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내무아문 內務衙門1894년 갑오개혁 때 의정부에 설치된 중앙행정기관의 하나. 내용 1894년 6월 군국기무처의 의안에 따라 궁내부와 의정부로 나누고 의정부 아래 내무·외무·탁지·법무·학무·공무·군무·농상아문 등 8개 아문을 설치하고, 그 해 7월 20일부터는 아문관제에 따라 직무를 관장하도록 하였다. 내무아문은 구제도 아래...
- 시대 :
- 근대
- 성격 :
- 관청
- 유형 :
- 제도
- 시행일 :
- 1894년 6월
- 분야 :
- 역사/근대사
-
내부 내무아문, 內部갑오개혁 이후 내무행정을 관장하던 관청. 내용 내무부(內務府)와 이조의 소관 업무를 통합, 계승했던 내무아문(內務衙門)의 이름을 바꾼 것이다. 1895년 4월에 설치되어 1910년 국권을 상실할 때까지 존속하였다. 관원으로는 대신 1명, 협판 1명, 국장 5명, 참서관(參書官) 8명, 시찰관(視察官)·기사·기수(技手) 각...
- 시대 :
- 근대
- 성격 :
- 관청
- 유형 :
- 제도
- 시행일 :
- 1895년 4월
- 폐지일 :
- 1910년
- 분야 :
- 역사/근대사
-
통리내무아문 統理內務衙門협판사무(協辦事務)에 김윤식(金允植), 참의사무(參議事務)에 홍영식(洪英植)·어윤중(魚允中)·신기선(申箕善) 등이었다. 그러나 같은해 12월 4일에 통리아문을 통리교섭통상사무아문(統理交涉通商事務衙門)으로 하고, 통리내무아문을 통리군국사무아문(統理軍國事務衙門)으로 개칭하였다. →통리군국사무아문 참고문헌
- 시대 :
- 근대/개항기
- 성격 :
- 관청
- 유형 :
- 제도
- 시행일 :
- 1882년(고종 19) 11월 17일
- 폐지일 :
- 1882년(고종 19) 12월 4일
- 분야 :
- 역사/근대사
-
내무부 內務府내용 1881년 1월에 설치된 통리기무아문(統理機務衙門)을 1882년 통리아문과 통리내무아문으로 분리시켰고, 다시 1883년 통리아문을 통리교섭통상사무아문(統理交涉通商事務衙門)으로, 통리내무아문을 통리군국사무아문(統理軍國事務衙門)으로 개편하였다. 1884년에 다시 통리군국사무아문을 의정부에 통합시키고, 통리...
- 시대 :
- 근대
- 성격 :
- 관청
- 유형 :
- 제도
- 시행일 :
- 1885년 5월
- 폐지일 :
- 1894년 7월
- 분야 :
- 역사/근대사
-
경부 警部내용 갑오경장 때 설치된 내무아문 직할의 경무청이 경찰업무가 점차 복잡해져 그 소임을 다할 수 없게 됨에 따라 1900년 6월 12일 칙령을 반포, 이를 폐지하는 대신에 내무아문에서 독립된 경부를 신설하였다. 그 소속관원으로는 각부대신과 동일한 직권을 가지고 의정부찬정(議政府贊政)을 의례 겸하던 경부대신 1...
- 시대 :
- 근대
- 성격 :
- 관청
- 유형 :
- 제도
- 시행일 :
- 1900년
- 폐지일 :
- 1901년 2월
- 분야 :
- 역사/근대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