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대사간 대간(大諫), 大司諫조선시대 사간원의 정3품 당상관직. 내용 대간(大諫) 또는 간장(諫長)이라고도 하였다. 국왕에 대한 간쟁(諫諍)을 맡은 사간원은 사헌부와 더불어 양사(兩司)라 불리는 언론기관이다. 여기에 속한 관원은 문과출신의 명망있는 인물이 아니면 임명될 수 없었다. 사간원은 고려시대의 문하성(門下省) 낭사(郎舍)에서 비...
- 시대 :
- 조선
- 성격 :
- 관직
- 유형 :
- 제도
- 시행일 :
- 조선시대
- 분야 :
- 역사/조선시대사
-
조윤대 사원(士元), 曺允大개설 본관은 창녕(昌寧). 자는 사원(士元), 호는 동포(東浦). 조헌주(曺憲周)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대사간 조하망(曺夏望)이고, 아버지는 조명준(曺命峻)이다. 어머니는 한사억(韓師億)의 딸이다. 생애와 활동사항 1779년(정조 3) 정시문과에 병과로 급제, 예문관검열을 지낸 뒤 초계문신(抄啓文臣: 당하관 중에서...
- 시대 :
- 조선
- 출생 :
- 1748년(영조 24)
- 사망 :
- 1813년(순조 13)
- 경력 :
- 함경도관찰사, 이조판서, 한성판윤
- 유형 :
- 인물
- 직업 :
- 문신
- 대표작 :
- 최열사전
- 성별 :
- 남
- 분야 :
- 역사/조선시대사
- 본관 :
- 창녕(昌寧)
-
박종래 상래(相來), 朴宗來홍문관(弘文館) 교리(校理)를 역임하였다. 1777년(정조 1) 사간원(司諫院) 헌납(獻納), 1790년(정조 14) 홍문관부수찬(弘文館副修撰) 등을 거쳐서 1794년 대사간에 재직 중 김종수(金鍾秀) 사건의 처리가 소홀하였다고 하여 파직되었다가 이듬해 다시 대사간으로 복직되었다. 1801년(순조 1) 이조참의를 거쳐, 황해도...
- 시대 :
- 조선
- 유형 :
- 인물/전통 인물
- 분야 :
- 역사/조선시대사
-
김유행 경건(景健), 金裕行잠시 사간(司諫)이 되었다가 홍문관에 다시 복직하였다. 이듬해에 응교가 되었고, 1874년에는 선교관(宣敎官)이 되었다. 1881년에는 대사간에 임명되었으며, 그 뒤 여러번 대사간을 지냈다. 1887년에는 대사성에 나아갔으며, 이듬해에 다시 대사간이 되었다. 1888년에는 협판내무부사(協辦內務府事)로 잠시 있다가...
- 시대 :
- 근대
- 출생 :
- 1845년(헌종 11)
- 사망 :
- 미상
- 경력 :
- 홍문관응교, 대사성, 대사간, 협판내무부사, 이조참의
- 유형 :
- 인물
- 직업 :
- 문신
- 성별 :
- 남
- 분야 :
- 역사/근대사
- 본관 :
- 청풍(淸風)
-
김익휴 형보(衡甫), 金翊休및 활동사항 1761년(영조 37) 정시 문과에 병과로 급제한 뒤, 지평(持平)·부교리(副校理)·사간 등을 거쳐 1786년(정조 10) 대사간이 되었다. 10년간 대사간을 역임하였는데, 1790년에는 대사간으로서 제주에 위리안치된 판중추부사 유언호(兪彦鎬)의 방면을 상소하였다가 순흥부사로 좌천되었다. 당시는 소론과 노론의...
- 시대 :
- 조선
- 출생 :
- 1724년(경종 4)
- 사망 :
- 1802년(순조 2)
- 경력 :
- 이조판서
- 유형 :
- 인물
- 직업 :
- 문신
- 성별 :
- 남
- 분야 :
- 역사/조선시대사
- 본관 :
- 청풍(淸風)
-
심상목 沈相穆등과 함께 본관록(本館錄)·도당록(都堂錄)을 거쳤다. 1869년 통례원의 좌통례(左通禮)를 지내고, 1880년에는 성균관대사성에 올랐다. 이듬해에는 사간원의 대사간이 되었고, 같은 해 9월에는 사헌부대사헌이었던 정건조(鄭建朝)와 서로 교체, 임명되어 대사헌의 직을 수행하였다. 임오군란이 일어난 1882년 6월 사간원...
- 시대 :
- 근대
- 출생 :
- 1841년(헌종 7)
- 사망 :
- 미상
- 경력 :
- 성균관대사성, 사간원대사간, 사헌부대사헌, 예방승지
- 유형 :
- 인물
- 직업 :
- 문신
- 성별 :
- 남
- 분야 :
- 역사/근대사
- 본관 :
- 청송(靑松)
-
조덕성 수보(遂甫), 趙德成뽑힌 53인 중 장원을 하여 영조가 손수 지은 사언(四言) 한 구(句)가 하사되었다. 그뒤 삼가현령(三嘉縣令)으로 파견되었다가 곧 승지로 발탁되었고, 1764년 대사간으로 있으면서 영조의 뜻을 거스린 소를 올렸다가 파직당하였다. 그 뒤 1766년 승지에, 이듬해에는 대사간에 다시 제수되었다가 1768년 좌승지로 옮겨...
- 시대 :
- 조선
- 출생 :
- 1723년(경종 3)
- 사망 :
- 미상
- 경력 :
- 대사헌
- 유형 :
- 인물
- 직업 :
- 문신
- 성별 :
- 남
- 분야 :
- 역사/조선시대사
- 본관 :
- 임천(林川)
-
남태온 치화(稚和), 南泰溫세자의 보도에 전력을 다하였다. 그 뒤 장악원정·헌납·집의를 지내고, 통정(通政)으로 승계하여 동부승지를 거쳐 병조참의를 지냈다. 1739년에는 대사간·형조참의·영광군수를 역임하였다가 탄핵을 받아 파직당하였다. 1742년 다시 복관되어, 공조참의를 거쳐 곡산부사(谷山府使)로 나아가 산골지방에서 근검절약을...
- 시대 :
- 조선
- 출생 :
- 1691년(숙종 17)
- 사망 :
- 1755년(영조 31)
- 경력 :
- 오위도총부부총관, 안변부사
- 유형 :
- 인물
- 직업 :
- 문신
- 성별 :
- 남
- 분야 :
- 역사/조선시대사
- 본관 :
- 의령(宜寧)
-
홍인경 응선(應善), 洪仁慶거쳐, 좌부승지 때 당대의 권신인 윤원형(尹元衡)의 첩 정난정(鄭蘭貞)을 잡아 추국(推鞫)하기를 청하기도 하였다. 이듬해 형조참의를 거쳐 사간원의 수장인 대사간을 역임하였다. 그 뒤 예조참의와 좌부승지를 거쳐, 다시 대사간이 되어 언관의 수장으로서 “임금이 신하의 말을 모두 포용하면 상하의 정이 서로 통하게...
- 시대 :
- 조선
- 출생 :
- 1525년(중종 20)
- 사망 :
- 1568년(선조 1)
- 경력 :
- 예빈시정, 홍문관부응교, 우부승지, 대사간, 부제학
- 유형 :
- 인물
- 직업 :
- 문신
- 성별 :
- 남
- 분야 :
- 역사/조선시대사
- 본관 :
- 남양(南陽, 지금의 경기도 화성)
-
홍검 성오(省吾), 洪檢수찬 등을 거치는 동안 영조가 친히 간행한 『황명통기(皇明統紀)』의 감동관(監董官)으로 공을 인정받아 가자(加資)되고, 이어 승지에 제수되었다. 1771년 대사간에 오르고, 이듬 해 특별히 이조참의(吏曹參議)에 제수되었으나 패초(牌招)를 어겨 나가지 않았다가 이듬 해 9월 대사간에 다시 임명되었다. 1775...
- 시대 :
- 조선
- 출생 :
- 1721년(경종 2)
- 사망 :
- 미상
- 경력 :
- 대사간·대사헌·대사성, 한성부판윤
- 유형 :
- 인물
- 직업 :
- 문신
- 성별 :
- 남
- 분야 :
- 역사/조선시대사
- 본관 :
- 남양(南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