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기지시 줄다리기 機池市 줄다리기
    기지시 줄다리기는 충청남도 당진시 기지시리에서 풍년을 염원하는 농경 의식의 하나로 행하는 성인남녀놀이이다. 윤년 음력 3월 초에 행해지는 줄다리기로, 물 윗마을들과 물 아랫마을들이 서로 대결한다. 참가 인원은 제한 없이 지역 주민은 남녀 누구나 참여할 수 있다. 줄다리기에 필요한 원줄은 본부에서 만들고, ...
    유형 :
    놀이
    분야 :
    생활/민속·인류
  • 기지시줄다리기 국가무형문화재 제75호
    충청남도 당진군에서 전승되어 온 줄다리기. 매해 3월 중 당제·용왕제와 함께 열리며, 전국적으로는 중부지역에 남아 이는 귀한 민속현장이다. 각기 마을에서 가져온 짚단으로 줄 2개를 만들어 암술과 수줄로 나누고, 수천 명이 참가한다. 행사가 펼쳐질 때 곳곳에 장이 서 잔치판이 벌어진다. 이 놀이는 재앙을 막고 ...
    문화재 지정 :
    1982.06.01
    문화재 :
    국가무형문화재 제75호
  • 기지시줄다리기 (관련어 기지시 줄다리기)
    문화재 정보기지시줄다리기(機池市줄다리기)는 충청남도 당진시 지역에서 행해지는 재앙을 막고 풍년을 기원하는 농경의식의 하나이다. 1982년 6월 1일 대한민국의 국가무형문화재 제75호로 지정되었다. 줄다리기는 농경의식의 하나인 일종의 편싸움 놀이로 길쌈이라고도 한다. 마을을 육지와 바닷가쪽 두 편으로 나누는...
    도서 위키백과
  • 기지시줄다리기축제 줄당기기, 機池市줄다리기祝祭
    곳이라 해서 붙여진 지명이라 한다. 기지시줄다리기는 1971년에 ‘기지시 줄난장’이라는 명칭으로 처음 시작되었다. 1973년 충청남도 민속문화재(현, 민속문화유산), 1979년 충청남도 지방민속자료로 지정된 후 1982년 국가무형문화재로 지정되었다. 2015년 기지시줄다리기는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으로 등재되었다...
    시대 :
    현대
    유형 :
    의례·행사
    분야 :
    생활/민속·인류
  • 기지시 줄다리기 보존회
    즐길 수 있는 전통 놀이이자 무형문화재다. 선조들이 물려준 소중한 무형의 문화유산을 온전하게 보존하여 후손에게 전승함은 물론 이를 잘 활용하여 국가 발전의 원동력으로 삼기 위한 전승자들의 노력은 오늘도 계속되고 있다. 이곳을 방문하면 박물관에서 기지시 줄다리기에 대한 전시물을 관람할 수 있고, 기지시...
    위치 :
    충청남도 당진시 송악읍 안틀모시길 11
    설립자 :
    기지시 줄다리기 보존회장 故이우영
  • 기지시줄다리기박물관
    기지시줄다리기박물관은 충청남도 당진시 송악읍 기지시리에 있다. 중요무형문화재 제75호이자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인 기지시줄다리기의 역사를 배울 수 있다. 기지시줄다리기는 조선시대부터 해상문물의 요충지인 기지시에서 인근지역 사람들까지 모여 제사를 지내고 줄을 당기면 재난을 이겨내고 나라의 평안과...
    위치 :
    충청남도 당진시 안틀모시길 11
  • 기지시줄다리기박물관
    박물관 정보 기지시줄다리기박물관은 충청남도 당진시 송악읍에 있는 전통 민속놀이 박물관으로 그 지역에 전해 내려오는 기지시줄다리기를 알리고 보존하기 위해서 설립되었다. 2011년 4월 8일 개관 상설전시실, 기획전시실, 체험관, 보존회 사무실, 야외 전시실, 체험장 충청남도의 박물관
    도서 위키백과
  • 줄다리기 삭전(索戰)
    이와 같이, 줄다리기 놀이는 우리 겨레가 대개 마을단위로, 크게는 군단위로 단결심과 멋을 기르던 좋은 단체경기의 하나로서 앞으로도 널리 전승시켜나가야 할 놀이이다. 현재 전승되고 있는 유명한 줄다리기로는 충청남도 당진시 기지시줄다리기, 강원도 삼척 기줄다리기, 경상남도 영산줄다리기 등이 있다. 참고문헌
    성격 :
    성인남녀놀이, 경기놀이
    유형 :
    놀이
    놀이시기 :
    대보름
    분야 :
    생활/민속·인류
  • 영산 줄다리기 靈山 줄다리기
    기념하기 위한 3·1문화행사의 한가지로 벌여온다. 영산줄다리기는 2015년 12월 2일 유네스코 제10차 무형유산위원회 회의에서 우리나라의 기타 줄다리기 5건(기지시줄다리기, 삼척기줄다리기, 남해선구줄끗기, 감내게줄당기기, 의령큰줄땡기기) 및 베트남, 필리핀, 캄보디아 줄다리기 종목 등과 더불어 인류무형문화...
    유형 :
    놀이
    분야 :
    생활/민속·인류
  • 삼척 기줄다리기 삼척게줄다리기, 三陟 기줄다리기
    든다는 속신이 있어 그 경쟁이 치열하다. 삼척기줄다리기는 2015년 12월 2일 유네스코 제10차 무형유산위원회 회의에서 우리나라의 기타 줄다리기 5건(기지시줄다리기, 영산줄다리기, 남해선구줄끗기, 감내게줄당기기, 의령큰줄땡기기) 및 베트남, 필리핀, 캄보디아 줄다리기 종목 등과 더불어 인류무형문화유산으로...
    시대 :
    조선
    유형 :
    놀이
    분야 :
    생활/민속·인류
  • 이우영 李禹永
    합격하여 한약종상을 하면서 1961년 당진군 한약협회장을 역임하기도 했다. 1960년 기지시 번영회장을 지내다 기지시리에 전해지고 있는 민속놀이인 기지시 줄다리기에 관심을 가지게 되었다. 기지장이 설 때마다 열리던 줄다리기 행사가 한국전쟁을 거치는 동안 중단되고 기지장도 쇠퇴하자, 그는 '기지시 줄다리기...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인간문화재
  • 송악읍
    비고 당진 신성미소지움 신성건설 신성건설㈜대원디앤씨 송악읍 신복운로3길 28 2007년 4월 당진 세종그랑시아 ㈜세종건설 ㈜메트로개발 2005년 2월 기지시줄다리기(국가무형문화재 제75호) 서해안고속도로 당진 나들목, 송악 나들목 국도 제32호선 구분 도로 이름 로 서해로, 가청로, 고잔로, 당고개로, 도문로, 반촌로...
    도서 위키백과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다음페이지 없음

멀티미디어42건

기지시 줄다리기
기지시 줄다리기
기지시 줄다리기
기지시 줄다리기
기지시 줄다리기
기지시 줄다리기
기지시 줄다리기
기지시줄다리기
기지시줄다리기
기지시 줄다리기 / 용왕제
기지시 줄다리기 / 당제
기지시 줄다리기 / 당제
기지시 줄다리기 / 비녀목
기지시 줄다리기 / 줄나르기
기지시 줄다리기 / 신 모시러 가는 모습
기지시 줄다리기 / 줄 끊어가는 모습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