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5 · 16 군사 쿠데타 독재를 위한 군부의 반란국외 여행 불허, 언론 및 출판의 사전 검열, 야간 통행 금지 시간 연장 등의 내용이 담겨져 있었다. 오후 7시, 이들이 정권 인수를 공식으로 밝히면서 군사 쿠데타는 성공했다. 국무총리 장면은 수도원으로 몸을 피했고, 대통령 윤보선은 박정희의 요청을 받아들여 유혈사태를 피하라는 서신을 각급 지휘관에 내렸다...
- 시대 :
- 1961년
-
-
12·12 군사반란 十二十二 軍事叛亂5·17사건은 명백한 정치적 쿠데타로 간주될 수 있지만 12·12사건 당시에는 신군부의 정권장악 목표가 아직 명백하게 표출되지 않았으므로 12·12군사반란은 예비 쿠데타로 간주되기도 한다. 역사적 배경 1979년 10·26사태로 박정희(朴正熙) 대통령이 살해된 뒤 최규하 과도정부는 제주도를 제외한 전국에 비상계엄을...
- 시대 :
- 현대/대한민국
- 유형 :
- 사건
- 분야 :
- 정치·법제/정치
-
-
오일륙 五一六, May 16 coup미국은 한국군의 작전통제권을 장악하고 있었기에 쿠데타 발발과 진압에 결정적 권한을 가지고 있었다고 할 수 있었다. 아울러 1950년대 세계적으로 군사 쿠데타가 빈발하고 있었다는 점도 하나의 배경을 이루었다. 경과 군사 쿠데타 세력의 움직임은 4·19혁명 이후 처음 정군운동(整軍運動)으로 나타났다. 4·19혁명의...
- 시대 :
- 현대
- 발생 :
- 1961년 5월 16일
- 성격 :
- 군사쿠데타
- 유형 :
- 사건
- 종결 :
- 1963년 12월 16일
- 분야 :
- 정치·법제/정치
- 관련 인물/단체 :
- 박정희, 김종필, 장면, 윤보선, 장도영
- 관련 장소 :
- 서울
-
타이의 군사 쿠데타 발생 탁신 친나왓 총리가 쫓겨나다탁신 친나왓 타이 총리가 군사 쿠데타로 쫓겨나 영국으로 망명했다. 친나왓은 컴퓨터와 휴대전화, 케이블 텔레비전 분야에서 엄청난 부를 쌓은 억만장자로, 2001년 선거에서 승리해 총리에 올랐다. 그러나 2006년 2월부터 탈세 등 부패 의혹으로 대규모 반대 시위가 벌어졌고 마침내 쿠데타로 축출된 것이었다. 이후...
- 시대 :
- 2006년 9월 19일
- 국가/대륙 :
- 아시아
-
아프리카의 군사 쿠데타아프리카의 여러 신생 독립국에서 군사 쿠데타가 연달아 일어났다. 1965년 11월 콩고민주공화국에서 모부투 세세 세코가 쿠데타로 권력을 차지한 데 이어, 12월에는 중앙아프리카공화국의 장 베델 보카사도 쿠데타에 성공했다. 1966년 1월 나이지리아, 2월 우간다와 가나, 3월 시에라리온, 1967년 1월 토고에서도 쿠데타...
- 시대 :
- 1966년
- 국가/대륙 :
- 아프리카
-
5 ・ 16쿠데타 발발박정희 육군 소장을 중심으로 한 군인들이 쿠데타를 일으켰다. 정부를 이끌던 장면 총리는 쿠데타 직후 몸을 피했고, 윤보선 대통령은 군을 동원한 진압을 거부했으며, 국군의 작전권을 쥐고 있던 미국은 관망했다. 그 결과 쿠데타 세력은 국군 전체의 1퍼센트 미만인 3000여 명의 병력으로 정권을 장악했다. 쿠데타...
- 시대 :
- 1961년 5월 16일
- 국가/대륙 :
- 한국
-
박정희 대한민국 제5·6·7·8·9대 대통령, 朴正熙1961년 5월 16일, 박정희는 “누란(累卵)의 위기에서 조국을 구하고 도탄에 빠진 민생고를 시급히 해결하겠다.”라는 공약을 내걸고 청년장교들과 함께 군사 쿠데타를 일으켰다. 7월에는 입법권, 사법권, 행정권을 장악한 국가재건최고회의 의장에 취임해 군정(軍政)을 실시했으며, 1962년 3월 윤보선 대통령이 사임하자...
- 출생 :
- 1917년
- 사망 :
- 1979년
-
-
버마 군사정권 집권 버마에 군사 정권이 들어서다버마(지금의 미얀마)가 민족 분규와 경제 혼란에 시달리는 가운데 네 윈이 이끄는 군부가 쿠데타를 일으켜 권력을 장악했다. 네 윈은 혁명평의회 의장에 취임해 군정을 펼치고, 1974년부터는 유일한 정당인 버마사회주의계획당의 의장으로서 절대적인 권력을 휘두른다. 네 윈은 이른바 '버마식 사회주의'를 내세웠지만...
- 시대 :
- 1962년 3월 2일
- 국가/대륙 :
- 아시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