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
-
경험론의 존재론과 인식론 경험적 지각을 통한 유용성 실현인상이 기억이라는 방식을 통해 인식을 만들어낸다. 인식은 오직 물체의 원인과 특성 그리고 물체의 성질과 발생에 관계하고, 물체가 없으면 철학이 없다는 의미에서 철학은 주어진 것이다. 외부의 물체에 대해 인간과 정신은 수동적이다. 로크 역시 약간 신중하지만 기본적으로 홉스와 마찬가지로 감각 대상의 반영을...
-
근대와 현대의 경험주의에피쿠로스 철학의 부활을 꾀한 가생디는 프랑스뿐만 아니라 영국에서도 그 영향력을 발휘했다. 그는 "감각에 주어지지 않는 것은 지성에 주어지지 않는다", "감각에는 오류가 없다"는 에피쿠로스의 주장을 되풀이함으로써 감각주의자라는 비난을 받기도 했다. 고전적 영국의 경험주의자들 〈인간 오성론 An Essay...
-
근대 서양 계몽주의 철학버크, 요한 고트셰트, 알렉산더 바움가르텐 등은 체계적 미학의 기초를 놓고 있었다. 그러나 인식론 외에 계몽주의가 크게 기여한 분야는 사회·정치 철학이었다. 로크의 〈시민정부론 Two Treatises of Civil Government〉(1690)과 장 자크 루소의 〈사회계약론 Du contrat social〉(1762)은 그 시대의 더욱 새로운...
-
자유주의의 사상적 토대, 존 로크 John Locke로크 당대에도 거의 읽히지 않았다고 한다. 오늘날 서구 학계에서도 《통치론》은 〈제2론〉만을 지칭하는 경우가 많다. 맥퍼슨, C. B., 《홉스와 로크의 사회철학 : 소유적 개인주의의 정치이론》, 황경식·강유원 옮김(박영사, 2002) 홉스에서 로크에 이르는 근대 정치 이론을 조명하면서 그것의 기본 바탕을 이루는...
- 출생 :
- 1632년
- 사망 :
- 1704년
- 대표작 :
- 《통치론( Two Treatises of Governme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