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귀추 歸推法, abduction
    과학철학에서 논의하는 과학적 발견에 이르게 되는 추론과정의 하나. abduction retroduction이라고도 함.|귀추은 '최선의 설명에로의 추론'(inference to the best explanation)을 뜻한다. 즉 어떤 놀랄 만한 현상이 나타났을 때 그 현상을 '가장 잘 설명해주는' 가설을 추론하는 과정을 말한다. 과학자(특히 물리...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서양철학
  • 귀추 Abductive reasoning, アブダクション
    귀추(歸推法, 만약 사실이라면 관계있는 증거를 가장 잘 설명할 것 같은 가정을 선택하는 방법이다. 귀추에 의한 논증은 주어진 사실들로부터 시작해서 가장 그럴듯한 혹은 최선의 설명을 추론한다. 아리스토텔레스의 분석론 전서 제2권 25장에 '아파고게'라는 이름으로 등장했던 논증형태를 미국의 철학자이자 기호...
    도서 위키백과
  • Abductive reasoning 귀추법, アブダクション
    Abductive reasoning (also called abduction, abductive inference or retroduction) is a form of logical inference which goes from an observation to a theory which accounts for the observation, ideally seeking to find the simplest and most likely explanation. In abductive reasoning, unlike in deduct...
  • 귀츨라프 Karl Friedrich August Gützlaff
    요구하는 서한을 보냈다. 약 20일간 화답을 기다리며 귀츨라프는 인근 주민들에게 성경과 전도문서와 의약품을 나누어주었으며, 감자 종자를 주면서 심는 과 저장법을 알려주기도 하였다. 또 홍주목사의 서생인 양씨(楊氏)의 도움을 얻어 주기도문을 한글로 번역했다. 파리 외방전교회 소속 샤를 달레(Charle Dallet...
    출생 :
    1803. 7. 8, 프로이센 포메라니아(지금의 폴란드 서포메라니아)
    사망 :
    1851. 8. 9, 중국 홍콩
    국적 :
    독일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종교인
  • 퍼스의 논리학 연구
    이 책은 완성되지 못했다. 퍼스는 연역논리 또는 수리논리에 크게 기여했지만 무엇보다도 '과학 논리', 즉 귀납논리와 자신이 '역귀납'(retroduction) 또는 '귀추'(abduction)이라고 부른 논리를 연구했다. 이 논리는 예기치 못한 사실을 설명하기 위해 어떤 가설을 세우고 그 가설을 시험삼아 승인하는 방법이다. 그...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서양철학
  • 한국의 철학
    실증주의에 대항하여 비판적 실증주의를 표방하며, 은 '궁극적인 인간다운 평화질서' 이외의 것에로 지향될 수는 없다고 고백한다. 한편 그의 박사학위...1982)에서 '개념'과 '효력'을 논의하는 가운데서도 잘 나타난다. 현재 그는 이념론, 특히 정의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으며 그 귀추가 주목되고...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서양철학
  • 탐구 Inquiry, 探究
    차용하여 일반적으로 귀추적 추론, 연역적 추론, 귀납적 추론으로 알려진 탐구에서 역할을 하는 추론의 세 가지 기본 모드를 조사했다. 대략적으로 말하면, 귀추은 관심 현상이나 우려되는 문제에 대한 대응으로 가능성 있는 가설이나 초기 진단을 생성하는 데 사용되는 반면, 연역은 선택된 항목의 관련 결과를 명확...
    도서 위키백과
  • 조국통일 3대원칙
    법적으로 상대를 주적(主敵)으로 규정하고 있어 어려움이 있다. 이 문제 또한 6·15남북정상회담 이후 북한의 노동당 규약과 남한의 국가보안 개정 논의가 일고 있어 귀추가 주목된다. 한편 7·4남북공동성명에서는 조국통일 3대원칙 외에 상호 중상비방 및 무장도발 중지, 제반교류 실시, 적십자회담 조속 성사, 서울...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세계사
  • 대전속록 大典續錄
    이 계속 만들어졌다. 이에 1491년 10월 감교청을 설치하여 새로 발표한 수교 중에서 법령으로 삼을 만한 것을 편찬하게 했다. 다음해 7월 28일 〈대전속록〉을 완성하여 1493년 5월부터 시행했다. 편찬에 참여한 사람은 이극증(李克增)·어세겸(魚世謙)·권건(權健)·이즙(李諿)·안호(安瑚)·김수손(金首孫)·김심...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조선
  • 과학철학 科學哲學, philosophy of science
    말했다. 역사와 주요 학자 고대와 중세의 과학철학 과학철학의 기원을 좇아 올라가 보면 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를 만날 수 있다. 이들은 연역, 귀납, 귀추 등의 추론 방법을 정리하고 유비론(類比論) 또한 분석했다. 이로써 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는 과학적 추론의 근간을 다져 놓았다고 말할 수 있다. 7세기...
    분류 :
    인문학 > 철학 > 과학철학
    도서 학문명 백과 | 태그 학문
  • 비판 批判
    비판〉은 창간사에서 "이론을 심화하며 그 모순을 제거하며 운동의 귀추를 확립하며 당면한 혼란을 숙청하는 것은 오직 자기 자신의 과거·현재·장래에 대한...하면서 비판의 의미와 잡지의 방향을 밝히고 있다. 내용에 있어서는 변증적 유물론, 레닌주의의 기초, 자본론 해설 등 사회주의 이론을 연재로 소개하고...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출판
  • 과학방법사 연표 Timeline of the history of the scientifi..
    것을 가리켜 “통섭”이라는 용어를 또한 고안했다. 1877년–1878년 – 미국의 과학자 찰스 샌더스 피어스가 『과학논리의 삽화들』을 써서 삼분법, 귀추, 연역, 귀납을 널리 알렸다. 1885년 – 피어스와 조지프 재스트로가 맹검과 무작위 실험의 개념을 처음으로 제시하다.저널 인용 See also: 저널 인용...
    도서 위키백과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다음페이지 없음

멀티미디어1건

아리스토텔레스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