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
가야 가야(伽倻), 加耶5~6세기 후기 가야 문화권은 고령권, 함안권, 고성 · 진주권, 김해권 등 4개 권역으로 나뉘고, 각 권역은 상호 간에 서로 다른 특징과 발전 과정을 보인다. 그리하여 후기 가야 문화권의 정치 상황에 대해서는 분립적인 것으로 보는 견해들이 많이 나오고 있다. 그에 대한 견해로는 ① 가야 단일 연맹체론, ② 가야...
- 시대 :
- 고대/삼국/가야
- 유형 :
- 지명/고지명
- 분야 :
- 역사/고대사
-
가야사의 시대 구분신라의 가야 제국 병합과정과 일치하는 현상이다. 이처럼 전북 일부와 서부 경남을 석권하면서 영역 국가로 성장하던 대가야의 위상은 고령 지산동 고분군에서 유감없이 확인된다. 지산동 44호분은 중앙의 주인공을 중심으로 방사선식으로 둘러싸듯이 32개의 돌방―석곽(石槨)이 만들어졌고 그 안에 무려 60인에 가까운...
-
가야고분 加耶古墳, Gaya Tomb금관가야·대가야·소가야·아라가야 권역으로 4분되며 신라·백제와 구분되는 독특한 특성도 있지만 그들 국가로부터 받은 영향도 없지 않다. 앞으로 가야고분의 조사·연구 성과는 가야 각국의 성장과정과 문화발전, 삼국과의 교류, 특히 당시 한반도와 일본열도 사이의 교류를 밝혀줄 기본 자료가 될 것이다. 참고문헌
- 시대 :
- 고대/삼국/가야
- 성격 :
- 용어
- 유형 :
- 유적
- 분야 :
- 역사/고대사
-
-
가야토기 加耶土器, Gaya Pottery관계망을 고령의 대가야세력이 대신 장악함으로써, 4세기까지 내륙의 소국에 불과했던 대가야가 5세기 중엽 이후 가야 후기의 중심국으로 성장하는 과정을 반영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의의와 평가 가야토기의 변천 모습을 통해서 가야사회의 발전 단계를 설명하는 것이 가능해진다는 점에서 가야토기는 가야사 복원의...
- 시대 :
- 고대/삼국/가야
- 유형 :
- 개념용어
- 분야 :
- 역사/선사문화
-
-
음악 音樂문화를 발전시켰다는 점과, 고구려와 백제가 각각 중국의 북조와 남조의 악기를 받아들이고 이 외래악기를 사용한 자국의 음악으로 국제음악 활동에 참여하였다는 점이다. 특히, 삼국의 음악은 일본 궁중에 전해져 삼국악(三國樂)이라고 불렸으며, 중국 북조의 악기를 수용한 고구려의 음악은 수(隋)나라 궁중의 7부기...
- 유형 :
- 개념
- 분야 :
- 예술·체육/국악
-
김해 대성동 고분군 대성동 고분군, 金海 大成洞 古墳群으로 발전하여 마침내는 대규모의 주부곽식덧널무덤[主副槨式木槨墓]이 축조되었다는 것이 밝혀지게 되었다. 널무덤은 이른 시기의 무덤으로 주로 구릉의 끝이나 평지에 만들어졌다. 대부분의 널은 판재를 이용해 짰다. 그러나 통나무널도 확인돼 창원 다호리의 통나무널과 비교된다. 덧널무덤은 널무덤을 파괴하고 축조...
- 시대 :
- 고대/삼국/가야
- 유형 :
- 유적
- 분야 :
- 역사/선사문화
-
가야대학교 加耶大學校, Kaya University전신으로 발전해왔다. 이후 교명은 1995년 지금의 명칭인 가야대학교로 변경되었다. 2003년 3월 가야대학교 김해캠퍼스를 개교하면서 고령캠퍼스의 학과 대부분이 이전했고, 자율전공학부와 행정대학원(사회복지학과)만 남아 있었다가 2012년에 김해캠퍼스로 완전히 이전했다. 2017년 9월 스포츠재활복지학과를 신설했다...
- 설립 :
- (개교) 1993년 3월 13일
- 유형 :
- 사립 종합대학
- 설립자 :
- 이경희
- 소재지 :
- 경상남도 김해시 삼계로 208(김해캠퍼스), 경상북도 고령군 대가야읍 대가야로 1103(고령캠퍼스)
- 사이트 :
- http://www.kaya.ac.kr