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로크의 철학
    영국의 철학자.|인식론 로크는 이성적 추론만으로 세계에 대한 진리를 발견할 수 있다는 견해를 거부했다. 데카르트를 무척 존경했지만 그의 철학에 들어있는 사변적 정신은 경계했고 스콜라 철학자들의 사변성을 경멸했다. 이런 의미에서 그는 형이상학을 거부했다. 세계에 대한 인식은 오직 경험과 경험에 대한 반성...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서양철학
  • 로크 (관련어 로크의 철학) John Locke
    영국과 프랑스 계몽주의의 선구자로서 미국 헌법에 정신적 기초를 제공했다. 당시 '새로운 과학' 곧 근대과학을 포함한 인식의 문제를 다룬 〈인간 오성론〉의 저자로 유명하다. 옥스퍼드의 크라이스트처치 칼리지와 이후 학위과정을 마친 후, 존 로크의 관심은 자연과학과 도덕적·사회적·정치적 삶의 근본원리에 있었...
    출생 :
    1632. 8. 29, 잉글랜드 서머싯 링턴
    사망 :
    1704. 10. 28, 에식스 오츠
    국적 :
    영국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철학가
  • 경험론의 정치철학 경험적 지각을 통한 유용성 실현
    이를 방지하는 과정에서 생겨났는지를 관찰하고 탐구한 내용이 전혀 없다. 경험적 탐구가 아닌 추상적 · 허구적 설정에 불과하기 때문에 태생적으로 자신의 철학적 기반인 경험론과 괴리가 생기는 문제가 있다. 로크의 사회계약론 로크도 자연 상태에서의 인간은 자유롭고 평등하다는 전제에서 출발한다. 하지만 몇...
  • 인식론 認識論, epistemology
    "인간은 어떻게 알 수 있는가", "안다는 것은 무엇인가", "우리는 무슨 권리로 '안다'고 말할 수 있는가" 등의 문제를 탐구하는 학문이다. 인간의 탐구대상이 인간이라면 인식론은 그 탐구의 중요한 부분이 될 것이다. 앎이란 인간 삶의 중요한 부분을 구성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현명하게 살아가기 위해서는 바깥 세계...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서양철학 , 종교
  • 개념적 사유
    개념(로크에게는 '일반관념')은 이름(일반단어)을 갖는다고 생각했다. 개념을 정신적 대상으로 보는 견해에서는 물질적 존재들의 세계 이외에, 심리적 사건들의 세계와 또 정신의 대상으로 존재하는 개념들의 세계가 있게 된다. 또다른 입장은 개념을 실체가 아닌 능력으로 간주하는 것이다. 추상적 관념을 마음속에...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서양철학
  • 경험론의 존재론과 인식론 경험적 지각을 통한 유용성 실현
    인상이 기억이라는 방식을 통해 인식을 만들어낸다. 인식은 오직 물체의 원인과 특성 그리고 물체의 성질과 발생에 관계하고, 물체가 없으면 철학이 없다는 의미에서 철학은 주어진 것이다. 외부의 물체에 대해 인간과 정신은 수동적이다. 로크 역시 약간 신중하지만 기본적으로 홉스와 마찬가지로 감각 대상의 반영을...
  • 근대와 현대의 경험주의
    에피쿠로스 철학의 부활을 꾀한 가생디는 프랑스뿐만 아니라 영국에서도 그 영향력을 발휘했다. 그는 "감각에 주어지지 않는 것은 지성에 주어지지 않는다", "감각에는 오류가 없다"는 에피쿠로스의 주장을 되풀이함으로써 감각주의자라는 비난을 받기도 했다. 고전적 영국의 경험주의자들 〈인간 오성론 An Essay...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서양철학
  • 근대 서양 계몽주의 철학
    버크, 요한 고트셰트, 알렉산더 바움가르텐 등은 체계적 미학의 기초를 놓고 있었다. 그러나 인식론 외에 계몽주의가 크게 기여한 분야는 사회·정치 철학이었다. 로크의 〈시민정부론 Two Treatises of Civil Government〉(1690)과 장 자크 루소의 〈사회계약론 Du contrat social〉(1762)은 그 시대의 더욱 새로운...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서양철학
  • 로크 Alain (LeRoy) Locke
    대학교에서 철학 과장으로 재직하면서 학생들을 가르쳤다. 그는 예술활동을 격려하고 지도했으며 미국 사회가 흑인을 인정하고 존중하게 하는 데 기여했다. 아프리카 문화 및 그 문화가 서구문명에 미친 영향을 연구하면서, 흑인 화가·조각가·음악가에게 자기인식을 위해 아프리카를 주목하고 작품을 위한 자료와 기술...
    출생 :
    1886. 9. 13, 미국 필라델피아
    사망 :
    1954. 6. 9, 뉴욕 시
    국적 :
    미국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작가
  • 자유주의의 사상적 토대, 존 로크 John Locke
    로크 당대에도 거의 읽히지 않았다고 한다. 오늘날 서구 학계에서도 《통치론》은 〈제2론〉만을 지칭하는 경우가 많다. 맥퍼슨, C. B., 《홉스와 로크의 사회철학 : 소유적 개인주의의 정치이론》, 황경식·강유원 옮김(박영사, 2002) 홉스에서 로크에 이르는 근대 정치 이론을 조명하면서 그것의 기본 바탕을 이루는...
    출생 :
    1632년
    사망 :
    1704년
    대표작 :
    《통치론( Two Treatises of Government)》
  • 유물론 유물주의, 唯物論
    했다. 경험론의 입장에 선 J. 로크(1632~1704)는 지식의 기원을 감각적 경험에서 찾았는데, 확실하게 유물론의 입장을 취하는 일은 없었다. 그러나 로크의 철학이 프랑스에 도입되자 그 감각론은 철저하게 유물론이 되어 많은 유물론자가 나타났다. 프랑스 계몽사상의 중핵이 된 〈백과전서〉 편집의 중심인물인 D...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서양철학
  • 로크 John Locke, ジョン・ロック
    관념으로서 이들이 복합하여 복합 관념이 생긴다. 이성론에서 말하는 실체도 복합 관념에 지나지 않는다"고 하여 경험론의 입장을 취하였다. 로크는 뉴턴의 작품인 '자연철학의 수학적 원리와 광학'에 있는 내용을 토대로 현상 물질 세계의 이해를 하는 데에 기념비적인 역할을 하였다. 뉴턴은 원자이론을 과학적이고...
    도서 위키백과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