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하가 가해지거나, 제거된다. 〈참조어〉 조기조건 ③ (계전기의) 전력용 개폐장치 용어. 입력감소에 대해 계전기가 설계대로 반응을 일으킬 때의 동작. 협의(狹義)의 리세트는, 입력감소에 대한 모든 반응이 완료하였을 때의 계전기상태를 말한다. 리세트는 또, 점차 입력을 감소하고, 픽업에서 완전히 복귀하여...
발생에서 리스트에 이르기까지의 시간. 주 : 상태가 특정한 것이 아닌 때는, 픽업계전기를 적용하여 입력픽업치에서 0으로 급격히 변화하는 것을 나타낸다. ② 자동재폐로 또는 자동선로구분개폐기 용어. 전력용개폐장치 용어. 하나 혹은 그 이상이 카운터동작 후, 스타트시점으로 카운터가 돌아오기까지 요구되는 시간
용어. 이 장치에 조합되어 있는 서단기에 대응하는 한 개 이상의 퓨즈의 개폐에 반응하여 서단기의 모든 극을 개방(트립)하는 장치. 이 장치의 개방 후는 리셋동작 될 때까지 서단기를 투입할 수 없다. 주 : 얼마간의 퓨즈개방트립장치는 퓨즈에 걸리는 전압을 감지함으로 인해 동작하기 때문에, 끊어져 있거나 결함이...
없는 기간은 어느 정도의 원인으로부터 생긴 결과이다. 예를 들면 다음과 같은 것이 있다. 신호전달속도가 유한일 때의 거리와 속도의 비, 히스테리시스, 리셋동작, 크론마찰, 접합운동, 및 톱니바퀴의 백래쉬 등의 존재 또한 주기적 샘플링기간 또 뉴트럴기간의 의식적 도입 등이 있다. 〈참조어〉 피드백제어계 ②...
한번 중단된 프로그램을 메모리의 특정번지(리스타트 번지)에서 재개하기 위해 기동하는 것. 일반적으로, 재시작 번지에는 모니터나 부스트랩 등 프로그램의 선두 번지가 위치하고 리셋동작과는 달라서 CPU나 주변회로의 초기화 없이 프로그램이 중단되기 이전의 정보를 보존한 상태로 프로그램의 재실행이 가능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