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거시경제학 巨視經濟學, macroeconomics
    총체적인 경제활동을 연구하는 분야.|재화와 용역의 총생산량과 총소득, 생산요소의 고용수준, 전반적인 물가동향 등을 분석한다. 1930년대까지는 대부분의 경제분석이 개별기업과 산업을 분석하는 데에만 집중되어 있었다. 그러나 1930년대 대공황이 발생하고 국민소득과 생산통계에 대한 개념이 개발됨에 따라 거시...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경제
  • 거시경제학 (관련어 거시 경제학) Macroeconomics, マクロ経済学
    나무가 아닌 숲 전체를 보는 개념의 학문이다. 거시경제학은 모든 개별경제주체들의 상호작용의 결과로 인해 나타나는 한 국가의 전체적인 경제 현상에 대해 분석하며, 이를 통해 국민소득, 물가, 실업, 환율, 국제수지 등 실물경제의 전반을 측정할 수 있다. 즉, 경제 전반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의 결정요인과 이러한...
    도서 위키백과
  • 경제학 (관련어 거시경제학) 經濟學, economics
    인간의 생활 가운데 부(富) 또는 재화 및 용역의 생산·분배·소비 활동을 다루는 사회과학의 한 분야.|경제학은 크게 미시경제학(微視經濟學)과 거시경제학(巨視經濟學)으로 분류할 수 있으며, 그밖에 또 하나의 범주를 나눈다면 경제발전론 분야를 설정할 수 있다. 미시경제학은 소비자·기업·무역업자·농부 등 개...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경제
  • 거시경제 (관련어 거시경제학) 巨視經濟
    거시경제는 모든 개별경제주체들의 상호작용의 결과로 인해 나타나는 한 나라의 경제 전체 현상을 말한다. 이에 대한 분석을 통해 국민소득, 물가, 실업, 환율, 국제수지 등 경제 전반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의 결정 요인과 변수 간의 상호관련성, 국민소득의 변화를 설명하는 학문이 거시경제학이다. 이는 개별 경제주...
  • Macroeconomics 거시경제학, マクロ経済学
    Macroeconomics (from the Greek prefix makro- meaning "large" and economics) is a branch of economics dealing with the performance, structure, behavior, and decision-making of an economy as a whole, rather than individual markets. This includes national, regional, and global economies.With microec...
  • 미시경제학거시경제학
    하나의 시장을 분석적으로 연구한다. 즉, 개별시장의 선택과 가격 결정 분석 등을 기초로 구체적인 경제행위를 관찰하고 연구하는 학문이다. 반대로 거시경제학은 단어 그 자체의 뜻대로 큰 그림을 본다는 의미다. 즉, 국민경제의 전체적인 것을 다루며, 국내시장들의 상호작용으로 나타나는 사회 전체의 현상을 연구한다.
  • 경제예측 經濟豫測, economic forecasting
    물론 개인 업무에까지 널리 활용되고 있다. 경제예측은 거시경제예측과 미시경제예측으로 구분지을 수 있는데 이 구분은 매우 유용하다(→ 거시경제학, 미시경제학). 거시경제예측은 경제 전체의 장래 변화과정이나 특정한 거시경제변수를 예견하는 방법인 데 반해, 미시경제예측은 특정 경제부문, 즉 하나의 산업이나...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경제
  • 새고전학파 거시경제학 New classical macroecon..
    새고전학파 거시경제학은 신고전파 틀에 전적으로 기반하여 분석을 구축하는 거시경제학의 사상 학파이다. 특히, 미시경제학, 특히 합리적 기대에 기반한 엄격한 기초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새고전학파 거시경제학거시경제 분석을 위한 신고전파 미시경제적 토대를 제공하기 위해 노력한다. 이는 가격 경직성 및...
    도서 위키백과
  • AP 거시경제학 AP 거시경제학, AP Macroeconomics
    AP 거시경제학(Macroeconomics)은 칼리지 보드가 제공하는 시험에서 고등학교 학생들을 위해 제공되는 어드밴스트 플레이스먼트 거시경제학 코스이다. 학습은 희소성, 기회비용, 비교 우위, 수요, 공급, 가격 결정 등 근본적인 경제학 개념으로 시작한다. 수많은 주제는 경제적 성과, 국가 소득, 가격 결정, 통화 정책...
    도서 위키백과
  • 거시경제 모델 Macroeconomic model
    한 지역의 경제를 설명할 때 쓰는 도구이다. 경제학자들은 주로 한 경제의 모든 재화와 서비스, 총 수입, 실업률 및 고용률, 국가의 평균적인 가격수준 등 거시경제학에서 말하는 소위 '총량변수'의 흐름을 검토하기 모델을 개발해왔다. 거시경제 모델은 대부분 수학을 언어로 쓰기 때문에 논리적이고 체계적이다. 모델...
    도서 위키백과
  • 미시경제학 微視經濟學, microeconomics
    한편 기업은 생산물의 공급자이자 노동·자본의 소비자로 다루어진다. 미시경제학은 시장을 비롯한 여러 유형의 가격·분배 결정기구를 분석한다. 결국 미시경제학은 각 재화와 용역의 상대가격이 결정되는 과정을 살피고 사회적 자원이 다양한 용도로 할당되는 양식을 연구하는 분야라 할 수 있다. → 거시경제학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경제
  • 국민저축 國民貯蓄
    국민저축이란 한 국가 내의 총 저축량을 의미한다. 통념상의 저축과 거시경제학에서 정의하는 저축엔 차이가 있다. 일반적으로 생각하는 저축은 은행에 예 ・ 적금을 맡기거나, 여타 신용할 만한 금융회사 등에 적립 혹은 예치하는 금전을 뜻하지만 거시경제학에서의 저축은 ‘사용되지 않고 남은 재화’이다. 즉 효용의...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