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
레오노레 서곡 1번 レオノーレ序曲第1番레오노레 서곡 1번, 작품번호 138은 루트비히 판 베토벤에 의해 쓰여진 작품으로, 오페라 "피델리오"를 위해 작곡한 네 개의 서곡 중 하나이다. 베토벤의 생전에는 연주되지 않았고, 베토벤 사후 1년 가까이 지난 1828년 2월 7일에 빈에서 베른하르트 롬베르크의 지휘로 초연되었다. 출판은 그 전후에 행해진 유품 경매...도서 위키백과
-
레오노레 서곡 3번 レオノーレ序曲第3番레오노레 서곡 3번, 작품번호, 72b는 루트비히 판 베토벤에 의해 쓰여진 작품으로, 오페라 "피델리오"의 제2판, "레오노레" (1806년)를 위해 작곡한 서곡 중 하나이다. 오페라 "피델리오"의 제1판, "레오노레" (1805년)의 개정판 (소위 제2판) 상영을 위해, 그 서곡으로 레오노레 서곡 2번을 개작하는 형태로 1806...도서 위키백과
-
레오노레 서곡 2번 レオノーレ序曲第2番레오노레 서곡 2번, 작품번호, 72a는 루트비히 판 베토벤에 의해 쓰여진 작품으로, 오페라 "피델리오"의 제1판, "레오노레" (1805년)를 위해 작곡한 서곡 중 하나이다. 1805년에 작곡된, "피델리오"의 제1판 "레오노레"가 같은 해 11월 20일에 초연 되었을 때 서곡으로 사용되었다. 이후(일년 후인 1806년) "피델리오"는...도서 위키백과
-
피델리오를 위한 서곡루트비히 판 베토벤이 그의 오페라 피델리오를 위해 작곡한 네 개의 서곡(세 개의 레오노레 서곡과 피델리오 서곡)은 이 작품이 겪은 다양한 버전과 작곡가가 대중들에게 받아들이게 하는 어려움들을 반영한다. 오늘날 오페라는 1814년의 최종적인 서곡(피델리오 서곡)과 함께 시작되며, 베토벤 스타일의 가장 전형적인...도서 위키백과
-
피델리오 루트비히 판 베토벤, Fidelio Op.72본을 완성하기까지 총 네 편의 서곡을 작곡했고, 이들 서곡은 레오노레 서곡 2번, 3번, 1번, 피델리오 서곡 순으로 작곡돼 각각 〈피델리오 서곡〉 Op.72, 〈레오노레 서곡 1번〉 Op.138, 〈2번〉 Op.72a, 〈3번〉 Op.72b로 출판됐다. 그 중 〈레오노레 서곡 3번〉이 연주회용 서곡으로 독립돼 가장 자주 연주되고 있다...
- 시대 :
- 고전
- 분류 :
- 고전주의 음악 > 오페라
- 제작시기 :
- 1804~1805년(초판), 1805~1806년(2판), 1814년(최종판)
- 작곡가 :
- 루트비히 판 베토벤(Ludwig van Beethoven, 1770~1827)
- 원작 :
- 장 니콜라 부이 《레오노레, 혹은 부부의 사랑》
- 초연 :
- 1805년 11월 20일 테아터 안 데어 빈(초판) 1806년 3월 29일 테아터 안 데어 빈(2판) 1814년 3월 23일 케른트너노르 극장(최종판)
- 출판 :
- 1804년
- 등장인물 :
- • 플로레스탄(죄수, 테너) • 레오노레(플로레스탄의 부인이자 피델리오라는 가명을 쓴 보조 간수, 소프라노) • 로코(간수장, 베이스) • 마르첼리네(로코의 딸, 소프라노) • 자퀴노(로코의 보조, 테너) • 돈 피차로(형무소장, 베이스-바리톤) • 돈 페르난도(플로레스탄의 친구이자 법무대신, 베이스) • 군인들, 죄수들, 도시 거주민들
- 배경 :
- 18세기 중엽, 스페인 세비야 근교 국립 형무소 안
- 대본(리브레토) :
- 요제프 폰 존라이트너(1805) 스테판 폰 브로이닝(1806) 게오르그 프리드리히 트라이치케(1814)
- 헌정 :
- 루돌프 대공
- 구성 :
- 2막(원래는 3막이었음)
-
-
고전주의와 낭만주의의 다리를 놓은 작곡가, 루드비히 반 베토벤 Ludwig van Beeth..더욱 왕성한 창작의 열정을 불태웠다. 그 결과 탄생한 것이 교향곡의 역사를 새롭게 썼다는 평가를 받고 있는 〈교향곡 제3번 '영웅'〉이다. 이 외에 〈레오노레 서곡 3번('Leonore' Overture No.3 in C major, Op.72b)〉, 〈피아노 소나타 제23번 '열정'(Sonate für Klavier No.23 'Appassionata' Op.57...
- 출생 :
- 1770년 12월 17일
- 사망 :
- 1827년 03월 26일
- 국적 :
- 독일
- 대표작 :
- 〈교향곡 제9번 '합창'〉, 〈피아노 소나타 제14번 '월광'〉, 〈대푸가〉, 〈레오노레 서곡〉 등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