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독일군의 독가스 사용
    4월, 서부 전선에서 독일군이 영국군을 상대로 독가스를 처음으로 사용했다. 기관총과 철조망, 참호로 이뤄진 방어선을 돌파하기 위해서였다. 영국과 프랑스 등 연합국 측도 곧 독가스를 무기로 사용하기 시작했다. 그러나 당시에는 기체 상태로 바람에 실어 보내는 방식이었기 때문에 적군과 아군, 군인과 민간인을 가...
    시대 :
    1915년 4월
    국가/대륙 :
    유럽
  • 독가스 poison gas
    원시적인 형태는 BC 428년에 스파르타군이 아테네군에게 유황·비소 등 가연성 물질을 사용한 것이며, 제1차 세계대전중에 독일군이 포스겐이라는 무색의 질식성 독가스사용한 후부터 전쟁무기로 등장했다. 1980년 1월 소련이 아프가니스탄에 신경작용제를 사용함으로써, 1925년 채택된 제네바 국제협약에 관계없이...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화학
  • 독가스 毒ガス, 毒气
    화학무기로 유독성 기체, 연무 액체, 고체형의 유독화합물의 총칭이다. 화학공업적으로 만들어진 유독물질을 무기로서 대규모로 사용한 것은 제1차 세계대전 때인 1915년 독일군이 대량의 염소가스를 방사하여 연합군을 공격한 것이 시초이다. 그 후 양쪽 군대에 의하여 사용된 독물의 종류는 수십 종에 이르는데, 그 중...
    도서 위키백과
  • 화학전 化學戰, chemical warfare
    방독면을 개발했으며, 그와 동시에 자체적으로 염소 가스를 생산했다. 독일군이 보다 치사성이 큰 질식용 가스와 포병이 발사하는 가스탄을 만들어내자 연합군도...선보였으며, 1918년에는 양측이 이 새로운 독가스를 대대적으로 사용했다. 이 독가스는 특히 포격이 기습적으로 이루어졌을 때 수많은 사상자를 냈지만...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국방
  • 프리츠 하버 녹색혁명에서 육식혁명으로 이어진 풍요를 발명한 비운의 과학자, Fritz H..
    독일군사용하는 폭약의 절반에 하버-보슈 공정으로 만들어진 질산이 이용되었다. 그는 여기서 그치지 않고 교착 상태에 빠진 전선을 돌파하는 데 필요한 신무기를 개발했다. 1915년 4월 22일 오후 5시, 독일군과 연합군이 대치하던 벨기에의 예페르(Ypres) 전선에서 독일군은 짧지만 격렬한 포격을 가한 뒤 5,730개...
    출생 :
    1868년
    사망 :
    1934년
    국적 :
    독일
  • 두 유대인 화학자의 엇갈린 운명 바이츠만과 하버
    대전 초기에 독일은 재래식 전투법에 회의를 느끼고, 새로운 전투법으로 독가스 사용을 검토하기에 이르렀다. 하버는 여러 실험을 거쳐 염소 기체 사용을 독일...생명을 앗아가는 맹독성 기체다. 염소 기체 사용은 엄청난 수의 연합군을 희생시켰으나 다행히 독일군이 널리 사용하지는 않았다. 그 살상 위력을 잘...
  • 프리츠 하버 생명과 죽음의 마법
    섭취하는 단백질의 약 3분의 1이 질소 비료에서 나온다. 하버는 전쟁에도 영향을 미쳤다. 공중의 대기에서 뽑아낸 암모니아는 비료보다 1차 대전 중 독일군사용할 탄약과 폭탄을 만드는 데 주로 들어갔다. 애국자를 자처한 하버는 독가스도 주도적으로 만들었다. 동료 화학자이자 평화 운동가였던 부인이 암모니아...
  • 유대인과 아우슈비츠 수용소 Auschwitz
    건물은 독일군이 폴란드를 점령하면서 일부 자신들의 행정 시설 및 숙소로 사용해 겉으로만 보면 마치 빌라촌 같은 느낌이 든다. 하지만 내부에 조성된 참혹한 환경을 보고 나면 세상에서 가장 끔찍한 곳이 바로 이곳이지 않을까라는 생각이 들 것이다. 총 28개의 건물 안에 약 2만 8000여 명을 동시에 수용했으며 처음...
  • 독일 국방군 Wehrmacht, ドイツ国防軍
    보통 사용되었다. 1935년, 아돌프 히틀러가 재무장을 선언하면서, 라이흐스베어는 베어마흐트로 개명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후 연합군의 독일점령 하에 베어...Volksarmee, 국가인민군)로 불렸다. 독일이 1990년에 재통일 후에 통합된 독일군도 분데스베어로 계속 불려 왔다. 그러므로 영어와 독어에서 베어마흐트라는...
    도서 위키백과
  • 프리츠 하버 Fritz Haber, フリッツ・ハーバー
    필터를 사용한 방독면을 개발하기도 했다. 독일군은 35연대와 36연대에서 자원병을 받아 가스전에 특화된 부대를 창설했는데, 이 때 하버가 그 부관으로 있었다. 하버는 물리학자와 화학자들에게 전쟁에 참여할 것을 직접적으로 종용하여 다수의 과학자들을 전쟁에 직접 끌어들였는데, 이 때 제임스 프랑크, 구스타프...
    도서 위키백과
  • 제1차 세계 대전 World War I, 第一次世界大戦
    인해 과학 기술이 발전했다. 그러나 독가스와 같은 인류 역사상 가장 치명적인 무기들도 개발되어 나왔다. 최초의 독가스독일군사용하였으며, 연합군도 같은 무기로 대응했다. 독가스에 대한 유일한 대응책은 양측 모두 방독면 외에는 없었다. 독가스사용된 것은 마른 전투 이래 기관총, 철조망, 참호선으로...
    도서 위키백과
  • 서부 전선 (제1차 세계 대전) Western Front (World War I), 西部..
    전진한 3일 전투의 첫 3시간 동안에 1만 명 가까운 병력을 잃었다. 4월 중순 독일군은 벨기에 국경 바로 너머에 있는 이프르를 공격했는데 이때 최초로 염소...유리한 입장을 이용하는 데 실패했다. 그 후 양측은 더 효과적인 독가스를 개발하여 1915년 중반 이후로 양측이 예비 포격에 쓴 포탄에는 여러 종류의 화학...
    도서 위키백과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다음페이지 없음

멀티미디어1건

독일군의 독가스 사용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