현미경을 개발한 것이 계기가 되었다. 이후 에른스트 아베는 대안, 대물렌즈를 개선했을 뿐 아니라 자신이 만든 유명한 집광렌즈를 새로 부착하였다. 이때부터 현미경...
    도서 해부학의 역사 | 태그 생물
  • 현미경 연대표 Timeline of microscope technology
    Jansen가 최초의 현미경을 만들었다고 알려져 있다. 이 현미경은 주로 해양탐사에 이용되었다. 1609년 갈릴레오 갈릴레이가 볼록렌즈와 오목렌즈를 가진 복합 현미경을 발명했다. 1625년 Giovanni Faber가 갈릴레오 갈릴레이의 복합 현미경현미경(microscope)이라고 이름 붙였다. 1660년경 네덜란드 델프트에 살았던...
    도서 위키백과
  • 살아있는 세포의 감시카메라, ‘레이저현미경
    레이저 바이오 탐색기술’(CARS)를 개발했다. 라만분광현미경은 감도와 해상도가 부족해 세포 내부의 미세구조를 관찰하기 어려웠다. CARS는 원하는 세포의 분자...구현하는 일은 어려운 일이 많았다. 다양한 진동수의 레이저를 만드는 것부터 검출하는 것까지 복합적인 기술이 필요하다. 미국 하버드대가 기술적인...
    도서 과학향기 | 태그 과학 일반
  • 아미치 Giovanni Battista Amici
    모데나대학교의 수학교수를 지냈고, 그뒤에는 토스카나 대공국의 천문학자와 피렌체 왕립박물관의 천문대 대장으로 있으면서 자연사박물관에서 강의했다. 복합현미경 설계분야를 크게 발전시켰고, 1840년 빛의 수차를 최소화시키기 위해 관찰표본 위에 떨어뜨린 한 방울의 기름방울에 대물 렌즈를 넣는 유침기법을 도입...
    출생 :
    1786. 3. 25, 이탈리아 모데나
    사망 :
    1863. 4. 10, 피렌체
    국적 :
    이탈리아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과학자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