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광대역부호분할다중접속 廣帶..
    확산대역기술을 이용한 이동통신 무선접속 규격.|3세대 이동통신기술 표준의 하나로 확산대역기술을 이용하여 디지털 자동차나 휴대전화에 쓰이는 미국의 표준 기술이다. 3세대 이동통신기술은 멀티미디어 전송을 목적으로 개발되었고, 고화질 화상 서비스, 빠른 데이터 전송률 등 기존 시스템과의 차별성을 가짐으로...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전기/전자
  • 광대역 부호분할다중접속 W..
    국제전기통신연합(ITU)이 표준화를 추진하고 있는 국제 이동 통신-2000(IMT-2000)을 위해 부호 분할 다중 접속(CDMA) 방식을 광대역화하는 기술
  • WCDMA (동의어 광대역 부호 분할 다중 접속) Wideband Code Division M..
    3GPP가 부호 분할 다중 접속(CDMA :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기술을 기반으로 대역폭 5 MHz로 광대역화해서 만든 3세대(3G) 이동통신 표준 기술. 광대역 부호 분할 다중 접속(WCDMA)은 2세대(2G) 이동통신 시스템(GSM)에서 사용하던 시분할 다중 접속(TDMA : 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방식보다 고도화된 ...
  • 광대역 부호 다중 분할 접속 (관련어 광대역 부호 분할..) ..
    출처 필요 광대역 부호 분할 다중 접속 혹은 UMTS-FDD, UTRA-FDD, or IMT-2000 CDMA Direct Spread는 3세대 이동통신 기술 표준의 하나로 확산대역 기술을 이용한 디지털 모바일 휴대전화에 쓰이는 표준 기술이다. 지난 2007년에 동아시아 국가에서 두 번째로 상용 서비스를 개시한 KTF와 SK텔레콤의 주력 통신 기술이다...
    도서 위키백과
  • 부호 분할 다중 접속 CDMA, 符號分..
    같은 PN 부호를 곱하면 대역폭이 원래의 폭으로 복귀하여 복조된다. CDMA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시분할 다중 접속(TDMA) 방식이나 아날로그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FDMA) 방식에 비해 대역폭당 사용자 채널을 10~20배 증가시킬 수 있고, ㉡송신 주파수가 광대역이므로 다중 경로 신호(multipath signal)에 의한...
  • 부호 분할 다중 접속(위성 통신의) 符..
    초기 접속(initial acqui-sition) 과정을 거치지 않고 통신 상대 지구국 간에 부호가 결정되어 있기만 하면 직접 상대국을 선택하여 임의 접속할 수 있고, ㉡...주파수 대역폭(위성 중계기)이 필요하여 주파수 이용 효율이 떨어지고, ㉣중계기의 전송 용량은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FDMA)이나 TDMA 방식에 비해서 작다...
  • 디지털 셀룰러 시스템 digital cellular system
    ETRI)이 퀄컴사와 공동 개발에 참여한 CDMA 방식을 국내의 디지털 이동 통신 표준으로 확정하여 1995년에 상용 서비스를 개시하였다. 이 후, GSM은 3세대 이동 통신인 광대역 부호 분할 다중 접속(WCDMA)를 거쳐 4세대 이동 통신으로 불리는 엘티이-어드밴스(LTE Advanced)로 진화되었다. ※ 초기 디지털 셀룰러 시스템
  •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One cdmaOne, 符號分割多重..
    부호 분할 다중 접속(CDMA) 방식의 디지털 셀룰러 자동차/휴대 전화 시스템의 표준화를 추진하는 국제 업계 단체인 CDG(CDMA Development Group)가 1997년 6월에 정한 현행 CDMA 방식의 명칭. cdmaOne은 1993년 7월에 미국 전자 공업 협회/통신 산업 협회(EIA/TIA)가 작성한 CDMA 방식의 디지털 셀룰러 시스템 표준 규격...
  • W-CDMA 광대역 부호 다중 분할 접속, W-CDMA (UMTS)
    W-CDMA or WCDMA (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along with UMTS-FDD, UTRA-FDD, or IMT-2000 CDMA Direct Spread is an air interface standard found in 3G mobile telecommunications networks. It supports conventional cellular voice, text and MMS services, but can also carry data at high...
  • 모바일 브로드밴드 MBB, 廣大域移動通信
    4세대까지의 이동 통신 기술과 모바일 와이맥스(Mobile WiMAX), 와이브로(WiBro) 등 무선 통신 기술을 통틀어 이르는 말이다. 3세대(3G)의 광대역 부호 분할 다중 접속(WCDMA: Wideband CDMA) 기술은 음성과 짧은 데이터 위주의 통신으로 인터넷 접속이 원활하지 않았다. 2005년 3GPP에서 고속 하향 패킷 접속(HSDPA...
  • 시분할 고속 하향 패킷 접속 HSDPA TDD, 時分割高速下向-接續
    중국형 3세대 이동 통신인 시분할 동기 코드 분할 다중 접속(TD-SCDMA)에서 진화한 3.5세대 기술. 유럽식 표준인 고속 하향 패킷 접속(HSDPA)이 광대역 부호 분할 다중 접속(W-CDMA)에서 발전한 진화 기술인 것처럼, 시분할 고속 하향 패킷 접속(HSDPA TDD)도 TD-SCDMA와 호환성을 갖추고 있어 중국에서는 TD-HCDMA로도...
  • 고속 패킷 접속 HSPA, 高速-接續
    고속 하향 패킷 접속(HSDPA)과 고속 상향 패킷 접속(HSUPA)을 결합한 용어. 3GPP 진영에서는 광대역 부호 분할 다중 접속(W-CDMA)의 데이터 전송률을 증가시키기 위해서 하향 링크를 14.4Mbps까지 향상시킨 HSDPA를 우선 개발한 뒤, 상향 링크도 5.76Mbps까지 향상시킨 HSUPA를 표준화하고 고속 패킷 접속(HSPA)이라는...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다음페이지 없음

관련항목

멀티미디어1건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