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대보운동 大寶運動내용 우리나라에 있었던 가장 큰 지각 변동이다. 역단층과 충상단층(衝上斷層, thrust fault)도 동반되었다. 대보조산운동에 동반된 것으로 생각되는 화강암의 연령은 180∼120Ma로 쥐라기 초엽 말에서 백악기 초엽에 이른다. 만일 화강암의 관입 시기까지를 조산운동에 포함시킨다면, 대보운동의 기간은 더 늘어 쥐라기...
- 유형 :
- 개념
- 분야 :
- 지리/인문지리
-
조산운동 造山運動암석에 큰 변화가 나타나게 되었는데 이른바 이 운동을 대보조산운동(大寶造山運動) 혹은 대보운동, 후대동기조산운동(後大同期造山運動)이라 부른다. 대보조산운동 이후에는 한반도에 큰 지각변동이 없었으며 퇴적지층은 대개 수평층을 이루거나 약간 기울어져 있을 뿐이다. 한반도의 지형발달에 가장 큰 영향을 준 것...
- 유형 :
- 개념
- 분야 :
- 지리/자연지리
-
대보화강암 大寶花崗岩개설 중생대 화성활동 중에서 트라이아스기 말에서 쥐라기 중기(205±15Ma)의 화성활동인 대보조산운동에 의하여 한반도 중남부에서는 소위 대보화강암류가 북동 · 남서, 또는 북북동 · 남남서방향의 구조선을 따라 광범위하게 분포한다. 정창희(1981)에 의하면 대보조산운동을 후대동기 조산운동이라고도 한다...
- 유형 :
- 개념
- 분야 :
- 지리/자연지리
-
송림운동 松林運動송림변동에는 이 화강암의 관입도 포함된다. 송림변동은 다음에 일어난 대보운동에 비하여 약하였으며, 또 뒤에 일어난 침강이 광범하지 않았다. 보통 대보조산운동의 전초적 지각변동이라고 해석되나, 실제로는 요동 방향 산맥의 골격이 형성될 정도의 영향력을 발휘하였다. 의의와 평가 대보조산운동처럼 송림변동은...
- 유형 :
- 개념
- 분야 :
- 지리/자연지리
-
지질 地質대동층군, 그리고 충청남도 보령의 남포층군 등이 이에 해당한다. 간혹 석탄층이 협재되기도 한다. 쥐라기 시기에는 한반도에서 가장 큰 규모로 나타나는 대보조산운동(大寶造山運動)이 일어나 이전의 퇴적층들을 심하게 변형시켰으며, 한반도에는 새로운 구조호(Tectonic Lake)들이 생성되었다. 또한 현재 한반도에...
- 유형 :
- 개념
- 분야 :
- 과학/과학기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