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문화재대관 文化財大觀
    국내에 있는 지정문화재를 도판과 함께 수록하고 연혁을 적은 책.|이전에도 공예·전적·불상·석조물·석탑·목조물로 분류한 〈국보도록 國寶圖錄〉이 있었으나 유형문화재에만 국한되어 있었다. 1962년 1월 문화재보호법이 공포·시행되면서부터 유형문화재 외에도 무형문화재·천연기념물·민속자료 등이 문화재로...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출판
  • 국가유산진흥원 한국문화재보호재단, 韓國文化財財團
    상품개발 및 보급, 관련 서적 출판, 문화유산 국제협력, 문화유산 조사연구 등이 있다. 기관지 <월간 문화유산>를 간행하고 있으며, 주요 출판물로는 <문화재대관> 국보편·보물편·사적편을 비롯해 <무형문화재대관>·<궁중유물도록>·<한국의 복식>·<한국의 고궁>·<탈춤대사집>·<한국음식대관>·<문화재관광안내...
    설립 :
    1980년
    소재지 :
    서울특별시 강남구 봉은사로 406
    사이트 :
    국가유산진흥원 홈페이지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공공기관
  • 니라야마 대관 Nirayama Daikansho, 韮山代官所
    대관을 세습하다가 근대를 맞이한다. 시즈오카현 이즈노쿠니시 니라야마 자 니라야마 1번지에 에가와가의 저택이 현존하고 있으며, 에가와저(江川邸)라는 이름...본당 건물이, 1993년 12월 9일 서원, 불간, 창고, 문, 담장, 신사가 국가 중요문화재로 추가 지정되었다. 현재는 1967년 설립된 재단법인 에가와 문고의...
    도서 위키백과
  • 진천 신헌 고가
    부사, 공조 판서를 역임하였으며 1874년(고종 11) 진무사가 되어 강화연안에 포대를 구축했다. 1875년 운양호 사건이 일어나자 이듬해 판중추부사로서 전권대관이 되어 일본의 전권 변리대신 구로다와 강화에서 병자수호조약을, 1882년 경리통리기무아문사로 전권대관이 되어 미국의 슈펠트와 한미 수호조약을 각각 체결...
    위치 :
    충청북도 진천군 이월면 논실안길 58-1 (이월면)
    문화재 지정 :
    충청북도 문화재자료 제1호(1985년 12월 28일 지정)
  • 노트르담 대성당 Notre-Dame de Paris
    스테인드 글라스는 북쪽 정면의 장미창을 제외하고는 후세의 작품이다. 주요 문화재 성당 건물 자체가 850년이 넘는 오랜 역사를 자랑하지만, 성당에서 보유...많다. 오른쪽 출입구의 〈성모자(聖母子)〉(1165~70경), 왼쪽 출입구의 〈성모대관(聖母戴冠)〉(1210~20경), 중앙 출입구의 〈최후의 심판〉(1220~30경), 북쪽...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기독교 , 종교
  • 국가문화유산진흥원 한국문화재보호협회, 國家文化遺産振興院
    전시 · 공연 부문을 맡아 왔다. 또한 각계 각층에 전통문화를 알리고 확산시키기 위한 사회교육과 출판사업에도 힘써, 전통음식문화를 집대성한 『한국음식대관』전6권 외 많은 교육용 도서와 문화유산 도서를 발간하였으며 정기간행물로는 『월간 문화재』가 있고 1995년부터는 전국의 개발 지구 매장유산들에 대한...
    시대 :
    현대
    유형 :
    단체
    분야 :
    예술·체육/회화
  • 황혜성 黃慧性
    분야 문화재 전문위원(현, 문화유산 전문위원)을 역임하였고, 1971년 궁중음식 전수기관인 사단법인 궁중음식연구원을 설립하여 이사장을 맡으면서 전통 한국음식 문화의 전수와 보급에 오로지 힘썼다. 황혜성은 이미 막을 내린 조선왕조의 마지막 왕비인 윤비를 모시는 주방 상궁 옆에서 30년간 주방 상궁이 만들던...
    유형 :
    인물/근현대 인물
    분야 :
    생활/식생활
  • 김대벽 백안, 金大璧
    한 전통 건축 교양서를 통해 우리 건축물 속에 배어 있는 삶의 흔적을 탐구했다. 신영훈과 함께 〈우리 한옥〉(2000)·〈한옥의 향기〉(2000)·〈한국의 고궁〉(2005) 등을 편찬했으며, 〈한국 가면 및 가면극〉(1969)·〈한국 국악기 대관〉(1970)·〈문화재대관-중요민속자료편〉(1985) 등에서 사진을 담당하였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화가
  • 구룡산 영지사 九龍山 靈芝寺
    智照)·원찬(元贊)이 중창하고 이름을 영지사(靈芝寺)로 바꿨다. 1992년 중안(重岸)이 대웅전을 중수했다”라고 기록하고 있고, 경상북도에서 발간한 『문화재대관』에서는 “임진왜란의 병화로 소실되고 영지대사가 주창하여 영지사라 하였다고 한다. 그 후 조선 1774년(영조 50)에 중수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다.”라고...
    유형 :
    유적
    분야 :
    종교·철학/불교
  • 교룡산성 승장동인 蛟龍山城 僧將銅印
    의 승병장(僧兵將: 일명 산성별장)이 되어 성을 크게 중수하고 전란에 대비하였는데, 이 때 조정에서 산성별장의 병부로써 이 동인을 보낸 것이다. 『전북문화재대관』에는 임진왜란이 일어난 이듬 해인 1593년경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현재는 동인 만이 남아있고, 동인을 보관하던 본래의 함은 사라지고 없다...
    유형 :
    유물
    분야 :
    종교·철학/불교
  • 이형 부인 동래정씨 의복 李泂 夫人 東萊鄭氏 衣服
    일종으로 앞은 통으로 되고 뒤의 엉덩이선 이하가 터져 있다’고 설명되어 있다. 당시에는 트임이 있는 치마 2점으로 이해하였으며 1986년에 간행된 『문화재대관』에도 ‘내친상’으로 설명하면서 거꾸로 된 유물 사진을 제시하였다. 그러나 이 유물은 그간 출토된 다른 묘의 유사한 유물을 통하여 볼 때 가랑이가 분리...
    시대 :
    조선
    유형 :
    유물
    분야 :
    생활/의생활
  • 경상남도의 유형문화재 (제601호 ~ 제700호)
    있는 문화재를 의미한다. 번호 사진 명칭 소재지 관리자(소유자) 지정일 참조 601호 합천 해인사 백련암 목조여래좌상(陜川 海印寺 白蓮庵 木造如來坐像) 경남 합천군 가야면 치인리 10 합천 해인사 2017년 1월 5일 지정 602호 합천 해인사 백련암 풍계집 목판(陜川 海印寺 白蓮庵 楓溪集 木板) 경남 합천군 가야면...
    도서 위키백과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7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