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미불 米, Mi Fei
    중국의 주요예술가들 가운데 한 사람이다. 1103년 철학박사, 1104년 서화학박사가 되었다. 광범위한 글, 즉 시와 미학의 역사에 대한 논문, 화론 등을 썼다. 어머니가 영종의 유모였기 때문에 궁정에서 왕족과 자유롭게 어울리면서 자란 미불은 학문적인 논의를 재빨리 이해함으로써 예민한 지성을 보여주었고, 독창적인...
    출생 :
    1051
    사망 :
    1107, 중국 장쑤 성[江蘇省] 화이양[淮陽]
    국적 :
    중국, 송(宋)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작가
  • 미불 Mi Fu, 米芾
    예술가 정보 미불(米芾, 1051년~1107년)은 중국 북송 시대의 학자, 서예가이다. 채양, 소동파, 황정견과 함께 송4대가로 불린다. 자(字)는 원장(元章)으로 양양만사(襄陽漫士), 해악외사(海岳外史) 등의 호(號)가 있다. 휘종에게 소치(召致)되어 서화학 박사가 되었고, 그의 탁월하고 직관적인 감식안은 그의 비망록 <화...
    도서 위키백과
  • Mi Fu 미불, 米フツ
    Mi Fu (1051–1107)Barnhart: 373. His courtesy name was Yuanzhang (元章) with several sobriquets: Nangong (南宫), Lumen Jushi (鹿门居士), Xiangyang Manshi (襄阳漫士), and Haiyue Waishi (海岳外史) was a Chinese painter, poet, and calligrapher born in Taiyuan during the Song Dynasty. In painting he ...
  • 미불의 작품
    미불의 글은 광범위했다. 그의 시집인 〈산림집 山林集〉은 전해지지 않는다. 그러나 자신이 소장한 서예작품들을 비판적으로 설명한 〈보장대방록 寶章待訪錄〉과 자신과 남들이 소장하고 있던 그림들, 미학의 역사에 대한 논문, 화론 등이 수록되어 있는 〈화사 畵史〉는 지금도 남아 있다. 그가 죽은 뒤에 나온 작품...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작가
  • 행서율시 行書律詩
    중국 북송의 서예가이자 화가인 미불의 영향을 받은 작품으로, 미불의 자형과 운필을 따랐지만 더 여유롭고 차분하다. 초서의 기운도 가미된 것을 알 수 있는데, 이는 중국 명대 후기의 서예가이자 화가인 동기창의 영향을 받았음을 알려 준다. 신위는 동기창의 글씨를 직접 보고 학습했다고 알려져 있다. 미불과 함께...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작품
  • 화사 畵史, Hua shih
    1권. 〈해악화사 海岳畵史〉라고도 한다. 북송의 미불(米芾 : 1051~1107)이 지었다. 〈사고전서총목제요 四庫全書總目題要〉에는 이 책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언급하고 있다. "사가들은 미불이 서화와 그림에 능하여 스스로 일가를 이루었으며, 특히 감상과 비평에 뛰어났다고 칭찬한다. 이 책은 그가 평생 동안 보아온...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미술
  • 서원아집도 西園雅集圖
    채조(蔡肇), 이지의(李之儀), 소철(蘇轍), 황정견(黃庭堅), 이공린(李公麟), 조보지(晁補之), 장뢰(張耒), 정가회(鄭嘉會), 진관(秦觀), 진경원(陳景元), 미불(米芾), 왕흠신(王欽臣), 원통대사(圓通大師), 유경(劉涇) 등의 16인(진사도(陳師道)를 넣어 17인이 되기도 함)이 모여 시를 읊고 휘호를 하고 현금(玄琴)을...
    시대 :
    조선
    유형 :
    개념
    분야 :
    예술·체육/회화
  • 남종문인화풍을 뿌리내리다, 심사정 심이숙(沈頤叔), 沈師正
    자기화하여 새로이 탄생시킨 화가도 없었다. 송나라 마원의 그림을 모작한 〈방마원산수〉에서는 마원의 북종화풍을 남종화풍으로 재해석했고, 송나라 미불의 그림을 모작한 〈방미남궁산수〉에서는 미불의 미점(米點)법을 묵법으로 변용했다. 이런 끊임없는 노력으로 그는 대담하고 활달한 담묵(淡墨, 엷은 먹)과 농묵...
    출생 :
    1707년
    사망 :
    1769년
    대표작 :
    〈강상야박도〉, 〈파교심매도〉, 〈촉잔도〉 등
    시기 :
    조선 후기
  • 미우인 米友仁, Mi yujen
    자는 원휘·윤인, 소자는 호아, 호는 해악도인·나졸노인. 후베이[湖北]의 양양 사람이다. 아버지 미불이 대미라고 불린 데 대해 소미라고 불렸다. 고종의 총애를 받아 벼슬이 병부시랑·부문각직학사에까지 이르렀다. 천성이 초일하여 그림을 그릴 때 법도를 일삼지 않았다. 미불의 운산에 다시 새로운 법을 가미해...
    출생 :
    1086
    사망 :
    1165
    국적 :
    중국, 송(宋)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화가
  • 초서 草書
    당(唐)장회관(張懷瓘)은 한 장제와 위(魏)문제(文帝)가 초서로 장주(章奏)하라 하였으므로 장초라 이름한다고 주장하였는데, 이후 송(宋) 황정견(黃庭堅)·미불(米巿) 등의 명서가와 대부분의 소학가(小學家)들이 이 설을 따르고 있어 믿을 만한 설로 본다. 장초는 예초(隷草)·급취(急就)라고도 하는데, 예서 필획의...
    유형 :
    개념용어
    분야 :
    예술·체육/서예
  • 왕정균 王庭筠, Wang T'ingyun
    자는 자단(子端), 호는 황화노인(黃華老人). 세종조 1177년(大定 16)에 진사가 되었다. 미불(米芾)의 서예를 사숙하여 그의 정수를 이어받았다. 남송과 금에서 미불을 계승한 이들 가운데 가장 뛰어난 것으로 평가된다. 현재 전하는 작품으로는 〈중수촉선주묘비 重修蜀先主廟碑〉·〈행서칠절시비 行書七絶詩碑...
    출생 :
    1151
    사망 :
    1202
    국적 :
    금(金), 중국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화가
  • 윤순의 시문과 그림
    서풍을 일으켰다. 문하에 이광사(李匡師)가 배출되어 이를 계승했다. 글씨는 주로 중봉법을 고수했고 세속적 유행을 철저히 배격했다. 동기창·문징명·미불·소식·왕희지 등 옛 사람의 서체를 자유자재로 구사했는데. 특히 미불의 서체를 가장 많이 쓴 듯하다. 행서는 각 가의 장점을 조화시켜 일가를 이루었다. 그가...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화가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7 다음페이지 없음

멀티미디어3건

미불(Mi Fei)
『춘여첩(春餘帖)』, 미불, 석판본(모각본), 27.2×12.0cm
『춘여첩(春餘帖)』, 미불, 석판본(모각본), 27.2×12.0cm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