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군가 軍歌
    군가는 노랫말을 갖춘 군대음악으로 투철한 국가관과 민족정신을 고취하고 전사(戰士)들의 전의고양과 단결심 함양을 위해 부르도록 지어진 노래이다. 대부분 국가에서는 민요와 유사한 국민 음악적 개념으로 인식되고 있으며 미국, 중국, 프랑스 등 많은 나라에서는 기존 군가를 국가(國歌)로 선택하여 사용하고 있다. ...
    유형 :
    개념
    분야 :
    예술·체육/현대음악
  • 군가 War song, 軍歌
    군가(軍歌)는 전쟁이나 그에 대한 사회적 태도와 관련된 작곡이다. 그들은 호전, 반전, 또는 단순히 전시의 일상에 대한 묘사일 수도 있다. 군가들은 역사나 전투에 따라 "제1차 세계 대전 군가", "제2차 세계 대전 군가"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전시 모집, 반 평화주의, 좋지 않은 배급과 과도한 훈련에 대한 불평 등...
    도서 위키백과
  • 독립군가 獨立軍歌
    내용 대한제국 말기의 의병과 대한민국 임시정부하의 광복군, 하와이에서 조직된 국민군이 부르던 곡들과 민족청년군가, 학도군가 등을 포함한다. 1907년 우리나라 군대가 일본에 의하여 강제해산되자 위정척사(衛正斥邪)와 창의구국(倡義救國)의 깃발로 일어선 의병들이 부른 민요 「새야 새야 파랑새야」의 가락에...
    유형 :
    개념
    분야 :
    예술·체육/현대음악
  • 독립군가 獨立軍歌
    애국독립가류의 전통과 맥을 같이한다. 이 노래들은 대부분 기존의 선율을 빌린 개사곡이었다. 예를 들면 1910년대부터 불렸던 〈독립군가〉는 찬송가, 〈봉기가〉는 일본군가를 개사한 것이다. 이청천 장군이 작사한 것으로 알려진 〈광야의 독립군〉은 루마니아의 이바노비치가 작곡한 〈도나우 강의 잔물결〉의 선율...
  • 맹상군가 孟嘗君歌
    구성 및 형식 단편가사로 장가 또는 사설시조의 형태와 비슷하다. 맹상군의 생애를 슬퍼하고, 살아 있을 동안에 한껏 놀며 즐기자는 내용으로 정철(鄭澈)의 「장진주사(將進酒辭)」와 비슷한 주제의 노래이다. 『청구영언』·『교주가곡집』 등에 실려 전한다. 내용 전문은 다음과 같다. 춘추전(千秋前) 존귀(尊貴)키야...
    시대 :
    조선
    저작자 :
    미상
    성격 :
    가사
    유형 :
    작품
    분야 :
    문학/고전시가
  • 강호연군가 江湖戀君歌
    구성 및 형식 전체 12수로 된 연시조로, 전6곡(前六曲)과 후6곡(後六曲)으로 되어 있다. 『사촌집(沙村集)』에 전한다. 창작동기는 사람들이 이 시조를 읊조림으로써 우국충정을 불러일으키게 하는 데 있다고 하였으며, 작자가 언급하듯이 이황의 「도산십이곡(陶山十二曲)」을 모방한 것이다. 내용 전6곡의 내용은 임금...
    시대 :
    조선
    저작자 :
    장경세
    창작/발표시기 :
    조선 중기
    성격 :
    시조
    유형 :
    작품
    분야 :
    문학/고전시가
  • 구지가 龜旨歌
    내용 작자·연대 미상의 고대가요. 영신군가(迎神君歌)·구하가(龜何歌) 또는 구지봉영신가(龜旨峰迎神歌)라고도 부른다. 원가(原歌)는 전하지 않으나, 관련설화와 4구체의 한문으로 번역된 것이 ≪삼국유사≫권2 가락국기조에 전한다. 이에 의하면 서기 42년 3월 계욕(禊浴)의 날에 북쪽 구지에서 수상한 소리로 부른...
    시대 :
    고대/초기국가
    저작자 :
    미상
    성격 :
    고대가요
    유형 :
    작품
    분야 :
    문학/고전시가
  • 1920년대 한국문학에 영향을 준 사건, 청산리 싸움 때의 군가
    1. 하늘은 미워한다 배달족의 자유를 억탈하는 왜적들을 삼천리 강산에 열혈이 끓어 분연히 일어나는 우리 독립군 2. 백두의 찬바람은 불어 거칠고 압록강 얼음 위엔 은월이 밝아 고국에서 불어오는 피비린 바람 갚고야 말 것이다 골수에 맺힌 한을 3. 하느님 저희들 이후에도 천만대 후손의 행복을 위해 이 한 몸...
    시기 :
    1920년
  • 구지가 영신군가, 龜旨歌
    개가 들어 있었다. 며칠 뒤 금합을 열어보니 모두 용모가 준수한 동자로 변해있었는데, 이 중 가장 큰 알에서 나온 사람이 수로왕이었다고 전한다. 해석 <영신군가(迎神君歌)>·<구지봉영신가(龜旨峰迎神歌)>라고도 한다. 가락국 시조 수로왕의 강림신화에 곁들여 전한다. 원래의 노래는 전하지 않고 다음과 같이 4구체...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작품 , 음악
  • 애대군가 억대군가, 哀大君歌
    구성 및 형식 모두 2수로 ‘<억대군가(憶大君歌>’·‘<운전가(耘田歌>’라고도 불린다. 1863년에 간행된 『고송최공실기(孤松崔公實記)』에 4언6구로 된 한역가(漢譯歌)와 함께 실려 있다. 내용 광해군 때 이이첨(李爾瞻)의 무리가 득세하면서 영창대군(永昌大君)이 강화도에서 죽고, 인목대비(仁穆大妃)가 서궁에...
    시대 :
    조선
    저작자 :
    최찬
    창작/발표시기 :
    조선 후기
    성격 :
    시조
    유형 :
    작품
    분야 :
    문학/고전시가
  • Gunka 군가, 軍歌
    is the Japanese term for military music. While in standard use in Japan it applies both to Japanese songs and foreign songs such as "The Battle Hymn of the Republic", as an English language category it refers to songs produced by the Empire of Japan in between roughly 1885 and 1943.Japanese gunka...
  • 고성군 高城郡
    세계적 명승지인 금강산의 외금강과 해금강이 있는 지역이다. 동쪽은 동해안, 서쪽은 금강군, 북쪽은 통천군, 남쪽은 군사분계선을 경계로 남한의 고성군과 접해 있다. 행정구역은 고성읍 1개읍과 고봉리·구읍리·금천리·남애리·두포리·염성리·능동리·복송리·봉화리·삼일포리·성북리·순학리·신봉리·온정리...
    위치 :
    강원도 남동부 해안
    인구 :
    61,277 (2008)
    면적 :
    858.657㎢
    행정구역 :
    1개읍 23개리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아시아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

관련항목

멀티미디어10건

군가집
광복군 군가집
광복군 군가
맹상군가
광복군 군가집
강호연군가 / 사촌집
강호연군가 / 사촌집
강호연군가 / 사촌집
청산리 싸움 때의 군가
문일민이 제안한 ‘국가와 군가 제정안’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