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구룡사 대웅전 龜龍寺 大雄殿
    강원도 원주시 소초면 구룡사에 있었던 조선시대 에 창건된 사찰건물. 불전.|내용 정면 3칸, 측면 2칸의 겹처마 다포식(多包式) 팔작지붕건물. 1971년 강원도 유형문화재(현, 유형문화유산)로 지정되었으나 화재로 소실되어 2004년 1월 17일 유형문화재에서 해제되었다. 전면에는 높직한 자연석 기단을 쌓고 정면 3칸...
    유형 :
    유적
    분야 :
    예술·체육/건축
  • 원주 구룡사 대웅전 (관련어 구룡사대웅전)
    원주 구룡사 대웅전(原州 龜龍寺 大雄殿)은 강원특별자치도 원주시 소초면, 구룡사에 있는 대웅전이다. 1971년 12월 16일 강원도의 유형문화재 제24호로 지정되었으나, 2003년 9월 30일 화재로 전소되어 2004년 1월 17일 지정해제 되었다.《한국민족문화대백과》, 구룡사 대웅전(龜龍寺大雄殿), 한국학중앙연구원 신라 ...
    도서 위키백과
  • 치악산 구룡사 雉岳山 龜龍寺
    1975년에는 대웅전을 보수 · 단청하였다. 현재 대한불교조계종 제4교구 본사인 월정사(月精寺)의 말사(末寺)이다. 이 절의 당우로는 구룡사 대웅전을 비롯하여 원주 구룡사 보광루(普光樓) · 삼성각(三聖閣) · 심검당(尋劍堂) · 설선당(說禪堂) · 적묵당(寂默堂) · 천왕문(天王門) · 종루(鍾樓) · 일주문(一柱門...
    시대 :
    고대/삼국
    유형 :
    유적/건물
    분야 :
    종교·철학/불교
  • 원주 구룡사 삼장보살도 원주 구룡사 삼장탱화 및 복장유물, 原州龜龍寺三藏菩薩圖
    지지보살 · 지장보살을 하나의 화폭에 그린 수륙재 불화로,1727년(영조 3)에 경기 지역 화승 백기(白基)와 영휘(暎輝)가 제작하여 구룡사에 봉안하였다. 삼장보살도와 함께 제작된 구룡사 감로도는 경상북도 지역에서 온 화승들이 제작하였다. 그림 상단에 걸려 있던 복장주머니에서 원문(願文) 2매, 다라니 1...
    시대 :
    조선 후기
    유형 :
    유물
    분야 :
    예술·체육/회화
  • 치악산 雉岳山
    명소가 많다. 북쪽 산록 소초면 학곡리에 있는 구룡사는 신라 문무왕 때 의상대사가 창건했는데 용 9마리가 살던 못을 메우고 지었다는 전설이 있다. 구룡사 대웅전(강원특별자치도 유형문화재 제24호)을 비롯해 거북바위·구룡소 등의 경승지가 있다. 절 주위에 우거진 노송들은 조선시대에 황장목이라 하여 임금의 널...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강원도 , 국내여행 ,
  • 원주 구룡사 보광루 原州 龜龍寺 普光樓
    樓門) 역할을 하는 건물로, 사천왕문 뒤쪽의 높은 축대에 자리하고 있다. 누하(樓下)인 1층의 계단을 오르면,바로 사역(寺域)의 중심인 대웅전 앞마당에 이른다. 역사적 변천 구룡사는 668년(문무왕 8)에 의상(義湘)대사가 창건하였다고 전하지만, 신라 말에 도선(道詵)국사의 창건이라고도 전한다. 그 뒤 1706년(숙종...
    유형 :
    유적
    분야 :
    예술·체육/건축
  • 구룡사
    표(黃膓禁標)가 있는데, 이것은 치악산 일대의 송림에 대한 무단벌채를 금하는 방으로, 전국에서 유일하게 남아 있는 표지로서 역사적 가치가 있다. 구룡사 대웅전 - 강원도유형문화재 24호로 지정되었으나, 2003년 9월 30일 화재로 전소되어 2004년 1월 17일 지정해제되었다. 구룡사 대웅전은 강원도 유형문화재 제24호...
    도서 위키백과
  • 구룡사
    따르면 신라말의 고승 도선국사에 의해 창건되었다고 기록하고 있다. 현재는 강희 45년 글자가 새겨진 와당이 출토되어 숙종 32년(1706)에 구룡사가 중건되었음을 알 수 있다. 대웅전 앞 좌우에는 서상원과 보광루, 적묵당, 심검당의 승사가 있으며 이밖에도 원통문, 국사단, 사천왕문, 범종각, 응진전 등이 있다. 절...
    위치 :
    강원특별자치도 원주시 소초면 구룡사로 500
    문화재 지정 :
    [원주구룡사보광루] 강원도 유형문화재 제145호(2004.01.17 지정)
  • 원주 구룡사 보광루
    있는 둥근기둥을 세운 뒤에 그 위로 누각형 건물을 올렸다. 누각층은 대웅전 앞의 마당을 향해 개방시킨 형태이며, 기둥은 1층보다 빈약한 배흘림이 없는 원형기둥을 사용하였다. 천장은 우물반자이며, 누마루는 우물마루인데, 한때 마루에는 우리나라에서 제일 큰 멍석이 깔려 있었다고 한다. 구룡사 구룡사 대웅전
    도서 위키백과
  • 원주시의 유물·유적·관광
    보물 제463호), 흥법사지3층석탑(보물 제464호), 신림면 성남리의 상원사대웅전(上院寺大雄殿, 강원특별자치도 문화재자료 제18호), 소초면 학곡리의 구룡사대웅전(九龍寺大雄殿, 강원특별자치도 유형문화재 제24호)이 있으며, 신라시대에 창건된 행구동의 국향사(國享寺) 경내에는 보암당부도(普庵堂浮屠)·동악제단지...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강원도
  • 파주시의 유적·유물·관광
    제148호)과 교하리·다율리에서 발견된 청동기 유물이 있다. 불교문화재는 광탄면 용미리의 파주용미리마애불입상(보물 제93호)을 비롯하여 광탄면의 구룡사, 보광사대웅전(경기도 유형문화재 제83호), 파평면의 미타사 등이 있다. 유교문화재로는 파주향교·적성향교·자운서원(경기도 기념물 제45호) 등이 있다. 능묘...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경기도
  • 치악산 국립공원 적악산(赤嶽山), 雉嶽山 國立公園
    문화의 명맥을 이어가고 있다. 현재 치악산에는 시 · 도지정유산 4점을 포함하여 총 9점의 문화유산이 분포하고 있다. 울창한 송림 속에 있는 구룡사와 그 부근에는 대웅전과 창건설화에 얽힌 거북바위 · 구룡소 등이 있다. 치악산은 고려 말의 학자인 운곡 원천석의 은거지로 알려져 있으며, 그와 그의 제자인 조선...
    유형 :
    지명
    분야 :
    지리/자연지리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다음페이지 없음

멀티미디어4건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