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대보조산운동 大寶造山運動
    한반도의 지각변동 사상 가장 격렬했던 조산운동.|그 활동의 전성기는 쥐라기 중엽이다. 강원도 정선군에 분포된 반송층(盤松層:대동층군의 發峯統에 대비됨)이 심한 습곡작용과 고생대층에 의하여 충상(衝上)된 것으로 보아 백악계(경상누층군)가 퇴적되기 전에 '대습곡운동'이 있었음을 알 수 있다. 그후 평양 부근...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지구
  • 대보 조산운동
    대보 조산운동(大寶造山運動) 은 약 1억 8천만년 전 ~ 1억 2천만년 전에 해당하는 쥐라기 초기부터 백악기 초기에 걸쳐 일어난 한반도 지질사상 가장 격렬했던 대규모 조산 운동으로 이름은 1927년 일제강점기에 일본인 지질학자가 평안남도 대동군 대보면에 위치한 대보탄전에서 큰 충상단층을 발견하고 이의 원인을 ...
    도서 위키백과
  • 대보운동 大寶運動
    내용 우리나라에 있었던 가장 큰 지각 변동이다. 역단층과 충상단층(衝上斷層, thrust fault)도 동반되었다. 대보조산운동에 동반된 것으로 생각되는 화강암의 연령은 180∼120Ma로 쥐라기 초엽 말에서 백악기 초엽에 이른다. 만일 화강암의 관입 시기까지를 조산운동에 포함시킨다면, 대보운동의 기간은 더 늘어 쥐라기...
    유형 :
    개념
    분야 :
    지리/인문지리
  • 조산운동 造山運動
    암석에 큰 변화가 나타나게 되었는데 이른바 이 운동대보조산운동(大寶造山運動) 혹은 대보운동, 후대동기조산운동(後大同期造山運動)이라 부른다. 대보조산운동 이후에는 한반도에 큰 지각변동이 없었으며 퇴적지층은 대개 수평층을 이루거나 약간 기울어져 있을 뿐이다. 한반도의 지형발달에 가장 큰 영향을 준 것...
    유형 :
    개념
    분야 :
    지리/자연지리
  • 대보화강암 大寶花崗岩
    개설 중생대 화성활동 중에서 트라이아스기 말에서 쥐라기 중기(205±15Ma)의 화성활동인 대보조산운동에 의하여 한반도 중남부에서는 소위 대보화강암류가 북동 · 남서, 또는 북북동 · 남남서방향의 구조선을 따라 광범위하게 분포한다. 정창희(1981)에 의하면 대보조산운동을 후대동기 조산운동이라고도 한다...
    유형 :
    개념
    분야 :
    지리/자연지리
  • 대보화강암 大寶花崗岩
    경기지괴에서 1억 3,000만~1억 8,000만 년으로 추정되며, 쥐라기 중엽에서 말엽(일부 백악기초)에 걸쳐 관입한 것으로 보인다. 서울에서 원산까지 연속된 대보화강암은 광주산맥 저반의 일부를 이루었다. 충청남도 서산에서 아산, 강원도 원주를 거쳐 강릉까지 노출된 대보화강암은 대체로 차령산맥을 따라 연장된...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지구
  • 송림운동 松林運動
    송림변동에는 이 화강암의 관입도 포함된다. 송림변동은 다음에 일어난 대보운동에 비하여 약하였으며, 또 뒤에 일어난 침강이 광범하지 않았다. 보통 대보조산운동의 전초적 지각변동이라고 해석되나, 실제로는 요동 방향 산맥의 골격이 형성될 정도의 영향력을 발휘하였다. 의의와 평가 대보조산운동처럼 송림변동은...
    유형 :
    개념
    분야 :
    지리/자연지리
  • 불국사 조산운동
    운동으로 생성된 화강암을 불국사 화강암이라고 한다. 경주의 불국사 토함산의 화강암의 연대를 측정하여 얻은 결과, 다른 지역의 화강암과의 연대가 달라서 이를 불국사 화강암이라 하였는데, 화강암의 이름을 따서 불국사 조산운동이라는 이름이 붙여졌다. 한국의 지질 불국사 화강암 대보 조산운동 위키데이터 속성 추적
    도서 위키백과
  • 불국사 운동 佛國寺運動
    현생 이언 중 우리나라에서 조산 운동과 화성 활동이 가장 활발했던 시대다. 트라이아스기에는 송림 변동, 쥐라기에는 북북동-남남서 방향으로 분포하는 대보 조산 운동, 백악기에는 경상도 지역에 불규칙하게 소규모로 분포하는 불국사 운동이 일어났다. 불국사 운동에 의하여 한국 방향의 구조선이 형성되었으며 경상...
    도서 다음백과
  • 묘곡층 卯谷層
    종들과 거의 동일하나, 경상누층군 하부에서 발견되는 것들 보다 약간 선조형이라는 사실이 밝혀져 쥐라기 말엽의 지층인 것과 퇴적 후에 조산운동을 받았음이 인정된다. 대보조산운동이 대동층군의 퇴적 후 쥐라기 중엽에 일어난 것으로 볼 때 쥐라기 말엽에 퇴적된 묘곡층이 다시 조산운동을 받았으므로 쥐라기에는...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지구
  • 우리나라의 산맥
    랴오둥 방향 그리고 한국 방향 등으로 크게 구분된다. 한반도의 주요한 구조선과 산맥의 방향을 결정한 조산 운동은 중생대 삼첩기 중엽에 있었던 송림 운동과 쥐라기 말기에 일어난 대보 조산 운동이다. 송림 운동은 주로 북부 지방에 활발하였으며 요동 방향의 산맥과 구조선은 이때 만들어졌다. 대보 운동은 남부...
    도서 다음백과
  • 지질 地質
    대동층군, 그리고 충청남도 보령의 남포층군 등이 이에 해당한다. 간혹 석탄층이 협재되기도 한다. 쥐라기 시기에는 한반도에서 가장 큰 규모로 나타나는 대보조산운동(大寶造山運動)이 일어나 이전의 퇴적층들을 심하게 변형시켰으며, 한반도에는 새로운 구조호(Tectonic Lake)들이 생성되었다. 또한 현재 한반도에...
    유형 :
    개념
    분야 :
    과학/과학기술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