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박인호 도일(道一), 朴寅浩
    일제강점기 천도교의 제4대 교주.|생애 박인호(朴寅浩)의 자는 도일(道一), 호는 춘암(春菴)이며, 초명(初名)은 박용호(朴龍浩), 이명(異名)은 박남수(朴南壽)이다. 밀양 박씨로, 신라 54대 경명왕의 장자 밀성대군(密城大君) 박언침(朴彦忱)의 37대손이다. 1855년 충청남도 덕산군 양촌면 막동리에서 출생하였으며, ...
    시대 :
    근대/개항기 , 근대/일제강점기
    유형 :
    인물/근현대 인물
    분야 :
    역사/근대사
  • 박인호 용호, 朴寅浩
    1855년 2월 1일 충청남도 덕산군(德山郡) 장촌면(場村面) 막동리(幕洞里, 현 예산군 삽교읍 하포리 막골)에서 아버지 박명구(朴明九)와 어머니 온양 방씨(方氏)의 장남으로 태어났다. 본관은 밀양(密陽)이며, 자는 도일(道一), 이명은 남수(南壽), 아명은 용호(龍浩)이며, 천도교 도호는 춘암(春菴), 존호(尊號)는 상사(...
    출생 :
    1855년 2월 1일, 충남 예산(禮山)
    사망 :
    1940년 4월 3일
    관련 사건 :
    천도교중앙총부
    본관 :
    밀양(密陽)
    주요활동 :
    1894년 동학농민운동 참여, 1904년 진보회의 갑진개화운동 주도, 1919년 3・1운동 참여, 1936년 멸왜기도운동 주도
    포상훈격 :
    1990년 건국훈장 독립장
    관련 인물/단체 :
    천도교중앙총부
  • 박인호 (1956년)
    인물 정보 박인호 Inho Park(1956년 10월 13일 ~ )는 대한민국의 작곡가이다. 대한민국 전라북도 부안군 출생이다. 연세대학교 음악대학 작곡과 를 졸업하였다. 국립 창원대학교 예술대학 교수를 역임(1990~1994)하였고 , 추계예술대학교 음악대학 작곡과 교수로 재직(1994~2022)하고 정년퇴직하였다. 2022년 3월 1...
    도서 위키백과
  • 박인호 (1854년) 朴寅浩
    갑진개혁운동에 동참했고, 1907년에는 천도교의 차도주(次道主)가 되었다. 1908년 1월 18일에는 제3대 교주 손병희의 뒤를 이어 제4대 천도교 교주가 되었다. 박인호는 천도교 교주가 된 이후에 교단의 조직과 규칙을 개편하여, 일진회를 모두 광범위하게 내쫓는 등, 이 일진회를 비롯한 친일 세력의 개입에 시달리고...
    도서 위키백과
  • 박인호 朴仁浩
    출신지와 출생 시기는 자료의 한계로 확인되지 않는다. 1924년 만주지역에서 대한통의부(大韓統義府) 대원으로 군자금 모집 등의 활동을 전개하다가 일본군과 교전 중 전사하였다. 1922년 8월 만주지역에서 활동하고 있었던 대한광복군영(大韓光復軍營) ・ 대한정의군영(大韓正義軍營) ・ 대한광복군총영(大韓光復軍總營...
    출생 :
    미상
    사망 :
    1924년 5월 29일
    관련 사건 :
    대한통의부
    주요활동 :
    1924년 대한통의부 대원으로 군자금 모집 활동
    포상훈격 :
    1996년 건국훈장 애국장
    관련 인물/단체 :
    대한통의부
  • 박인호 (1964년)
    군인 정보 박인호(朴仁虎, 1964년 9월 20일 ~ )는 대한민국의 군인이자 제39대 공군참모총장을 역임한 군인이었다. 1987년 공군사관학교(35기) 학사 2003년 목원대학교 일반대학원 경영학 석사 2014년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국가정책과정 공군사관학교 군사교육훈련처장 2012. 12. ~ 2013. 12: 합참 작전본부 종심작전...
    도서 위키백과
  • 박인호
    박인호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다. 박인호(朴寅浩, 1854년 ~ 1940년)는 일제 강점기의 천도교 지도자이며 독립운동가이다. 박인호(朴仁浩)는 대한민국의 작곡가, 작사가, 가수, 기타 연주자, 프로듀서, 음악 평론가, 작가인 박문영(朴文榮, 1954년 ~ )의 예명이다. 박인호(1956년 ~ )는 대한민국의 작곡가이다. 박인호(19...
    도서 위키백과
  • 나인협 홍암, 羅仁協
    오세창 ・ 양한묵 ・ 임예환 ・ 홍기조 ・ 나용환 ・ 김완규(金完圭) ・ 박준승 등과 장로인 이종훈(李鍾勳) ・ 홍병기와 함께 서명에 참여하였다. 박인호(朴寅浩)는 대도주(大道主)로서 정광조(鄭廣朝)는 대종사장(大宗師長)으로서 서명하지 않고 남아 천도교단을 이끌기로 하였다. 2월 28일 밤에 손병희의 집에...
    출생 :
    1872년 10월 8일, 펑안남도 성천
    사망 :
    1951년 4월
    관련 사건 :
    민족대표 33인 중 1인으로 참여
    본관 :
    나주(羅州)
    주요활동 :
    1917년 천도교중앙총부 도사(道師), 1919년 민족대표 33인 중 1인으로 독립선언서 서명, 1922년 천도교중앙총부 종리사에 선출, 포덕과 주임
    포상훈격 :
    1962년 건국훈장 대통령장
  • 권동진 權東鎭
    맞는 독립운동을 전개할 수 있었다. 1922년 5월 손병희가 세상을 떠나면서 천도교는 구심점을 잃은 채 분열에 휩싸였다. 신 ・ 구파의 분화는 4세 교주 박인호(朴寅浩)의 승계 문제에서 비롯되었으나, 정치적 입장의 차이도 중요한 원인이 되었다. 박인호의 승계를 인정치 않으려는 신파의 최린은 자치론으로 기울었고...
    출생 :
    1861년 12월 15일, 충북 괴산(槐山)
    사망 :
    1947년 3월 9일
    본관 :
    안동(安東)
    주요활동 :
    1900년 동학 입교, 1919년 3・1운동 민족대표 33인, 1926년 6・10만세운동 후원, 1927년 신간회 부회장, 1929년 신간회 복대표대회 집행위원장
    포상훈격 :
    1962년 건국훈장 대통령장
    관련 인물/단체 :
    천도교, 신간회
  • 손병희 孫秉熙
    의 난에 연루되어 정부의 탄압을 받아 산간지방을 전전하면서 포교활동을 전개하던 동학교문은 1880년대 들어 손병희를 비롯하여 손천민·김연국(金演局)·박인호(朴寅浩)·서인주(徐仁周)·황하일(黃河一)·김은경(金殷卿)·윤상오(尹相五) 등 새로운 인물들이 입도하면서 교문(敎門)의 체제를 정비하고 교세를 삼남...
    출생 :
    1861, 충북 청원
    사망 :
    1922
    국적 :
    한국
    호 :
    의암(義菴)
  • 손병희 민족대표요 천도교 3대 교주
    대도주(大道主)를 삼아 교단 조직을 물려주었으나 김연국이 이를 이용해 손병희의 지도를 거절하고 독자적 행동을 벌이자, 대도주 자리를 1908년 박인호에게 맡겼다. 박인호는 그의 충실한 후계자 노릇을 했다. 이를 전후로 해서 교주에 대한 호칭이 정해졌는데 1대 교주 최제우는 대신산(大神師), 2대 교주인 최시형은...
    출생 :
    1861년
    사망 :
    1922년
  • 천도교서 天道敎書
    大宗正義說), 무체법설(無體法說), 성령출세설(性靈出世說)로 나누어 해설하였다. 그러나, 손병희에 대한 전기적 기록은 등장하지 않는다. 그 이유는 아마도 박인호가 천도교서를 짓고 등사본으로 출판할 당시는 아직 손병희가 생존해 있었기 때문이 아닌가 한다. 즉, 생존한 스승의 일대기를 짓는다는 것을 불경스럽게...
    시대 :
    근대
    유형 :
    문헌
    분야 :
    종교·철학/천도교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다음페이지 없음

관련항목

멀티미디어4건

박인호
박인호
박인호 사망 보도(『독립신문』 1925. 5. 5.)
박인호 부고(『동아일보』 1940. 4. 5)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