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느시류 bustard
    두루미목 느시과(―科 Otididae)에 속하는 중대형 수렵조류(狩獵鳥類).|모두 23종이 알려져 있다. 두루미류 및 뜸부기류와 근연이며, 아프리카, 유럽 남부, 아시아, 오스트레일리아, 뉴기니 일부 등지에 제한되어 분포한다. 느시류는 다리가 길어 달리는 데 적합하다. 발가락은 뒷발가락이 없이 3개만 있다. 몸은 탄탄...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조류
  • 느시 들칠면조, Otis tarda
    머리와 목은 회색이며 배는 흰색이다. 등은 황갈색 바탕에 검은 가로무늬가 있다. 수컷에게는 가슴을 가로지르는 밤색 띠가 있으나 암컷에게는 없다. 날개는 거의 흰색이며 끝부분만 검은색이다. 날 때는 목을 앞으로 뻗는다. 제2차 세계대전이 끝날 무렵까지도 사냥새로서 흔한 겨울새였으나 이제는 멸종위기에 처한...
    분류 :
    척추동물 > 조강 > 두루미목 > 느시과
    원산지 :
    아시아 (대한민국), 유럽
    먹이 :
    메뚜기, 밀, 보리
    크기 :
    약 76cm ~ 1m
    무게 :
    약 3kg ~ 10kg
    학명 :
    Otis tarda
    식성 :
    잡식
    임신기간 :
    약 25~28일
    멸종위기등급 :
    멸종위기 야생생물Ⅱ급, 국가적색목록 위기(EN)
  • 느시 천연기념물 제206호, Great Bustard
    서식 이베리아반도, 동유럽, 중동 부근에서 러시아 중부, 몽골, 중국 북부, 아무르지방에 분포한다. 지리적으로 2아종으로 나눈다. 매우 희귀한 겨울철새이며, 최근 도래 기록이 거의 없다. 행동 광활한 평야, 초지, 논, 강변 등지에 서식한다. 곡류, 씨앗, 식물의 줄기, 뿌리 등을 즐겨 먹으며 그 밖에 곤충, 연체동물...
    분류 :
    느시과(Otididae)
    문화재 지정 :
    천연기념물 206호
    서식지 :
    이베리아반도, 동유럽, 중동 부근에서 러시아 중부, 몽골, 중국 북부, 아무르지방에 분포한다.
    크기 :
    수컷 100cm, 암컷 75cm
    학명 :
    Otis tarda Great Bustard
  • 느시 Otis tarda
    형태 크기: 수컷은 약100cm, 암컷은 약 75cm 정도의 크기이다. 채색과 무늬: 수컷은 머리부터 목까지 엷은 청회색이며, 목에 흰색의 실 처럼 생긴 깃이 있다. 목 뒤부터 가슴까지 적갈색이다. 앉아 있을 때에 날개의 일부분이 흰색으로 보인다. 암컷은 목이 청회색에 황갈색이 섞여 있으며, 실같이 생긴 깃이 없다. 가슴...
    분류 :
    척삭동물문(Chordata) > 조류강(Aves) > 두루미목(Gruiformes) > 느시과(Otidae)
    학명 :
    Otis tarda Linnaeus, 1758
    멸종위기등급 :
    멸종위기야생동식물II급
    국내분포 :
    19세기말까지 많은 수가 찾아오는 겨울 철새였으나, 6.25 이후 급격히 감소하였다.
    해외분포 :
    이베리아반도, 동유럽, 중동, 러시아, 몽골, 중국, 아무르 등지에 분포한다.
    특징 :
    겨울철새, 천연기념물 제206호
  • 느시(들칠면조)
    내용 1968년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었다. 들칠면조라고도 하며, 학명은 Otis tarda 이다. 몸길이가 수컷은 100㎝, 암컷은 75㎝로 수컷이 훨씬 크다. 머리와 목은 청회색인데 수컷은 멱에서 턱에 걸쳐 수염모양의 깃털이 있다. 수컷은 뒷목에서 가슴부위까지가 다갈색이고 암컷은 회색이다. 부리는 황갈색이고 꼬리는...
    유형 :
    생물
    분야 :
    과학/동물
  • 느시사촌류 cariama, seriema
    남아메리카 남중부에서만 사는 2종이 여기에 속한다. 느시사촌은 다리와 목이 길고 선 키가 60㎝ 정도이다. 부리와 다리는 빨간색이며, 깃털은 등쪽이 갈색이고 배쪽은 흐린 흰색이다. 눈 주위는 푸른빛이 도는 피부가 나출되어 있고 초원에 살지만 둥지는 수풀이나 나무에 짓는다. 검은발느시사촌은 숲속에 살며, 느시...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조류
  • 느시 Great bustard, ノガン
    생물 분류 느시(Great bustard)는 느시목 느시과의 새이다. 대한민국에서는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어 있다. 느시과에 속하며 학명은 Otis tarda이다. 날개길이 56-65㎝, 꼬리길이 25-27㎝, 몸무게 3-10kg 정도의 대형새이다. 수컷이 암컷보다 크다. 머리는 엷은 회색이며 머리꼭대기에는 어두운 색의 선이 있다. 턱밑과 멱...
    도서 위키백과
  • 느시사촌목 Cariamiformes, ノガンモドキ目
    생물 분류 느시사촌목(Cariamiformes)은 약 6,300만 년전으로 기원이 거슬러 올라가는 날지 못하는 초기 조류 목으로 제안된 이름이다. 느시사촌과와 공포새과, Bathornithidae과, Idiornithidae과로 이루어져 있다. 전통적으로는 두루미목의 아목의 하나로 간주했지만, 형태학적 그리고 유전학적 연구 앵무목, 참새목의...
    도서 위키백과
  • 일본 창세 신화, 오오쿠니누시 최초로 나라를 세운 신
    은혜에 보답한 토끼의 예언 스사노오가 낳은 많은 자손 중에 '나라의 주인'이라는 뜻을 가진 오오쿠니누시라는 신이 있었다. 그에게는 많은 형제 신들이 있었는데, 모두 한결같이 이나바에 사는 야카미히메라는 아름다운 여신과 결혼하고 싶어 했다. 그래서 형제 신들은 오오쿠니누시를 짐꾼으로 하여 야카미히메에게...
  • 느시사촌류 Seriema, ノガンモドキ科
    생물 분류 느시사촌류에 더 가깝다. 신열대구의 남아메리카 남동부에 분포한다. 붉은다리느시사촌속 (Cariama) 붉은다리느시사촌 또는 붉은다리카리아마 (Cariama cristata) 검은다리느시사촌속 (Chunga) 검은다리느시사촌 (Chunga burmeisteri) † Chunga incerta 분류군 식별자
    도서 위키백과
  • 느시과 Bustard, ノガン科
    생물 분류 느시과(Otididae)는 조류과의 하나이며, 느시목의 유일한 과이다. 이전에는 두루미목으로 분류하였다. 모식속은 느시속(Otis)이다. 아프리카와 유라시아 대륙, 오스트레일리아, 파푸아뉴기니에 분포한다. 체형은 튼튼하고, 목 부분이 길며, 부리는 짧다. 뒷다리는 길고 제1발가락이 없다. 11속 27...
    도서 위키백과
  • 두루미목 Gruiformes
    목이 자주색이고 등은 청동빛이 도는 갈색이며 배는 연한 청색이다. 어떤 종의 얼굴과 목은 얼굴이 빨간색인 두루미 종류와 같이 밝은 색을 띤다. 느시류의 수컷은 암컷보다 더 밝은 색이고, 세가락메추라기류는 암컷이 더 밝은 색이다. 이와 같은 경우를 제외하고는 암·수컷의 깃털색이 같다. 날지 못하는 뉴질랜드의...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조류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