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류리크 Ryurik
    키이우 루시의 류리크 왕조를 세웠다는 반전설적인 바이킹 또는 바랴크인(人) 군주. (영). Rurik. Rorik, Hrorekr라고도 씀.|그의 이야기는 〈러시아 원초연대기 Russian Primary Chronicle〉(12세기초 편찬)에 나오지만 현대 역사가들은 이 이야기를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지는 않는다. 연대기에 따르면 정치 분규에 ...
    출생 :
    미상
    사망 :
    879경
    국적 :
    러시아
    도서 다음백과 | 태그
  • 류리크 왕조 Rurik dynasty
    키이우 루시 및 이후 모스크바 대공국의 군주 가문.|전설에 따르면 이들은 862년경 노브고로트 사람들의 요청으로 그 도시를 다스린 바랴크인(人) 군주 류리크의 후손이라고 한다. 류리크 왕조의 군주들은 1598년까지 키이우 루시 및 이후의 모스크바 대공국을 지배했다. 류리크의 후계자 올레크(912 죽음)는 882년경 ...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세계사
  • 류리크 (1892년 장갑순양함) Russian cruiser Rurik (1..
    류리크에 격침되었다. 취항 후 류리크는 블라디보스토크에 기지를 둔 러시아 태평양 함대로 향했다. 태평양 전대를 담당하고 있었던 표도르 두바소프 제독은 짧은 취항 기간 이후에 보일러를 재설치하고, 삭구를 제거하는 함의 개조를 권했다. 보일러 재설치 작업은 시작되지 못했지만, 삭구를 대폭 줄이는 작업은 진행...
    도서 위키백과
  • 류리크 Rurik, リューリク
    왕족 정보 류리크는 초대 노브고로드 공으로, 류리크 왕조의 개창자이다. 855년에 라도가호 지역을 장악하고 862년에 노브고로드 지역에 홀름가르드 정착촌을 건설하였다. 원초연대기에서 루스인 출신이라고 언급되고 있으며, 이에 대해 루스인을 북게르만족의 일파로 간주하여 류리크 또한 북게르만인으로 간주하는 서...
    도서 위키백과
  • 류리크 Rurikids, リューリク朝
    류리크가는 862년에서 1612년까지 루스계 국가들을 군림한 가문이다. 창시자는 노브고로드의 1대 공작인 류리크이다. 류리크가는 862년에서 1240년까지 키예프 루스의 공가로 군림하였으며, 몽골군이 쳐들어오자 키예프 루스는 멸망하였다. 1283년에 류리크 왕조 출신인 다닐 알렉산드로비치에 의해 새로운 루스 공국인...
    도서 위키백과
  • 류리크 2세 로스티슬라비치 Rurik Rostislavich, リューリク・ロ..
    류리크 2세는 키예프 대공국의 대공이다. 류리크 왕조 출신이다. 로스티슬라프 1세 대공의 아들로 태어났다. 키예프 대공으로 즉위하기 전에는 여러 차례의 대공위 계승과 관련된 분쟁을 경험했으며 6차례에 걸쳐 키예프 대공을 역임했다. 그 밖에 노브고로드 공화국 공작(1170년 ~ 1171년), 벨고로드키옙스키(Belgorod...
    도서 위키백과
  • 러시아 문학 Russian literature
    러시아 문학의 적용범위는 시대에 따라 다르다. 기록문학이 생겨난 11~16세기는 류리크 왕조가 지배하는 동슬라브족의 동맹체인 키이우 루시의 문학을 가리키며, 16~20세기초는 통일 러시아 문학을 가리킨다. 그러나 이것은 러시아 중심부 문학이지 전체를 포함하는 것은 아니었다. 1917년 이후의 러시아 문학은 러시아...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문학
  • 선사시대부터 1700년경까지 러시아의 역사
    약탈지역을 넓혀 바그다드와 콘스탄티노플까지 이르렀다. 이 정복활동에 참여한 스칸디나비아인들은 바랴크족으로서 그중의 한 공후(公侯)인 유틀란트의 류리크가 1598년까지 동슬라브를 통치한 왕조의 창시자로 간주된다(류리크 왕조). 대략 930∼1000년에 걸쳐 이 지역은 노브고로트를 거점으로 삼은 바랴크족이...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세계사
  • 로마노프 왕조 Romanov dynasty
    84 차르)의 첫번째 왕비였는데 그녀의 오빠인 니키타의 자식들이 왕비의 아버지인 조부를 기리기 위해 로마노프라는 성을 쓰기 시작했다. 1598년 표도르 1세(류리크 왕조 최후의 왕)가 죽자 러시아에는 15년간의 암흑기인 이른바 혼란시대(1598~1613)가 도래했다. 전국회의인 '젬스키 소보르'에서 니키타의 손자 미하일...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근세/근대 , 유럽
  • 모스크바 대공국 Moskovskoye Velikoye Knazhestvo
    류리크 왕조의 지배를 받았으며, 원래는 로스토프수즈달 공국의 작은 정착촌이었으나 그뒤 러시아 북동부의 유력한 정치 단위체로 성장했다. 13세기 후반 알렉산드르 네프스키의 막내아들 다닐이 다스릴 때 공국의 기틀이 단단히 잡혔다. 삼림지역 한가운데 있어 적의 침공을 별로 받지 않은 데다가 주요무역로가 교차...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세계사
  • 루시인, 러시아 북부 노브고로드 정착
    루시인의 지도자 류리크가 추종자들을 이끌고 스칸디나비아반도에서 남쪽으로 내려가 러시아 북부의 노브고로드에 정착했다. 류리크가 노브고로드에 진출한 것은 흑해 교역로를 개척하기 위해서였다. 스칸디나비아반도의 노르만족은 배를 타고 볼가강과 드네프르강을 따라 흑해까지 바로 갈 수 있었다. 흑해에는 부유한...
    시대 :
    862년
    국가/대륙 :
    유럽
  • 바실리(4세) 슈이스키 Vasily (IV) Shuysky
    1598년까지 러시아를 다스린 류리크 왕조의 전설적인 창시자 류리크의 후손인 한 귀족가문에서 태어났다. 바실리 슈이스키는 차르 표도르 1세(1584~98 재위)의 동생이자 후계자였던 드미트리 이바노비치의 사인규명 조사반을 지휘한 뒤 9세였던 드미트리 황태자가 간질병 발작을 일으켜 칼로 자살했다고 결론을 내려...
    출생 :
    1552
    사망 :
    1612. 9. 12, 바르샤바 근처 고스티닌
    국적 :
    러시아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세계사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2건

류리크(Ryurik)
류리크 왕조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