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강화대교 江華大橋
    인천광역시 강화군 강화면 갑곶리와 경기도 김포시 월곶면 성내리를 잇는 다리.|내용 1969년에 완공된 구교가 노후되어 전면 재시공을 통하여 1997년 완공하였다. 1965년 7월에 착공하여 1969년 12월에 완공된 구교는 폭 10m(차도 7m, 보도 3m), 교장 694m이고 1,386m의 접속도로가 연결되어 있었고, 하부구조는 반중...
    시대 :
    현대
    성격 :
    다리
    유형 :
    지명
    면적 :
    폭 19.5m, 교장 780m
    소재지 :
    인천광역시 강화군 강화면 갑곶리, 경기도 김포시 월곶면 성내리
    분야 :
    경제·산업/교통
  • 강화대교 江華大橋
    인천광역시 강화군 강화읍 갑곶리와 경기도 김포시 월곶면 포내리를 연결한 다리.|길이 780m, 폭 19.5m, 경간수 13개(최대경간장 60m)이다. 1993년 8월에 착공하여 1997년 12월에 준공되었다. 이 다리를 통해 48호 국도가 강화군까지 연결된다. 상부구조는 강상형(steel box girder), 하부구조는 라멘식, 기초는 강관...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인천
  • 강화대교
    강화대교(江華大橋)는 인천광역시 강화군 강화읍 갑곶리에서 경기도 김포시 월곶면 포내리까지 연결하는 연륙교이다. 1997년에 개통되었다. 1970년에 개통된 기존의 교량인 강화교가 노후화되어새로 건설된 다리이다. 1965년 7월 : 강화교 착공 1969년 12월 : 강화교 완공 1993년 8월 : 강화대교 착공 1997년 8월 : 강화...
    도서 위키백과
  • 한남정맥길(통진성당 입구 버스정류장 ~ 강화대교(성동검문소))
    곳이기도 하다. 한남정맥으로 향하는 길은 외세 침략에 맞서 저항한 숭고한 숨결과 통일을 향한 마음을 되새겨 볼 수 있다. 경기옛길의 코스를 통과하면서 스탬프를 모두 찍으면 완주 인증을 해준다. * 강화길 제4길 코스 통진성당 > 통진향교 > 김포국제조각공원 > 문수산산림욕장 > 강화대교 참고문헌 https://ggcr.kr
    위치 :
    경기도 김포시 월곶면 군하리 38-15
  • 강화대교
    길이 694m, 폭 10m이다. 구 강화대교1965년 7월에 착공하여 1970년 1월에 개통되었다. 이 다리를 통해 국도가 강화군까지 연결되었다. 상부구조는 피시(PC)거더교 형식이며, 하부구조는 반중력식 기둥 15기로 되어 있다. 이 다리가 생기기 전에는 김포쪽 나루에서 밀물 때를 기다렸다가 나룻배에 버스를 싣고 강화도까지...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인천
  • 강화초지대교 江華草芝大橋
    방향으로 사암이 암반 하부층에 분포하고 있다. 현황 이 다리의 개통으로 서울특별시 강서구와 경기도 부천시, 김포시 등 수도권 서부지역 주민들이 기존의 강화대교를 이용하는 것보다 30분 정도 빨리 강화도에 도착할 수 있게 되었고, 강화도에서 인천까지는 출퇴근이 1시간대로 가능해졌다. 그리고 송도에서 청라를...
    시대 :
    현대/대한민국
    유형 :
    지명/시설
    분야 :
    경제·산업/교통
  • 강화초지대교 江華草芝大橋
    1994년 11월 ‘강화제2대교’로 착공되었으나 1997년 12월 외환위기 때 시공사의 부도로 공사가 중단되었다가 1999년 6월 인천광역시가 다시 착공하여 2002년 8월 개통하면서 현재의 명칭으로 변경되었다. 1970년에 개통하여 1998년 폐쇄된 강화교와 1998년 개통된 강화대교, 2001년 완공된 신강화대교에 이어 강화도와...
    도서 다음백과
  • 강화대교 新江華大橋
    완공되었다. 이 다리에 접속되어 있는 김포시 대곶면 대명리에서 양곡리 간 6.4㎞의 도로도 4차선으로 확장되었다. 교량부에 900㎜의 상수도관과 300㎜의 도시가스관이 함께 설치되어 있다. 1970년에 개통하여 1998년 폐쇄된 강화교와 1998년 개통된 강화대교에 이어 3번째로 건설된 강화도와 육지를 잇는 연육교이다.
    도서 다음백과
  • 초지대교
    상수도관과 300mm의 도시가스관이 함께 설치되었다. 이 다리의 개통으로 서울 강서구와 경기 부천, 김포시 등 수도권 서부지역에서 강화도에 도착하는 시간이 기존 강화대교 이용 시보다 30분 빨라졌다. 이 다리를 건너 우회전하면 해안도로를 따라 덕진진, 마니산 국민관광지, 화도면 철새도래지 등 관광명소가 많다...
    위치 :
    인천광역시 강화군 길상면
  • 강화초지대교
    양식 : 교각 우물통공법 하루에 3만 5000대의 교통량을 처리하고 있다. 서울특별시 강서구 및 경기도 부천시, 김포시 등 수도권 서부지역 주민들이 기존의 강화대교를 이용하는 것보다 차로 30여 분 빨리 강화도에 도착할 수 있게 되는 것이 이점이다. 강화도에서 인천까지 출퇴근하는데 더 용이해졌으며, 소요시간도...
    도서 위키백과
  • 교동대교 喬桐大橋
    교량 정보 교동대교(喬桐大橋)는 인천광역시 강화군 교동도(교동면 봉소리)와 강화도(양사면 인화리)를 연결하는 다리이다. 교동연륙교라고도 한다. 강화-교동 연결도로는 길이 2.11 km의 교동대교와 다리 양쪽의 접속도로 1.33 km를 합쳐 총 3.44 km이고, 900억 원의 사업비가 투입되어 2014년 7월 1일에 정식 개통...
    도서 위키백과
  • 교동대교 喬桐大橋
    현황 2014년 교동대교가 완공되어 강화도와 연결되었고, 서울까지 배편이 유일한 교통 수단이던 강화도 주민과 관광객의 이동 편의가 크게 향상되었다. 강화 교동대교 입구에서 발생하는 차량 정체를 해결하기 위해 QR 코드 출입 시스템이 도입되었다. QR 코드를 활용하여 간편한 출입 절차를 제공하며, 방문객의 신원...
    시대 :
    현대/대한민국
    유형 :
    지명/시설
    분야 :
    경제·산업/교통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7건

강화대교
강화대교
강화대교
구 강화대교
강화 대교. 경기도 김포와 연결되어 서울과의 교통이 편리해졌을 뿐더러, 지역 개발에 크게 도움이 된다.
강화초지대교
신강화대교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