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
도자기 (관련어 고려 도자기) 陶磁器도자기는 점토에 장석, 석영 따위의 가루를 섞어 성형, 건조, 소성한 제품이다. 인류가 처음 토기를 만들기 시작한 것은 서기전 1만년에서 6000년경 사이이며, 우리나라에서는 서기전 6000년~5000년경이다. 점력을 갖춘 가소성이 있는 태토로 형태를 만들고 불에 구워서 만드는데 온도에 따라 토기(600℃), 도기(900∼1,...
- 유형 :
- 개념
- 분야 :
- 예술·체육/공예
-
고려시대의 한국과학사있었다. 향약 연구의 활성화는 이 땅의 식물학 발전을 의미하는 것이지만, 그 열매가 뚜렷하게 남게 된 것은 조선초 세종 때의 일이다. 고려시대에는 고려자기로 대표되는 도자기 기술과 금속활자의 발명을 바탕으로 한 인쇄기술이 크게 발전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 기술의 바탕에는 그에 상당하는 과학이 발달해...
-
고려 시대의 도자기 高麗 時代의 陶磁器大楪), 접시(楪匙), 잔(盞), 주전자[注子], 합(盒), 광구병(廣口甁)[아가리가 넓은 병], 유병(油甁), 향로(香爐), 장구[杖鼓] 등이다. [출토 유적] 고려 시대 도자기가 출토된 곳은 절터, 성터, 생활 유적지, 가마터 등이다. 부산광역시 북구 만덕동에 있는 만덕사지에서 9~10세기에 제작된 청자 햇무리굽완[靑磁日暈...
- 분야 :
- 역사
- 지역 :
- 부산광역시
출처 한국 향토문화 전자대전 -
백자 白磁따로 택하였던 것이라고 생각된다. 고려시대에는 ‘자(瓷) · 옹(甕) · 자(磁)’자를 사용하였는데 그 중에서 ‘자(瓷)’자를 주로 사용하였으며 사기(沙器...신증동국여지승람』에는 각 군현 토산조에 특산물로서 자기 31개소, 도기 12개소, 사기 4개소가 기록되어 있다. 도자기를 만드는 장인(匠人)은 주로 사기장...
- 유형 :
- 개념
- 분야 :
- 예술·체육/공예
-
-
도자기 시리즈(제3집) 청자인형주자瓜形花甁) 이 자기는 국보 94호로서 고려시대(12세기 전반기)에 만들어진 것으로 높이 22.8cm 입 지름 8.6cm, 몸 지름 9.5cm, 밑지름 7.8cm 크기의 꽃병이다. 8...유약과 태토(胎土)가 고도로 정선되어 있어 고려청자 최성기의 작품이 지니는 특징을 보여주고 있다. 위의 두 도자기는 서울 국립중앙박물관에 소장되어...
- 발행일 :
- 1977.7.15
- 발행량 :
- 3000000
- 종수 :
- 2
- 액면가격 :
- 20원
- 디자인 :
- 청자인형주자
- 우표번호 :
- 1059
- 인면 :
- 23×33
- 천공 :
- 13
- 전지구성 :
- 4×5
- 용지 :
- 백색 무투문지
- 인쇄 및 색수 :
- 그라비아 4도색
- 디자이너 :
- 이근문
- 인쇄처 :
- 한국조폐공사
-
도자기 시리즈(제3집) 청자과형화병瓜形花甁) 이 자기는 국보 94호로서 고려시대(12세기 전반기)에 만들어진 것으로 높이 22.8cm 입 지름 8.6cm, 몸 지름 9.5cm, 밑지름 7.8cm 크기의 꽃병이다. 8...유약과 태토(胎土)가 고도로 정선되어 있어 고려청자 최성기의 작품이 지니는 특징을 보여주고 있다. 위의 두 도자기는 서울 국립중앙박물관에 소장되어...
- 발행일 :
- 1977.7.15
- 발행량 :
- 3000000
- 종수 :
- 2
- 액면가격 :
- 20원
- 디자인 :
- 청자과형화병
- 우표번호 :
- 1060
- 인면 :
- 23×33
- 천공 :
- 13
- 전지구성 :
- 4×5
- 용지 :
- 백색 무투문지
- 인쇄 및 색수 :
- 그라비아 4도색
- 디자이너 :
- 이근문
- 인쇄처 :
- 한국조폐공사
-
도자기 시리즈(제4집) 백자상감 연당초 문대접체신부에서는 도자기 시리즈 제4집으로 철채백화삼엽문매병과 백자상감연당초문 대접을 선정하였다. 1. 철채백화삼엽문매병 이 자기는 보물 340호로서 고려시대(12세기 중엽)에 만들어진 것으로 높이 27.6cm, 입 지름 4.9cm, 몸 지름 16.7cm 크기의 매병이다. 청자태토 위에 철채로 화장을 하고 그 위 동부(胴部) 양면에...
- 발행일 :
- 1977.8.15
- 발행량 :
- 3000000
- 종수 :
- 2
- 액면가격 :
- 20원
- 디자인 :
- 백자상감 연당초 문대접
- 우표번호 :
- 1063
- 인면 :
- 33 × 23mm
- 천공 :
- 13
- 전지구성 :
- 5 × 4
- 용지 :
- 백색 무투문지
- 인쇄 및 색수 :
- 그라비아 4도색
- 디자이너 :
- 이근문
- 인쇄처 :
- 한국조폐공사
-
도자기 시리즈(제4집) 철채백화 삼엽 문매병체신부에서는 도자기 시리즈 제4집으로 철채백화삼엽문매병과 백자상감연당초문 대접을 선정하였다. 1. 철채백화삼엽문매병 이 자기는 보물 340호로서 고려시대(12세기 중엽)에 만들어진 것으로 높이 27.6cm, 입 지름 4.9cm, 몸 지름 16.7cm 크기의 매병이다. 청자태토 위에 철채로 화장을 하고 그 위 동부(胴部) 양면에...
- 발행일 :
- 1977.8.15
- 발행량 :
- 3000000
- 종수 :
- 2
- 액면가격 :
- 20원
- 디자인 :
- 철채백화 삼엽 문매병
- 우표번호 :
- 1062
- 인면 :
- 23×33
- 천공 :
- 13
- 전지구성 :
- 4×5
- 용지 :
- 백색 무투문지
- 인쇄 및 색수 :
- 그라비아 4도색
- 디자이너 :
- 이근문
- 인쇄처 :
- 한국조폐공사
-
도자기 시리즈(제2집) 청자상감모란문항체신부에서는 도자기 시리즈 제2집으로 청자상감모란문항과 백자상감유로모란문매병을 선정하였다. 1. 청자상감모란문항(靑瓷象嵌牡丹文缸) 이 자기는 국보 98호로서 고려시대(12세기 중엽)에 만들어진 것으로 높이 20.1cm, 입 지름 20.7cm 크기의 그릇이다. 그릇의 좌우에 하나씩 짐승의 얼굴로 된 손잡이와 전후 양면...
- 발행일 :
- 1977.6.15
- 발행량 :
- 3000000
- 종수 :
- 2
- 액면가격 :
- 20원
- 디자인 :
- 청자상감모란문항
- 우표번호 :
- 1057
- 인면 :
- 33×23
- 천공 :
- 13
- 전지구성 :
- 5×4
- 용지 :
- 백색 무투문지
- 인쇄 및 색수 :
- 그라비아 4도색
- 디자이너 :
- 이근문
- 인쇄처 :
- 한국조폐공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