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벙어리삼룡 ─三龍
    나도향(羅稻香)이 지은 단편소설.|개설 1925년 7월 『여명(黎明)』에 발표되었다. 나도향의 후기 사실주의를 대표하는 작품 중의 하나이다. 내용 청엽정(靑葉町)을 연화봉(蓮花峰)이라고 부를 무렵, 그 동네에는 인심이 후하고 존경받으며 세력 있는 오생원(吳生員)이라는 사람이 살고 있었다. 오생원의 집에는 삼룡이...
    시대 :
    근대
    저작자 :
    나도향
    창작/발표시기 :
    1925년 7월(발표)
    성격 :
    단편소설
    유형 :
    작품
    분야 :
    문학/현대문학
  • 벙어리 삼룡 (1964년 영화) Deaf Sam-yong (1964 film)
    눈치로만 살아온 그는 심술궂은 오생원의 3대 독자 광식에게 온갖 수모를 받지만 그래도 충성을 다하는 머슴이다. 스물 세 살이 되도록 이성을 모르는 벙어리 삼룡(三龍)이가 광식이 장가를 들게 되면서 파란이 일어난다. 그러나 광식은 식모 추월(도금봉)에게 빠져서 순덕을 구박할 뿐 색시 방에는 얼씬도 하지 않는다...
    도서 위키백과
  • 벙어리 삼룡 (1929년 영화) Deaf Sam-yong (1929 film)
    영화 정보 "벙어리 삼룡"(Deaf Samryong)은 나운규 감독, 각색의 1929년에 제작된 한국 영화다. 나도향의 단편 소설 '벙어리 삼룡이'를 원작으로 했다. 나운규 유신방 주삼손 윤봉춘 제작:나운규 프로덕션 감독:나운규 각본:나운규 촬영:손용진 집에 불이 붙는 라스트 씬은 그 당시로서는 대단한 촬영의 시도라하여 높이...
    도서 위키백과
  • 벙어리 삼룡 (관련어 벙어리삼룡) Deaf Sam-yong
    벙어리 삼룡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다. 벙어리 삼룡은 나도향의 소설 《벙어리 삼룡이》를 토대로 제작된 작품으로 다음과 같다. 《벙어리 삼룡》(1929년)은 대한민국의 영화이다. 《벙어리 삼룡》(1964년)은 대한민국의 영화이다. 《벙어리 삼룡이》(1925년) 벙어리 삼룡이 (동음이의) 동음이의
    도서 위키백과
  • 비련의 벙어리 삼룡 The Tragedy of Deaf Sam-yong
    영화 정보 "비련의 벙어리 삼룡"은 1973년 공개된 변장호 감독의웹 인용 대한민국의 영화이다. 김희라 윤연경 신영일 최인숙 1973년 제12회 대종상 우수작품상 여우주연상 - 윤연경 여우조연상 - 최인숙 촬영상 - 안창복 음악상 - 전정근 미술상 - 이봉선 조명상 - 이현우 IMDb 제목
    도서 위키백과
  • Deaf Sam-yong 벙어리 삼룡 (1964년 영화)
    Deaf Sam-yong (; Beongeori Samryong) is a 1964 South Korean drama film directed, produced by Shin Sang-ok, based on the 1925 short story of the sama title by Na Do-hyang. It was chosen as Best Film at the Grand Bell Awards. The film was also selected as the South Korean entry for the Best Foreign...
  • 손용진 孫勇進, Son Yong-jin
    촬영감독으로 데뷔하기 이전에도 영화의 현상작업이나 조수로 다양한 활동을 한 것으로 보인다. 작품 세계 그가 영화계에서 주목받게 된 계기는 〈벙어리 삼룡〉을 촬영하면서이다. 나운규가 감독과 주연을 맡은 이 영화에서 손용진은 인상적인 장면을 다수 만들어내었다. 가령 라스트 화재 씬은 당대의 주목을 받는...
    출생 :
    1908년
    사망 :
    1966년
    데뷔 :
    1928년 <사나이>
  • 나도향 나경손, 羅稻香
    발표하였다. 1923년에는 「은화백동화(銀貨白銅貨)」 · 「17원50전(十七圓五十錢)」 · 「행랑자식」을, 1924년에는 「자기를 찾기 전」, 1925년에는 「벙어리 삼룡(三龍)」 · 「물레방아」 · 「뽕」 등을 발표하였다. 1926년 다시 일본에 갔다가 귀국한 뒤 얼마 되지 않아서 요절하였다. 초기에는 작가의 처지와...
    시대 :
    근대
    유형 :
    인물/근현대 인물
    분야 :
    문학/현대문학
  • 유신방 柳新芳, Yu Sin-bang
    방의 데뷔작은 나운규 각색, 홍개명 감독의 <사나이>였고, 이때 유신방이 맡은 역은 여주인공 ‘갓자’ 역할이었다. 유신방이 출연한 두 번째 작품은 <벙어리 삼룡>이다. 이 영화에서 유신방은 오생원의 자부 역할을 맡아 불타는 집에서 희생되는 연기를 펼쳤다. 실제로 이 장면의 촬영은 대단히 위험하게 진행되었고...
    출생 :
    1915년
    데뷔 :
    1928년 <사나이>
  • 나운규의 활동
    홍개명, 촬영기사 이창용·이명우 등이 창립할 때 참여했다. 이때 〈잘 있거라〉(1927)·〈옥녀〉(1928)·〈사랑을 찾아서〉·〈사나이〉(1928)·〈벙어리 삼룡〉(1929) 등 5편을 만들어 흥행에 성공했다. 그러나 무절제한 생활로 단원들과 불화가 잦아지고 자금난도 심해지자 〈벙어리 삼룡〉을 끝으로 '나운규프로덕션...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배우
  • 주삼손 오오자와 야와라(大澤柔), 朱三孫
    프로덕션에서 제작한 5편의 영화 중에 적어도 4편에 출연했다. 그 영화는 〈잘 있거라〉(1927년 11월), 〈옥녀〉(1928), 〈사나이〉(1928년 9월), 〈벙어리 삼룡〉(1929년 1월)이었다. 이 영화의 여주인공 역할을 주로 전옥이 맡았는데, 전옥은 당시 주삼손이 자신의 대역이었다고 증언하고 있다(『동아일보』, 1931...
    본명 :
    오오자와 야와라(大澤柔)
    데뷔 :
    1924년 <해의 비곡>
  • 제12회 대종상
    제12회 대종상의 시상식에 관한 내용이다. 홍의장군 - 합동영화 수상 수선화 - 최훈 수상 수선화 - 신봉승 수상 다정다한 - 남궁원 수상 비련의 벙어리 삼룡 - 윤연경 수상 열궁녀 - 박암 수상 비련의 벙어리 삼룡 - 최인숙 수상 비련의 벙어리 삼룡 - 안창복 수상 수선화 - 이경자 수상 비련의 벙어리 삼룡 - 이현우...
    도서 위키백과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다음페이지 없음

관련항목

멀티미디어2건

벙어리 삼룡
벙어리 삼룡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