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고창읍성
    고창은 우리나라에서 군 단위로는 최대의 고인돌 밀집 지역이다. 고창읍성(모양성)과 선운사, 그리고 동리 신재효와 미당 서정주의 고장인 고창은 삼한시대인 마한의 54개 소국 가운데 “모로비리국”의 시초로 열리기 시작, 백제 때에는 ‘모량부리현’ 또는 ‘모양현’으로 불렸고 고려시대 이래 ‘고창현’으로 불렸...
    위치 :
    전북특별자치도 고창군 고창읍 모양성로 1
    문화재 지정 :
    사적 제145호(1965년 4월 1일 지정)
  • 고창읍성 모양성(牟陽城), 高敞邑城
    고창읍성(高敞邑城)은 전북특별자치도 고창군에 있는 조선시대 석축 읍성이다. 모양성(牟陽城)이라고도 부른다. 일반적인 다른 읍성들이 해당 고을의 읍내 한가운데 자리한 데 비해 고창읍성고창의 진산인 반등산(半登山)을 에워싸며 축조되었다. 고창읍성은 단종 1년(1453)에 축조되었다는 설도 있고 숙종 때 축조되...
    시대 :
    조선
    유형 :
    유적
    분야 :
    예술·체육/건축
  • 고창읍성 모양성, 高敞邑城
    전북특별자치도 고창군 고창읍에 있는 조선시대 초기의 석축 읍성.|전북특별자치도 고창군에 있는 성. 사적 제145호. 둘레 1,684m, 높이 3.6m. 모양성이라고도 한다. 축조연대는 확실하지 않으며, 숙종 때 이항(李恒)이 주민의 힘을 빌려 8년 만에 완성시켰다는 설과, 1453년(단종 1)에 축조되었다는 설이 있다. 성벽...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조선 , 전라북도 , 사적
  • 고창읍성 (관련어 고창 읍성)
    문화재 정보 고창읍성(高敞邑城)은 대한민국 전북특별자치도 고창군 고창읍에 있는 옛 읍성이다. 1965년 4월 1일 대한민국의 사적 제145호로 지정되었다. 자연석 성곽으로 조선 단종 원년(1453)에 왜침을 막기 위하여 축성했다고도 하고, 숙종 때 완성되었다고도 하나 확실하지 않다. 백제 때 고창 지역을 모량부리로 불...
    도서 위키백과
  • 고창읍성 도예체험장
    고창읍성에 위치한 고창읍성 도예체험장은 유춘봉 명사와 그의 제자들이 운영하고 있다. 체험을 진행하는 유춘봉 명사는 전북 고창의 동곡요 3대 요장으로 집안 대대로 도예를 하였다고 한다. 체험장의 내부에는 다양한 작품들을 감상할 수 있고, 마음에 드는 작품이 있다면 구매가 가능하다. 체험프로그램 신청을 방문...
    위치 :
    전북특별자치도 고창군 고창읍 동리로 120
  • 고창읍성한옥마을
    고창군 한옥마을은 고창읍성 옆에 위치하고 있는 숙박시설이다. 기와집은 고창읍성 내에 있는 관아의 객사 등을 재현해놓아 전통한옥을 체험할 수 있다. 고창군 한옥마을은 대청마루와 마당 등이 딸려 있어 기품있는 운치 속에서 옛 선조들의 생활을 만끽할 수 있다. 각 객실내부에는 텔레비전과 에어컨, 냉장고...
    위치 :
    전북특별자치도 고창군 동리로 128 한옥체험펜션
  • 고창읍성 맹종죽림
    ‘맹종죽림’은 고창읍성 안쪽에 있는 대나무숲이다. 해외품종인 대나무는 높이 20m까지 자라며 일반 대나무보다 통이 크고 단단하다. 이곳은 영화 <왕의 남자> 등 다양한 영화 촬영지로도 많이 등장한 곳이다. 야간에는 맹종죽림 아트쇼가 펼쳐지는데 대나무숲 안에 작은 불빛들이 빛나며 형형 색색의 빛으로 가득...
    위치 :
    전북특별자치도 고창군 고창읍 읍내리
  • 고창 무장현 관아와 읍성
    무장읍성은 1417년 무장진의 병마사에 마을을 다스리는 기능을 주어 무장진 병마사 김노가 쌓은 길이 약 1.2km의 평지성이다. 읍성의 남문인 진무루는 앞면 3칸·옆면 2칸의 2층 건물이며, 동문터도 잘 남아 있다. 성 주위를 둘러싼 물길인 해자는 폭 4m·길이 574m 정도로 그 흔적만 남아있다. 성 안의 건물로는 객사...
    위치 :
    전북특별자치도 고창군 무장면 무장읍성길 45 (무장면)
    문화재 지정 :
    사적 제346호(1991년 2월 26일 지정)
  • 무장읍성
    조선 태종 17년(1417) 병마사 김저래가 여러 고을의 백성과 승려 등 주민 2만여 명을 동원하여 그해 2월부터 5월까지 만 4개월 동안에 축조했다고 전한다. 2018년 11월 15일, 호남문화재연구원은 전북 고창의 무장읍성에서 11점Efn-ua의 비격진천뢰를 발견했다고 밝혔다.뉴스 인용뉴스 인용 내용 출처 글로벌세계대백과
    도서 위키백과
  • 고창 高敞郡
    신월리의 고인돌 등 80여 군데 400여 기의 고인돌군이 있다. 산성으로는 1453년(단종 1)에 축성된 것으로 추정되는, 일명 모양성(牟陽城)이라 부르는 고창읍성(사적, 1965년 지정)이 고창읍 읍내리에 있으며, 무장면 성내리에 고창 무장현 관아와 읍성(사적, 1991년 지정)이 있다. 그 밖의 산성지로는 예지마을 산성터...
    유형 :
    지명/행정지명ˑ마을
    분야 :
    지리/인문지리
  • 읍성 邑城
    華城)이 대표적인 것이며, 이밖에 동래읍성 · 해미읍성 · 비인읍성 · 남포읍성 · 홍주성 · 보령읍성 · 남원읍성 · 고창읍성(일명 모양성) · 흥덕읍성 · 낙안읍성 · 진도읍성 · 경주읍성 · 진주읍성(일명 촉석성) · 언양읍성 · 거제읍성 등이 있다. 조선시대의 읍성은 내륙지방에는 비교적 큰 고을에만...
    유형 :
    개념
    분야 :
    예술·체육/건축
  • 서산 해미읍성
    조선 시대의 대표적인 읍성이다. 읍성이란 읍을 둘러싸고 세운 평지성으로 해미읍성 외에 고창읍성, 낙안읍성 등이 유명하다. 해미읍성은 조선 성종 22년, 1491년에 완성한 석성이다. 둘레는 약 1.8km, 높이 5m, 총면적 196,381m²(6만여 평)의 거대한 성으로 동, 남, 서의 세 문루가 있다. 최근 복원 및 정화사업을...
    위치 :
    충청남도 서산시 해미면 남문2로 143
    문화재 지정 :
    사적 제116호(1963년 1월 21일 지정)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다음페이지 없음

멀티미디어35건

고창 읍성
고창 읍성
고창읍성
고창읍성
고창읍성
고창읍성
고창읍성
고창읍성
고창읍성
고창읍성
고창읍성
고창읍성
고창읍성
고창읍성
고창읍성
고창읍성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