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공안위원회 公安委員會, Comite de Salut Public
    프랑스 혁명기의 통치기구. (영). Committee of Public Safety.|공포정치기간(1793. 9~1794. 7) 동안 독재정치를 수행했다. 공안위원회는 1793년 4월 6일 국내외 전쟁으로 말미암아 혁명이 위기에 처하게 되자 설립되었다. 새 위원회는 국내외의 적으로부터 국가를 방어하고 행정부를 감시하는 역할을 맡았다. 처음에...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세계사
  • 공안위원회 (프랑스 혁명) Committee of Public ..
    공안위원회(公安委員會, Comité de salut public, Committee of Public Safety)는 프랑스 혁명기의 프랑스에 1793년 4월 7일부터 1795년 11월 4일까지 존재했던 통치기구로 도중 1794년 7월 27일까지 사실상 혁명 정부의 역할을 하였다. 회의장은 튈르리 궁전에 인접한 플로르 사진관(빠뷔욘 드 플로르)이었다. 자유의...
    도서 위키백과
  • 공안위원회 (관련어 공안 위원회)
    공안위원회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다. 공안위원회: 민주개혁의 일환으로 한국에 설치된 기구 공안위원회 (프랑스 혁명): 프랑스 혁명기에 존재했던 통치기구 일본 국가공안위원회 동음이의
    도서 위키백과
  • 국민공회 國民公會, Convention Nationale
    민중봉기로 의회에서 쫓겨났다. 산악당은 제2기(1793. 6~1794. 7) 국민공회를 지배했으나 전쟁과 국내 반란에 대응하기 위해 독재권을 갖는 혁명정부(공안위원회)가 들어섰다. 그 결과 1793년 6월 24일 국민공회가 승인한 민주헌법은 효력을 발휘하지 못했고, 국민공회는 발안권(發案權)을 잃어 공안위원회의 제안을...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선거
  • 일본 국가공안위원회 National Public Safety C..
    국가공안위원회는 일본의 행정기관이다. 내각총리대신 소관에 놓인 합의제의 위원회로, 내각부의 외국(外局)이지만 독립적으로 직권을 행사한다. 경찰의 민주적인 관리와 정치적 중립성의 확보를 위해 경찰법에 근거하여 창설되었다. 국무대신인 위원장과 5명의 위원으로 구성되며, 실무기관으로 경찰청이 설치되어 있다...
    도서 위키백과
  • 일본 공안심사위원회 公安審査委員会
    공안심사위원회는 일본 법무성의 외국(外局)이다. 파괴활동방지법(破壊活動防止法)에 따라 공안조사청의 처분 요구 청구를 받아 폭력주의적 파괴 활동을 행한 단체 및 무차별 대량 살인 행위를 행한 단체에 대한 각종 처분을 심사·결정하는 행정 위원회이다. 1952년 7월 21일, 파괴활동방지법의 시행과 동시에 설치된다...
    도서 위키백과
  • 공안검사 公安檢事
    인권의 조화'를 추구하겠다며 '신(新) 공안'이라는 개념을 내세워 공안검찰 인력을 대거 물갈이 하기도 했다. 이때 노사정위원회가 구성되고 학생운동이 쇠락하면서 공안의 수요가 줄어, 1994년 공안 4과가 폐지되는 등 조직도 축소됐다. 노무현 정부는 출범 부터 '공안부 기능 축소 또는 폐지'를 주요 검찰 개혁 과제로...
    도서 다음백과 | 태그
  • National Public Safety Commission 일본 국가공안위원회, Nat..
    The is a Japanese Cabinet Office commission. It is headquartered in the 2nd Building of the Central Common Government Office at 2-1-2 Kasumigaseki in Kasumigaseki, Chiyoda, Tokyo.The commission consists of a chairman who holds the rank of Minister of State and five members appointed by the Prime...
  • 노태우 대한민국 제13대 대통령
    입법위원회 상임위원이 되어 권력의 핵심으로 부상했고 1980년 8월 중장으로 진급, 전두환의 후임으로 보안사령관이 됐다 .1981년 7월 대장 진급 후 예편했다. 정계 진출 육군대장으로 예편한 노태우는 정계에 입문해 전두환의 후원에 힘입어 민주정의당 대표최고위원이 됐다. 1981년 7월 16일 정무 제2장관에 임명...
    출생 :
    1932. 12. 4, 경북 달성
    사망 :
    2021. 10. 26, 서울
    국적 :
    한국
    직업 :
    군인, 정치인, 대한민국 제13대 대통령
    호 :
    용당(龍黨)
  • 경찰 警察, police
    7월 「경찰공제조합규정」을 제정함으로써 경찰행정의 능률화를 기하였다. 그러나 1955년의 정부기구 간소화시책이 있었을 때 국회에서 경찰중립화를 위한 공안위원회의 설치문제가 제기되어 정치적 중립화의 의제가 토의되었으나, 자유당의 정치적 목적에 따라 실현되지 못하였다. 제1공화국 말기 과두정치기(寡頭政治...
    시대 :
    현대
    성격 :
    행정조직
    유형 :
    제도
    시행일 :
    1894년(고종 31) 7월
    분야 :
    정치·법제/법제·행정
  • 공안사건
    해병대, 해양경찰과 국방부, 법무부, 외교부, 행정안전부, 문화체육관광부, 교육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해양수산부, 고용노동부,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쪽에서도 공안사건 수사 지휘를 할 수도 있다. 과거 이승만, 박정희, 전두환, 노태우, 김영삼 정권 시절에는 위에 개재된 공안사건 관련 법률위반이나 다른 법률의...
    도서 위키백과
  • 시대별 대한민국의 공안 사건
    시대별 공안 사건 목록이다. 공안당국에 의하여 조작된 사건의 경우에는 십자가 (†) 표시를 하였다. 송진우 피살 사건작게 정판사 위조지폐 사건작게 대구 10.1 사건작게 윤명선 피습 사건작게 장덕수 암살 사건작게 수도청 고문치사 사건작게 2.7 사건작게 제주 4.3 사건작게 혁명의용군 사건작게† 여순 사건작게...
    도서 위키백과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1건

공안위원회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