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
류리크 (1892년 장갑순양함) Russian cruiser Rurik (1..류리크에 격침되었다. 취항 후 류리크는 블라디보스토크에 기지를 둔 러시아 태평양 함대로 향했다. 태평양 전대를 담당하고 있었던 표도르 두바소프 제독은 짧은 취항 기간 이후에 보일러를 재설치하고, 삭구를 제거하는 함의 개조를 권했다. 보일러 재설치 작업은 시작되지 못했지만, 삭구를 대폭 줄이는 작업은 진행...도서 위키백과
-
류리크 2세 로스티슬라비치 Rurik Rostislavich, リューリク・ロ..류리크 2세는 키예프 대공국의 대공이다. 류리크 왕조 출신이다. 로스티슬라프 1세 대공의 아들로 태어났다. 키예프 대공으로 즉위하기 전에는 여러 차례의 대공위 계승과 관련된 분쟁을 경험했으며 6차례에 걸쳐 키예프 대공을 역임했다. 그 밖에 노브고로드 공화국 공작(1170년 ~ 1171년), 벨고로드키옙스키(Belgorod...도서 위키백과
-
-
선사시대부터 1700년경까지 러시아의 역사약탈지역을 넓혀 바그다드와 콘스탄티노플까지 이르렀다. 이 정복활동에 참여한 스칸디나비아인들은 바랴크족으로서 그중의 한 공후(公侯)인 유틀란트의 류리크가 1598년까지 동슬라브를 통치한 왕조의 창시자로 간주된다(류리크 왕조). 대략 930∼1000년에 걸쳐 이 지역은 노브고로트를 거점으로 삼은 바랴크족이...
-
-
-
루시인, 러시아 북부 노브고로드 정착루시인의 지도자 류리크가 추종자들을 이끌고 스칸디나비아반도에서 남쪽으로 내려가 러시아 북부의 노브고로드에 정착했다. 류리크가 노브고로드에 진출한 것은 흑해 교역로를 개척하기 위해서였다. 스칸디나비아반도의 노르만족은 배를 타고 볼가강과 드네프르강을 따라 흑해까지 바로 갈 수 있었다. 흑해에는 부유한...
- 시대 :
- 862년
- 국가/대륙 :
- 유럽
-
바실리(4세) 슈이스키 Vasily (IV) Shuysky1598년까지 러시아를 다스린 류리크 왕조의 전설적인 창시자 류리크의 후손인 한 귀족가문에서 태어났다. 바실리 슈이스키는 차르 표도르 1세(1584~98 재위)의 동생이자 후계자였던 드미트리 이바노비치의 사인규명 조사반을 지휘한 뒤 9세였던 드미트리 황태자가 간질병 발작을 일으켜 칼로 자살했다고 결론을 내려...
- 출생 :
- 1552
- 사망 :
- 1612. 9. 12, 바르샤바 근처 고스티닌
- 국적 :
- 러시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