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남과북 南과北, The North and South한운사의 라디오 극 「남과 북」(1964년 10월, 30분씩 28회, KBS라디오)을 1965년 극동흥업주식회사의 김기덕 감독이 영화화한 작품. 내용 한국전쟁이 한창이던 때, 이해로 대위(최무룡)의 부대에 인민군 장일구 소좌(신영균)가 귀순해온다. 귀순한 이유는 헤어진 연인을 찾기 위해서다. 그가 내민 사진을 본 이 대위...
- 시대 :
- 현대
- 저작자 :
- 한운사(원작), 김기덕(감독)
- 창작/발표시기 :
- 1965년
- 성격 :
- 극영화, 전쟁영화
- 유형 :
- 작품
- 분야 :
- 예술·체육/영화
-
남과 북 (라디오 드라마)《남과 북》은 한운사(韓雲史) 작, 박동근(朴東根) 연출로서 1965년 8월에 KBS에서 방송된 일일연속극이다. 휴전을 앞둔 중동부 전선에서는 피아(彼我)의 공방(攻防)이 더욱 치열했다. 이 무렵 괴뢰군의 영관급 장교하나가 아군 전초진지로 건너온 데서 이야기는 시작된다. 그는 남하한 그의 아내를 찾아 죽음을 무릅쓴...도서 위키백과
-
남과 북 (1965년 영화)영화 정보 "남과 북(南과 北)"은 1965년 공개된 대한민국의 영화이다. 1962년 HLKA(현재 KBS 제1라디오)에서 방송된 한운사 작가의 소설을 원작으로 한 동명의 라디오 연속극을 각색한 것으로, 원작자 한운사가 각색을 담당하였고 주제가였던 '누가 이 사람을 모르시나요'(원작자 한운사 작사/박춘석 작곡/곽순옥 노래...도서 위키백과
-
남과 북 (텔레비전 드라마) North and South (mi..텔레비전 프로그램 정보 남과 북(North and South)은 1985년, 1986년, 1994년에 방영된 미국 ABC 드라마이다. 대한민국에서 KBS2 TV 한국방송 1986년 11월 첫방영 되고 ~ 1987년 7월까지 마자막 방영이 되었다. 그리고 MBC 문화방송 1987년 11월 첫방영 이동 되고 ~ 1988년 7월까지 마자막 방영이 되었다. 엄주환 - 어리...도서 위키백과
-
남과 북 (1984년 영화)영화 정보 "남과 북"은 1984년에 개봉한 대한민국의 영화이다. 원미경 김만 유영국 박암 윤양하 장정국 이해룡 김우석 주상호 한명환 박부양 이석구 홍춘길 강종태 홍준호 신양균 유명순 고정일도서 위키백과
-
호박 남과, pumpkin부풀어 엷은 황색으로 익는다. 과육은 주황색이고 씨가 많이 들어 있다. 씨는 타원형이고 두꺼우며 회백색인데 마르면 흰색이 된다. 특징 및 사용 방법 남과(南瓜)·번과(番瓜)·금과(金瓜)·왜과(倭瓜)·북과(北瓜)·번포라고도 한다. 우리나라에서 재배하는 호박은 아시아에 널리 분포된 동양계 호박(C. moschata...
- 학명 :
- Cucurbita moschata
- 분포지역 :
- 전국 각지
- 자생지역 :
- 밭에 재배
- 번식 :
- 씨
- 약효 부위 :
- 씨·열매·잎
- 생약명 :
- 번포(番蒲)
- 키 :
- 길이 10∼15m
- 과 :
- 박과
- 생활사 :
- 한해살이 덩굴풀
- 채취기간 :
- 7∼10월
- 취급요령 :
- 날것으로 쓴다.
- 특징 :
- 따뜻하며, 달다.
- 독성여부 :
- 없다.
- 1회 사용량 :
- 적당량
- 주의사항 :
- 많이 먹거나 오래 먹어도 무방하다.
-
장흥 보림사 남·북 삼층석탑 및 석등 長興 寶林寺 南·北 三層石..시대에 이르러 1478·1535·1684년 등 세 차례에 걸쳐 중수되었음이 확인되었다. 1962년 국보로 지정되었다. 내용 및 특징 석탑 2기중 남탑의 높이는 5.4m, 북탑의 높이는 5.9m이며, 석등의 높이 3.12m이다. 석탑의 구조는 2층의 기단 위에 3층 탑신(塔身)을 세우고 그 위에 상륜(相輪)을 얹은 신라의 전형양식의 석탑...
- 시대 :
- 고대/남북국/통일신라
- 유형 :
- 유적
- 분야 :
- 예술·체육/건축
-
-
장흥 보림사 남·북 삼층석탑 및 석등 長興 寶林寺 南·北 三層石..국보(1962.12.20 지정). 높이 남탑 540㎝, 북탑 590㎝. 남북으로 세워진 두 탑은 규모와 양식이 거의 동일하다. 두 탑은 2층 기단 위에 3층 탑신을 세우고 그 위에 상륜을 얹은 신라의 전형적인 석탑양식을 따르고 있다. 넓은 지대석 위에 하대석·중석·갑석을 붙여 4매의 돌로 하층기단을 형성했는데 하대석 윗면에는...
- 문화재 지정 :
- 국보(1962.12.20 지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