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가야진사 伽倻津祠경상남도 양산시 원동면에 있는 ‘가야진지신’의 위패를 모신 신당. 내용 1983년에 경상남도 민속문화재(현, 민속문화유산)로 지정되었다. 원동역에서 서북쪽으로 약 2㎞ 떨어진 낙동강가의 논 가운데 100평 가량의 대지와 10평 정도의 건평으로 되어 있으며, 뱃집의 형태를 띠고 있다. 3동으로 된 건물이며 마룻대[...
- 시대 :
- 조선
- 유형 :
- 유적
- 분야 :
- 종교·철학/민간신앙
-
양산 가야진사 출토 분청사기 제기 일괄문화재 정보 양산 가야진사 출토 분청사기 제기 일괄(梁山 伽倻津祠 出土 粉靑沙器 祭器 一括)은 경상남도 양산시 양산시립박물관에 있는, 양산 용당리 가야진사 유적 발굴조사를 통해 출토된 유물들이다. 2016년 2월 4일 경상남도의 유형문화재 제594호로 지정되었다. 양산시립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는 13점의 분청사기...도서 위키백과
-
가야진 룡신제 伽倻津 龍神祭내용 1997년에 경상남도 무형문화재(현, 무형유산)로 지정되었다. 가야진사는 『삼국사기』 권32 제사(祭祀)조에 보면, 대 · 중 · 소사(小祀) 중 중사에 속하는 사독(四瀆:네 방위를 따라 정해서 해마다 제사를 지내던 네 강)의 하나로, 나라에서 연 3회 이상 독신(瀆神:강을 주관하는 귀신)께 제를 지내던 사당이다...
- 유형 :
- 의례·행사
- 분야 :
- 종교·철학/민간신앙
-
한개마을 식당 하나 없는 진정한 전통 마을이후부터다. 진사를 요즘으로 따지면 대학교를 졸업해 학사 학위를 받은 정도라고 할 수 있다. 그래도 이들의 학식은 상당했고 과거도 계속 볼 수 있었다. 또한 중앙 무대에 올라가지 않아도 자신의 근거지에서 명성을 쌓으면 언제든지 관리로 발탁 가능했다. 안길에서 직각으로 오른쪽을 향해 몸을 틀면 짧은 샛길이...
- 위치 :
- 경북 성주군 월항면
-
양산시 梁山市정도가 진행하는 큰 행사로서, 각 거리마다 무인(先唱者) 한 사람과 무부(巫夫 · 바라지) 3, 4명이 어우러져 치른다. 설화 · 민요 이 고장에는 통도사 · 가야진사 등의 유래를 밝힌 연기전설(緣起傳說)과 원효 · 의상에 대한 인물전설 등 많은 설화가 전해오고 있다. 통도사 창건에 대한 설화는 『삼국유사』에도...
- 유형 :
- 지명/행정지명ˑ마을
- 분야 :
- 지리/인문지리
-
원동면 院洞面, Wondong-myeon평야가 형성되어 있다. 쌀·복숭아가 많이 나며, 약간의 납과 철이 산출된다. 유물·유적으로는 영포리의 신흥사 대광전(보물 제1120호)과 용당리의 가야진사가 보존되어 있으며, 관광명소로는 내포리의 원동자연휴양림이 있다. 경부선이 낙동강변을 따라 뻗어 있으며, 면내 국도가 지난다. 행정구역은 원리·용당리...
- 인구 :
- 3,527 (2016)
- 면적 :
- 148.12㎢
- 행정구역 :
- 20개리 75개반
- 소재지 :
- 경상남도 양산시
- 사이트 :
- http://www.yangsan.go.kr/csc/wondong/main.do
-
양산시의 유물·유적·관광제120호), 양산호계동마애불(梁山虎溪洞磨崖佛,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96호), 하북면 노전암(露田菴,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202호), 원동면 용당리의 가야진사(伽倻津祠, 경상남도 민속자료 제7호), 상북면 소토리 박제상유적효충사(朴堤上遺蹟孝忠祠, 경상남도 기념물 제90호) 등이 있다. 유교문화재로는 교동의 양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