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나주문화원
    문화원은 지방 문화원 진흥법에 의해 시.군.구 지방자치단체별로 설립된 공익법인 문화단체이다. 나주문화원은 지역 고유문화의 보급과 보존을 위해 세시풍속놀이, 나주삼색유산놀이 등 사라질 뻔한 전통을 발굴하여 전승하고 있으며, 지역의 어린이들을 위한 지역 문화행사도 개최한다. 나주 지역 문화에 관한 자료 발...
    위치 :
    전라남도 나주시 시청길 22 (송월동)
  • 나주삼색유산놀이 화전놀이, 羅州三色遊山─
    걸출한 판소리명창을 배출한 곳이기도 하다. 나승만의 기록에 의하면, 음력 4월 10일과 9월 10일 두 차례 맛재에서 춤과 노래판을 벌였다고 한다. 현재는 나주문화원 주관으로 5월 8일 어버이날에 맞추어 행사를 거행하고 있다. 놀이방법 삼색유산놀이의 과정은 재인들이 집집마다 쌀과 돈을 염출해서 재원을 마련하여...
    시대 :
    현대
    성격 :
    민속놀이
    유형 :
    놀이
    놀이시기 :
    봄(음력 3월 15일경)
    분야 :
    생활/민속·인류
    소장/전승 :
    전라남도 나주시
    관련 인물/단체 :
    나주문화원
  • 나주세시풍속놀이한마당잔치 羅州歲時風俗─
    1조로 윷놀이를 벌이기도 한다. 투호나 널뛰기, 또는 제기차기 등은 남녀노소 누구나 참여할 수 있는 종목이다. 현황 2013년 2월 22일 나주문화원 주최, 나주시와 나주시의회, 나주시여성단체협의회의 후원 하에 풍년기원제를 시작으로 풍물경연대회, 민속놀이마당, 체험마당, 부대행사 등이 있었다. 민속놀이마당에는...
    시대 :
    현대
    성격 :
    마을축제, 지역축제, 세시풍속
    유형 :
    의식행사
    행사시기 :
    정월 대보름
    장소 :
    전라남도 나주시 영산강 둔치 체육공원
    주관처 :
    나주문화원
    분야 :
    생활/민속·인류
  • 나주시의 교육·문화·의료·복지
    15개교, 고등학교 11개교, 전문대학 1개교, 대학교 2개교, 대학원 4개교가 있다. 시립나주도서관은 시민의 교육과 정서함양에 크게 기여하고 있다. 나주문화원나주 향토예술문화행사를 주관하면서 향토문화의 계승발전에 공헌하고 있으며, 10월 1일은 나주 시민의 날로서 매년 전통문화의 발굴과 각종 문예활동 및...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전라남도
  • 나주 羅州市
    21개교, 중학교 15개교, 고등학교 11개교, 특수학교 1개교가 있고, 고구려대학교 · 동신대학교 · 광주가톨릭대학교 등이 있다. 문화시설로는 공공도서관, 나주배박물관, 시민회관, 사회복지관, 문화원 외에 실내체육관, 테니스와 사격장 등 경기시설, 유선방송시설 등의 문화복지시설이 있다. 민속 이 지방의 민속놀이...
    시대 :
    현대
    유형 :
    지명
    분야 :
    지리/인문지리
  • 나주시의 향토문화유산
    유산기금 2016년 6월 13일 지정 41호 어필문(御筆門) 나주시 노안면 영평리 496-1 서흥김씨교관공파문중 2016년 6월 13일 지정 42호 다시들노래 나주시 일원 나주문화원(나주 시청길 22) 2017년 1월 20일 지정 43호 동강봉추들노래 나주시 일원 나주문화원(나주 시청길 22) 2017년 1월 20일 지정 44호 봉황내촌들노래...
    도서 위키백과
  • 광산구 光山區
    시설은 문화원 1개가 있다. 민속 광산구의 민속놀이는 재래적인 농경사회를 기반으로 형성되었기 때문에 농한기인 정월 내지 이월에 집중되어 있고 농사일의 단계마다 놀이와 의식이 펼쳐지는 순환적인 주기를 가지고 있다. 산업사회로 전환되면서 전통사회의 질서는 급격히 재편되어 각종 명절일이 소멸되어 세시풍속이...
    시대 :
    현대
    유형 :
    지명/행정지명ˑ마을
    분야 :
    지리/인문지리
  • 김영상 승여(昇如), 金永相
    김경흠과 나주오씨의 아들로 출생하였다. 16세에 고향인 정읍 칠보면 무성리 원촌으로 이사하여 18세에 인척인 김인흠, 23세에 김기에게 수학하고, 50세에 소휘면(蘇輝冕)의 제자가 되었으며, 기정진 · 송병선(宋秉璿) 등과도 교유하였다. 1911년 5월 9일 옥중에서 단식, 순국하였다. 주요 활동 김영상은 태인 무성서원...
    시대 :
    근대/일제강점기
    유형 :
    인물/근현대 인물
    분야 :
    역사/근대사
  • 신정훈 辛正勳
    광주인성고등학교를 졸업하고 같은 해 고려대학교 정경대학 신문방송학과에 입학하였다. 1985년 고려대학교 신문방송학과에 재학중이던 신정훈은 서울 미국문화원 점거 농성을 하였고, 3년 가량 수감되었다.뉴스 인용 출소 후 신정훈은 고향 나주로 내려와 배농사를 지으며 농부로 살았다. 신정훈은 나주농민회를 결성해...
    도서 위키백과
  • 박선원 (1963년)
    경영학 석사 워릭대학교 대학원 국제정치학 박사 전라남도 나주군 남평면(현 전라남도 나주시 남평읍) 출신 연세대학교 광주민주화투쟁 취소선 위원장 1985년...처단투쟁위원회 위원장 1986년 5월 삼민투 위원장으로 활동하며 서울 미국문화원 점거농성 사건을 주도하여 특수공무집행방해치상, 국가보안법 위반, 폭력...
    도서 위키백과
  • 광주 학생 항일 운동 Gwangju Student Independence Movement..
    출판문화원, 2014) "광주학생운동연구" (국민대학교 박사학위논문, 김성민, 2006년) "광주학생독립운동 참가학교 명단 최종보고서" (광주광역시교육청, 2006년 6월) "광주학생독립운동사" (사단법인 광주학생독립운동동지회, 1996년) "식민지학생의 항일운동 문제인식과 참여경로"(학생독립운동연구단.김홍길,2011...
    도서 위키백과
  • 목포의 역사
    목포 나주 지역은 후삼국시대 재통일 과정에서 왕건에게 큰 힘이 되어주었다. 이후 조선 시대에 들어 목포진이 설치됐다. 세종21년 1439년에는 목포 수군 만호진을 별개로 설치하여 인근 연안의 12개 도서를 관리하게 했다. 현재의 만호동은 과거 만호진이 있어서 붙인 이름이다. 임진왜란 때는 이순신 장군이 명량대첩...
    도서 위키백과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다음페이지 없음

멀티미디어1건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