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중기 낭만주의 음악, 베르디와 바그너주세페 베르디와 리하르트 바그너는 모두 1813년에 태어났다. 이들은 과거로부터 물려받은 오페라 전통을 새로운 모습으로 재탄생시켰고, 각자 자신의 고국에서, 즉 베르디는 이탈리아에서, 바그너는 독일에서, 음악의 상징이 되었다. 1842년 이들은 모두 최초의 성공을 거두었고, 바그너는 1850년에, 베르디는 1851년에...
-
주세페 베르디 Giuseppe (Fortunino Francesco) Verdi점차 일류 예술가로 발돋움했고 결국 동시대에 바그너가 독일에서 했던 것처럼 오페라를 음악극(dramma per musica)으로 승화시켰다. 그러나 베르디의 업적은 바그너와는 구별되는데, 스스로 말했던 것처럼 그는 정규과정을 밟은 작곡가가 아니라 단지 경험이 많은 작곡가였다. 베르디는 실제적인 그 경험을 전적으로...
- 출생 :
- 1813. 10. 10, 이탈리아 파르마 공국 부세토 근처 레론콜레
- 사망 :
- 1901. 1.27
- 국적 :
- 이탈리아
-
오텔로 주세페 베르디, Otello다른 음악적 노선을 가지고 있었다. 오랜 시간의 칩거 생활에도 음악적 흐름을 잊지 않고 있었던 베르디는 〈오텔로〉에 바그너의 새로운 시도들을 담아냈다. 작품은 관현악 확대, 아리아와 레치타티보 경계의 불분명함, 바그너의 라이트모티브의 흔적 등의 특징을 보인다. 그러나 베르디는 바그너의 음악 특징을 단순히...
- 시대 :
- 낭만
- 분류 :
- 낭만주의 음악 > 오페라
- 제작시기 :
- 1880~1886년
- 작곡가 :
- 주세페 베르디(Giuseppe Verdi, 1813~1901)
- 원작 :
- 윌리엄 셰익스피어 《오셀로》
- 초연 :
- 1887년 2월 5일 밀라노 라 스칼라 극장
- 출판 :
- 1887년
- 등장인물 :
- • 오텔로(무어인/베네치아 공화국 장군, 테너) • 데스데모나(오텔로의 아내, 소프라노) • 이아고(오텔로의 기수, 바리톤) • 에밀리아(이아고의 아내, 메조소프라노) • 카시오(베네치아의 부관, 테너) • 로데리고(베네치아의 신사, 테너) • 루도비코(베네치아의 특사, 베이스) • 몬타노(키프로스의 전 총독, 베이스)
- 배경 :
- 15세기 키프로스 섬
- 대본(리브레토) :
- 아리고 보이토
- 구성 :
- 4막
-
비극에 집중한 오페라의 소포클레스, 주세페 베르디 Giuseppe Fortuin..않았다. 그러다가 1887년, 16년의 공백을 깨고 셰익스피어의 비극에 기초한 〈오텔로(Otello)〉를 세상에 내놓았다. 이 작품은 바그너의 음악극 개념에 상당히 근접한 것으로 베르디가 오페라에서 극적인 요소를 더욱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었음을 보여 준다. 그로부터 6년 후인 1893년, 베르디는 유일한 희극 오페라이자...
- 출생 :
- 1813년 10월 10일
- 사망 :
- 1901년 01월 27일
- 국적 :
- 이탈리아
- 대표작 :
- 오페라 〈라 트라비아타〉, 〈리골레토〉, 〈일 트로바토레〉, 〈아이다〉 등
-
종합예술을 추구했던 연극광, 리하르트 바그너 Wilhelm Richard Wag..일기로 세상을 떠났다. 아내인 코지마는 그보다 47년을 더 살며 바이로이트의 여주인으로 남편의 작품을 후세에 길이 남기는 데 힘썼다. 음악사적으로 바그너의 중요성은 다음의 세 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첫째, 베르디가 이탈리아 오페라를 최고의 경지로 끌어올린 것처럼 독일 오페라를 최고의 경지로 끌어올렸다는...
- 출생 :
- 1813년 05월 22일
- 사망 :
- 1883년 02월 13일
- 국적 :
- 독일
- 대표작 :
- 오페라 〈방랑하는 네덜란드인〉, 〈뉘른베르크의 마이스터징거〉, 〈니벨룽의 반지〉, 〈파르지팔〉 등
-
팔스타프 주세페 베르디, Falstaff첫 희극 오페라인 〈팔스타프〉는 대 성공을 이룬다. 로시니의 우려와 달리 베르디는 로시니의 희극 오페라와 자신의 극적인 작품을 패러디하였으며, 그는 평생...예상치 못한 새로운 면모를 많이 보였다. 〈오텔로〉와 마찬가지로 바그너 오페라처럼 지속적으로 음악이 흐르도록 작곡하여 아리아를 없앴으며, 관현악...
- 시대 :
- 낭만
- 분류 :
- 낭만주의 음악 > 오페라
- 제작시기 :
- 1890~1893년
- 작곡가 :
- 주세페 베르디(Giuseppe Verdi, 1813~1901)
- 원작 :
- 셰익스피어 《윈저의 즐거운 아낙네들》과 《헨리 4세》
- 초연 :
- 1893년 2월 9일 밀라노 라 스칼라 극장
- 출판 :
- 1893년
- 등장인물 :
- • 존 팔스타프 경(뚱보 술주정뱅이 기사, 바리톤) • 포드(지방의 유지, 바리톤) • 알리체 포드(포드의 부인, 소프라노) • 나네타(포드의 딸, 소프라노) • 펜톤(젊은 신사, 테너) • 카이우스(의사, 테너) • 바르돌포(팔스타프의 부하, 테너) • 피스톨라(팔스타프의 부하, 바리톤) • 퀴클리 부인(여인숙 주인, 콘트랄토) • 메그 페이지(알리체의 친구, 메조소프라노)
- 배경 :
- 15세기 초 영국 윈저
- 대본(리브레토) :
- 아리고 보이토
- 구성 :
- 3막 구성의 서정 희극
-
라우리츠 멜히요르 육중한, 그러나 순진했던 기분파 지크프리트바그너와 베르디 오페라를 대표할 위대한 두 테너가 동시에 태어났다. 라우리츠 멜히요르와 베냐미노 질리가 그 주인공들이다. 오페라의 양대 산맥인 베르디와 바그너가 모두 1813년에 태어나 각각 이탈리아와 독일의 극음악을 완성한 점도 기이한 우연이지만, 아예 날짜까지 맞춰 태어난 멜히요르와 질리도 이에...
- 출생 :
- 1890년 03월 20일
- 사망 :
- 1973년 03월 18일
- 국적 :
- 덴마크 → 미국
- 대표작 :
- 바그너 《트리스탄과 이졸데》, 《살아 있는 과거 - 라우리츠 멜히요르》, 《프리마 보체 - 라우리츠 멜히요르》
- 성부 :
- 테너
-
중기 낭만주의 음악, 바그너의 음악은 독일 낭만주의 오페라의 전통을 따른 것으로, 웅장한 장면들, 분리된 아리아, 듀엣, 앙상블, 합창으로 구성된다. 하지만 이미 바그너는 그 자신이 직접 대본을 쓰고 있었고 거대한 이념의 상징으로서의 인간에 집중하고 있었다(반대로 베르디는 인간이 지닌 기본적인 인간성을 강조했다.). 〈탄호이저〉와 〈로엔그린...
-
비르기트 닐손 Birgit Nilsson연주를 보여주며 주역 가수로 급부상했다. 성량이 풍부하고 강렬한 음색을 지닌 닐손은 개성 넘치는 자신만의 목소리를 바탕으로 R.슈트라우스와 바그너, 베르디와 푸치니 작품의 드라마틱한 배역을 소화했다. 1951년 글라인드본 축제에서는 모차르트의 오페라 〈이도메네오〉의 엘렉트라 역할을 맡았고, 1953년에는 빈...
- 분류 :
- 연주자>성악가>여자 성악가
- 출생 :
- 1918년 5월 17일, 스웨덴
- 사망 :
- 2005년 12월 25일
- 유형 :
- 소프라노
- 데뷔 :
- 1946년, 베버의 오페라 〈마탄의 사수〉 아가테 역, 스톡홀름
- 레퍼토리 :
- R. 슈트라우스, 바그너, 푸치니, 베르디 오페라
-
레나타 테발디 Renata Tebaldi치닫지 않는 완벽한 모습을 보여줄 수 있었다. 이밖에도 테발디는 바그너나 모차르트, 헨델과 스폰티니의 작품도 연주했다. 테발디의 음반은 주로 데카를 통해...솔티의 지휘로 테너 카를로 베르곤차와 함께한 베르디의 〈돈 카를로〉, 루치아노 파바로티와 함께한 베르디의 〈가면무도회〉 음반을 발매하기도 했다...
- 분류 :
- 연주자>성악가>여자 성악가
- 출생 :
- 1922년 2월 1일, 이탈리아 페사로
- 사망 :
- 2004년 12월 19일
- 유형 :
- 소프라노
- 데뷔 :
- 1944년, 보이토의 오페라 〈메피스토펠레〉의 엘레나 역
- 레퍼토리 :
- 베르디, 푸치니를 비롯한 후기 낭만 오페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