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법신 법불(法佛), 法身법신은 색신(色身)과 대비되는 또는 삼신[법신(法身)·보신(報身)·응신(應身)] 가운데 하나에 해당한다. 법불(法佛), 자성신(自性身), 법성신(法性身)이라고도 한다. 석존 입멸 후 인간으로서의 부처에 초점을 맞추는 설일체유부(Sarv?stiv?din)와 부처를 이상화·신앙화하는 대중부(Mah?sa?ghika) 불신관의 차이가 생...
- 유형 :
- 개념
- 분야 :
- 종교·철학/불교
도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
Dharmakāya 법신, 法身The Dharmakāya (lit. "truth body" or "reality body") is one of the three bodies (trikaya) of the Buddha in Mahayana Buddhism. Dharmakāya constitutes the unmanifested, "inconceivable" (acintya) aspect of a Buddha, out of which Buddhas arise and to which they return after their dissolution. Buddh...출처 영어 위키백과
-
오주서종신기화법신기수법 五洲書種神機火法神機水法1권. 활자본. 그의 저서인 〈오주연문장전산고 五洲衍文長箋散稿〉의 부록으로 나와 있다. 서문에서는 각종 화약 병기의 중요성과 발달과정을 서술하고, 신기의 개발을 강조했다. 〈신기화법〉에서는 화공요책(火攻要策)·화공상지책(火攻相地策)·화공상시책(火攻相時策)·화공신기책(火功神機策)·화공의계책(火攻宜戒...
-
상락아정 열반사덕(涅槃四德), 常樂我淨개설 범어는 nitya-sukha-ātman-śubha, 팔리어는 nicca-sukha-atta-subha이다. 열반사덕(涅槃四德), 법신사덕(法身四德)이라고도 하며, 줄여서 사덕(四德)이라고도 한다. 열반과 법신은 네 가지 덕성을 갖추었다. 첫째는 영원하여 변하지 않는 상(常), 둘째는 고통이 없는 안락한 낙(樂), 셋째는 진실한 자아로서 아(我...
- 유형 :
- 개념용어
- 분야 :
- 종교·철학/불교
도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아마라식 아말라식(阿末羅識), 阿摩羅識경우 무구식 · 본각(本覺) 등으로 불린다고 한다. 또 수행의 경지에 따라서도 번뇌에 속박되어 있을 때는 여래장(如來藏)으로, 번뇌로부터 자유로웠을 때는 법신(法身)으로 양자를 구별하고 있다. 요컨대 진제의 아마라식은 진여, 전의, 여여지, 실제 등의 동의어로서 수행의 궁극적 경지를 나타낸다. 또 이와 함께...
- 유형 :
- 개념
- 분야 :
- 종교·철학/불교
도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윤다 법신(法信), 允多가계 및 인적사항 윤다의 자(字)는 법신(法信)이며 865년(경문왕 5) 4월 5일에 경상북도 경주에서 태어났다. 조부 때까지는 귀족으로 고관을 역임하였으나 신라 말 난리가 나서 몰락하였다. 8세에 집을 떠나 사방을 다니다가 태안사가 있는 동리산에서 상방화상(上方和尙), 즉 여선사(如禪師)를 친견하고 제자가 되었다...
- 시대 :
- 고려
- 유형 :
- 인물/전통 인물
- 분야 :
- 종교·철학/불교
-
4쌍8배는 어떤 수행자를 말하나무색계의 모든 번뇌를 완전히 끊어 열반을 성취한 성자이다. <36권본 大般涅槃經 제33권, 迦葉菩薩品> “선남자야, 아라한의 경지는 곧 더 닦을 것이 없는 5분법신(五分法身)이니, 계신(戒身) · 정신(定身) · 혜신(慧身) · 해탈신 · 해탈지견신(解脫知見身)이다. 이 다섯 가지로 수행의 완성을 얻었으므로 저 언덕에...
-
삼신 三身있다고 주장하였으며, 이를 이신 · 삼신 · 사신설이라 하였다. 그 가운데 대표적인 것이 삼신설이다. 삼신설에도 여러 가지가 있는데, 우리 나라에서는 ① 법신(法身) · 보신(報身) · 화신(化身)의 삼신설이 가장 보편적으로 설해지고 있으며, ② 자성신(自性身) · 수용신(受用身) · 변화신(變化身)의 삼신설도...
- 유형 :
- 개념
- 분야 :
- 종교·철학/불교
-
법신불 法身佛이 부처를 구원의 법신불이라 부르고 있는데, 이것은 불교가 본래 법(法, Dharma)을 신앙하는 것이고, 법을 깨달은 진리와 일체(一體)요 영원불멸한 법신이라고 본 것이다. 이 법을 인격화한 법신불은 모든 중생이 모두 갖추고 있는 불성(佛性) 또는 여래장(如來藏)으로서, 그 사람됨과는 관계없이 모든 인간에게...
- 유형 :
- 개념
- 분야 :
- 종교·철학/불교
-
석가모니불 釋迦牟尼佛이며, 후자에서 들고 있는 삼신은 실불(實佛, svābhāvika-kāya) · 수법락불(受法樂佛, sāmbhogika-kāya) · 화신불(化身佛, nairmā○ika-kāya)과 법신(法身, dharma-kaya) · 보신(報身, sa○bhoga-kāya) · 화신 또는 응신(化身, nairmā○ika-kāya)이 곧 그것이다. 이 두 논서에 언급되고 있는 삼신은 원어...
- 유형 :
- 개념
- 분야 :
- 종교·철학/불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