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만파식적설화 萬波息笛說話신라시대 용으로부터 영험한 대를 얻어 피리를 만들었다는 내용의 설화. 개설 신이담(神異譚)에 속한다. 『삼국유사』 권2 기이(紀異) 만파식적조와 『삼국사기』 권32 잡지 제1 악조(樂條)에 실려 있다. 내용 신문왕이 아버지 문무왕을 위하여 동해가에 감은사(感恩寺)를 지었다. 682년(신문왕 2)에 해관(海官)이 동...
- 시대 :
- 고대/삼국
- 저작자 :
- 미상
- 성격 :
- 설화
- 유형 :
- 작품
- 분야 :
- 문학/구비문학
-
-
대나무앞에 댓잎이 수북이 쌓여 있었다. 그래서 미추왕이 도운 것인 줄 알고 그 능호를 죽현릉(竹現陵)이라고 하였다는 내용으로 미추왕의 신이함을 보인 설화이다. 「만파식적(萬波息笛)」은 신기한 피리에 대한 설화이다. 신라 신문왕 때 동해에 작은 산이 하나 떠내려 왔는데, 그 산에 신기한 대나무가 있어 낮에는 둘...
- 유형 :
- 동식물
- 분야 :
- 과학/식물
-
천지의 원성을 간직한 악기, 대금역사적인 맥락과 정치적인 맥락을 짚어볼 수 있게 하는 하나의 텍스트이므로 참고할 필요가 있다. 대금의 역사를 거슬러 올라가면 반드시 마주치게 되는 만파식적 설화를 『삼국사기』를 통해 살펴보자. 신문왕(神文王) 때에 동해에서 홀연히 작은 산이 하나 나타났는데, 그 형상이 거북의 머리와 같았고, 그 위에 한...
-
군위화본마을 시간 여행자의 천국부터다. 『삼국유사』를 주제로 그린 벽화는 마을을 가로지르는 큰길을 따라 길게 이어진다. '주몽', '서동왕자와 선화공주', '단군왕검 설화', 신라의 '만파식적', 고구려 무용총의 '수렵도' 등 역사 속 사건과 인물 그림이 오밀조밀하게 길을 만든다. 화본마을의 벽화는 예술적인 관점에서 평가하기보다는 역사와 관련...
- 위치 :
- 대구광역시 군위군 산성면 화본2길 5-1
-
용신신앙 龍神信仰보물이었다. 만파식적의 기능을 보면 호국용신의 기능을 짐작할 수 있다. 적병을 물리치고 가뭄에 비를 오게 하고 물결을 진정시킨다는 것이다. 이러한 용신신앙은 호국불교의 사상과 본래부터 자생하였던 수신신앙이 습합(習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본다. 이러한 호국용신의 관념은 백제에서도 찾을 수 있다. 백제...
- 유형 :
- 개념
- 분야 :
- 종교·철학/민간신앙
-
호법룡 護法龍있는 대왕암(大王巖)이다. 그 뒤 문무왕은 호국룡으로 바뀌어 동해의 왜구 출몰을 막는 국토의 수호신이 되었다고 한다. 그가 용이 되었다는 것은 뒤에 만파식적(萬波息笛)이라는 신령한 피리를 김유신(金庾信, 595-673)의 후신과 이 호법룡한테서 받게 된다는 설화로 증명되고 있다. 이와 같은 호법룡신앙은 문무왕에...
- 유형 :
- 개념용어
- 분야 :
- 종교·철학/불교
-
부례랑 夫禮郎太大角干)에, 어머니 용보부인(龍寶夫人)은 사량부(沙梁部)경정궁주(鏡井宮主)에 임명되었다 한다. 『삼국유사』에 전하는 이러한 전승은 어디까지나 설화적인 것이다. 다만 이를 통하여 당시 성행하던 불교의 관음신앙(觀音信仰)과 신라의 평화를 상징하는 만파식적에 관한 관념 및 화랑도의 유행(遊行)을 통한 수행의...
- 시대 :
- 고대/남북국/통일신라
- 출생 :
- 미상
- 사망 :
- 미상
- 유형 :
- 인물
- 직업 :
- 화랑
- 성별 :
- 남
- 분야 :
- 역사/고대사
-
해동악부 海東樂府樂)·만파식적(萬波息笛)·동경곡(東京曲)·회소곡(會蘇曲)……정과정(鄭瓜亭)·풍입송(風入松)·야심사(夜深詞)·한림별곡(翰林別曲)·자하곡(紫霞曲)·궁수분(窮獸奔)·서호곡(西湖曲)·연양가(延陽歌)·영선악(迎仙樂)·태평소(太平簫)·아악서(雅樂署)·당향악(唐鄕樂)·소대악(昭代樂)·고취악(鼓吹樂)·당부(唐部...
- 시대 :
- 조선
- 저작자 :
- 이유원
- 창작/발표시기 :
- 조선 후기
- 성격 :
- 악부시
- 유형 :
- 작품
- 분야 :
- 문학/한문학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